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n Seeing

[고전시가/한시 해설]오관산(五冠山) -문충-

휴리스틱31 2022. 4. 23. 21:54
728x90

오관산(五冠山)                               -문 충-

 

[ 이해와 감상 ]

 

이 노래를 부른 문충은 고려 시대 사람으로 세계(世系)가 상세하지 않은데, 어머니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개성과 30리 정도 떨어진 오관산 영통사동에 살았는데, 어머니의 봉양을 위해 벼슬을 했다. 아침에 나갈 때는 반드시 목적지를 아뢰고 갔으며 저녁에 돌아올 때 반드시 얼굴을 뵙고 인사를 했다.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살피고 새벽에는 문안하는 것을 조금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어머니가 늙은 것을 탄식하여 <목계가>를 지었는데, <오관산곡>이라는 노래로 악보에 전하는 것을 이제현이 한시로 번역했다.

* 서산에 지는 해 → '죽음'의 이미지

 

[ 정리 ]

 

 형식 및 갈래 : 한시(7언 절구), 서정시

 특성

* 불가능한 상황의 설정을 통한 역설적 표현이 두드러짐.

* 어머니가 오래 살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과 결코 헤어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노래함.

 구성

* 기 · 승 : 나무로 만든 닭을 벽 위에 올려 놓음 - 실현 불가능한 상황 설정

* 전 · 결 : 그 닭이 울면 그제서야 어머니와 헤어짐. - 실현불가능한 상황의 설정으로 어머니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기원함.

 주제 : 어머니에 대한 지극한 효심

 문학사적 의의 : 고려시대에 구전되는 노래를 한시로 번역하여 전한 이제현의 소악부 중 한 편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