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해설]이별은 미(美)의 창조 - 한용운 -
이별은 미(美)의 창조
- 한용운 -
이별은 미(美)의 창조입니다.
이별의 미는 아침의 바탕[質] 없는 황금과 밤의 올[絲] 없는 검은 비단과 죽음 없는 영원의 생명과 시들지 않는 하늘의 푸른 꽃에도 없습니다.
임이여, 이별이 아니면 나는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없습니다. 오오, 이별이여.
미(美)는 이별의 창조입니다.
-<님의 침묵>(1926)-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산문적, 역설적, 긍정적, 불교적, 명상적
◆ 표현 : 산문적 율격과 역설적 표현, 은유에 의한 시각적 심상
이별에 관한 형이상학적 의미를 여성적 어조로 노래함.
가상의 청자를 설정하여 경어체를 통해 경건한 어조로 노래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이별은 미의 창조입니다.
→ 이별에 본질적 의미를 부여함. 역설적 은유
이별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근원적 바탕이 된다는 뜻임.
* 2행
→ '아침, 밤, 죽음, 시듦'은 '황금, 검은 비단, 생명, 푸른 꽃'을 더욱 가치 있는 대상으로 만드는 존재
황금은 아침 햇살을 받을 때 그 빛을 발하고, 검은 비단은 어둠 속에서만 그 아름다움을 드러내며,
생명은 죽음이 있기에 더욱 가치 있고, 꽃은 시들기 때문에 더욱 아름답다는 의미이다.
* 이별이 아니면 나는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가 없습니다. ~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
→ 이별은 '다시 만남'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눈물에서 죽었다가 웃음에서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별은 또 다른 미의 창조인 것이다.
* 미는 이별의 창조입니다. → 미와 이별을 동일시함으로써, 이별에 형이상학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수미상관식 구성
◆ 제재 : 이별
◆ 화자 : 이별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다시 만남'이라는 미의 창조를 위해 거쳐야 할 과정으로 인식함
◆ 주제 : 재회의 원천이 되는 이별에 대한 예찬 또는 역설적 인식
[시상의 흐름(짜임)]
◆ 1행 : 이별은 미의 창조(역설적 인식)
◆ 2행 : 이별의 미를 인식하는 계기
◆ 3행 : 이별의 의미
◆ 4행 : 미는 이별의 창조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이별의 슬픔에 절망하지 않고 더 나은 만남을 위해 이별의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화자의 태도가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특히, 이별은 임과의 단절이 아닌 미의 창조라고 인식함으로써 역설적 미학을 잘 보여주고 있다.
짧은 길이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한용운 특유의 '역설의 미학'이 극명하게 드러나 있다. '아침의 바탕 없는 황금', '밤의 올 없는 검은 비단', '죽음 없는 영원한 생명', '시들지 않는 하늘의 푸른 꽃' 등의 부정을 통해 긍정에 이르고, 그것을 다시 부정함으로써 더 큰 긍정에의 길을 준비하는 이러한 불교적 역설은 만해 시의 근간을 이루며,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단조로움을 극복하여 무한한 역동감을 느끼게 해 준다. 이별은 재생(再生)을 가져오는 반전의 출발점이자 님과의 합일을 가져오는 계기가 된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자 이별의 계절이라고 한다. 이른 봄부터 수없이 많은 인내의 시간을 보내며 피어나는 꽃이 가을꽃이며, 그 꽃잎을 떨구며 한 해를 보내는 것도 가을이다. 책상 앞에 있는 달력이 이제 두 장밖에 남지 않았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라고 강요하는 오늘날에, 아버지의 사랑이 넘쳤던 아날로그 시대를 그리워하며, '아날로그가 숨쉬는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 나는 수업이 없는 시간을 이용하여 운동장 모퉁이에서 60년을 버텨 온 은행나무 있는 곳으로 내려가 노오란 은행잎을 주웠다. (시인 신배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