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우리 동네 황씨(1977~81)-이문구-

by 휴리스틱31 2021. 11. 19.
728x90

우리 동네 황씨(1977~81)

-이문구-

 

● 줄거리

 

가족들이 TV를 보느라 이웃들과의 교류조차 뜸해진 것이 못마땅한 김씨는 저녁에 마실을 나간다. 마을 회관 앞에는 팬티 한 장이 바지랑대에 걸려 있다. 이 팬티는 황선주의 것으로 그는 넓은 땅을 가지고 소작을 부치며 고리대금업을 할 뿐만 아니라 조합을 이용하여 자신의 새우젓 등을 비싸게 파는 인물로 마을에서 평판이 좋지 않다. 마을에서 수재민을 돕기 위해 성금이나 쌀, 장, 의복 등을 내놓기로 했는데 그는 자신의 헌 속옷을 내놓은 것이다. 황 씨의 이런 고약한 행위에 격분한 마을 사람들은 황 씨의 속옷을 바지랑대에 보란 듯이 걸어 놓았다. 마을 회관에 모인 마을 사람들은 타이어를 태우며 이야기를 나누고 타이어를 빼돌리지는 않는지 감시하러 온 면의 계장과 이 서기가 합세한다. 면의 계장은 자신에게 황선주가 단위 조합을 이용하여 물건을 팔아먹기 위해 아는 사촌 동생에게 연줄을 대 달라고 청해 왔다고 하고, 계장과 황선주 간의 지난 관계를 아는 마을 사람들은 분노한다. 이때 마침 황선주가 나타나자 김 씨 등은 황 씨를 조롱하기도 하며 농촌의 변해 가는 현실과 희망을 이야기한다.

 

 

● 인물의 성격

 

◆ 황 씨(황선주) → 이재에 밝아 고리대금업을 하여 돈을 불린, 넓은 농토의 지주이다.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행태로 마을 사람들에게 인심을 잃는다.

 이장 → 마을 사람들과 같이 황 씨를 비난하며 농민 스스로 서로를 보호해야 한다는 자각의 태도를 보이는 인물이다.

  → 황 씨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며 황 씨의 잘못을 깨닫게 해 주려 하는 인물이다.

  → 성격이 다소 급하고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인물이다. 황 씨에 대해 비아냥거리는 등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 이해와 감상

 

 1977~1981년에 발표된 연작소설이다. 이 소설은 작가가 1977년부터 경기도의 한 농촌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발표하기 시작한 중단편들의 모음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1970년대의 산업화 과정에서 빚어진 농촌의 소외 문제와 농민들의 갈등, 전통적 질서의 해체화 과정 등을 풍자적 시각으로 그려내는 가운데 농촌 문제의 심각성과 갱생의 변증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농촌 문제의 총괄적인 보고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연작소설은 <우리 동네 김씨>라는 작품을 시작으로 <우리 동네 이씨>, <우리 동네 최씨>, <우리 동네 황씨>, <우리 동네 정씨>, <우리 동네 장씨>, <우리 동네 조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 제목으로 차용된 성씨의 주인공들은 새로운 시대 상황에 재빠르게 편승하기도 하고, 더러는 못마땅해 하면서도 마지못해 합류하기도 하는 불특정 다수의 평범한 농민들이다. 이들 보통사람들의 일상적인 대화에서부터 하찮은 몸짓 하나에까지도 순박하면서도 날카로운 현실적 비판이 상징적으로 함축되어 있다.

 

 

 이 작품은 급격한 근대화로 인해 공동체적 질서가 붕괴되어 가는 1970년대의 농촌 현실에 대한 문학적 탐구의 결정체로 평가된다. 특히 작가 특유의 풍자와 해학이 느껴지는 유장한 문체로 삶의 현장을 이야기하면서 당면한 현실의 문제점에 주체적으로 대응해 가는 농민들의 능동적인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작가 나름의 현실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 점은 이 작품의 미덕으로 평가된다.

 

 이 작품은 '우리 동네'라는 아홉 편의 연작 소설 중 마지막 작품이다. 공간적 배경은 농촌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순박함, 가난함, 자연적인 것 등과 함께 공동체로서의 연대 의식, 유대적 인간 관계와 같은 전통적인 농촌 문화들이 근대화, 산업화라는 외부적 문화의 유입으로 인해 도시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작품의 주요 공간적 배경인 느티울 마을에서 '수재민 의연금'을 둘러싼 황 씨와 마을 사람들의 갈등은 유대적 인간관계가 중시되었던 것이 유용성을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이기적이고 기만적인 인간 관계로 변질되어 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마을 사람들이 황 씨와 다투면서도 그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처지에 있는, 같은 생각과 아픔을 공유하고 있는 존재로 여기며 농민들 스스로 주체적인 자기반성을 하는 모습에서 과거로의 일방적인 회귀가 아닌 농민들의 자각을 기반으로 한 농촌 공동체를 회복하고 싶은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동네 황씨>에서는 심각한 농약 공해로 파괴되어 가는 농촌의 생태계와 농민의 생존을 위협하는 악덕 고리채, 농민 위에 군림하는 관료, 부재 지주의 증가, 농협을 악용하는 모리배 등 온갖 수탈로 점점 살기 힘들어지는 농촌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다루었다.

 

 

 <우리 동네 김씨>는 민방위교육을 풍자적으로 그린 내용이다. 김 씨는 가뭄이 들자 남의 저수지 물을 양수기로 퍼올리다가 한전 직원과 저수지 감시원에게 동시에 들켜 곤경에 빠진다. 그런데 사태는 의외로 반전되어 한전 직원과 저수지 감시원의 싸움으로 번졌다가 민방위교육이 열리는 바람에 흐지부지된다. 김씨는 민방위 교육장에서도 생각없이 부면장의 말에 사사건건 토를 달아 교육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어 버린다. / <우리 동네 이씨>에서는 농촌에까지 번진 망년회의 실태와 농촌 부녀자들의 관광여행, 변칙적으로 운영되는 농협의 실상, 농촌 가정의 도박풍조 등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 / <우리 동네 최씨>에서는 소작농인 최씨를 통해 토지소유문제를 심각하게 제기하는 한편, 도시인들의 사냥 공해와 농민 자녀들이 관련된 노사문제를 다루었다. 최 씨의 맏딸과 친구 영순의 이야기를 통해서 공장 노동자의 문제가 농민의 삶과도 직결된 문제임을 이야기한다. / <우리 동네 정씨>는 1970년대 이후의 농촌 현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근대화의 주체인 농민을 소외시킨 농촌 근대화 정책의 허구성과 추곡 수매의 비리 등을 폭로하는 가운데 옛날과는 엄청나게 달라진 농촌의 실정을 깨닫고, 점차 현실 감각을 되찾아가며 자신들의 권리의식에 눈떠가는 농민들의 모습을 긍정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 핵심사항 정리

 

 갈래 : 현대소설, 연작소설, 단편소설, 농촌소설

 배경

* 시간 - 1970년대

* 공간 - 느티울 마을(농촌)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표현상 특징

* 역순행적 구성

* 해학적, 향토적, 비판적 성격

* 방언의 사용 → 현장감과 사실감이 느껴져 지금 그곳에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주제  산업화로 인해 달라진 농촌 공동체의 현실과 농민들의 삶

 

 

● 생각해 볼 문제

 

1.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소재는?

⇒ 통일벼, 유신벼, 한산도

2. 마을 사람들이 황 씨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 결정된 만큼의 수재민 의연금은 내지 않고 이치에 맞지 않는 이유를 내세우며 자기의 이익만을 챙기려 해서(마을의 공익사업에 협조하지 않았기 때문에)

3. 마을 사람들이 황 씨의 팬츠를 마을 초입에 걸어 놓으려는 이유는?

⇒ 황 씨의 거탈을 벗겨 내어 창피를 주기 위해서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