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n Seeing

[고전시가/한시 해설]춘망(春望) - 두보-

휴리스틱31 2022. 4. 24. 03:30
728x90

춘망(春望)                                - 두보-

 

 

[ 이해와 감상 ]

 

두보가 46세 되던 해, 봉선현에서 지내고 있는 처자를 만나러 갔다가, 백수에서 안녹산의 군대에게 사로잡혀 장안에 연금되어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안녹산의 군에게 함락되어 폐허가 된 장안의 외경 묘사와 함께, 난리로 헤어진 처자를 그리며 시국을 걱정하는 비통한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제1 · 2구의 대구적 구성은 전쟁 뒤의 어지러운 세상을 꿰는 듯이 허무한 모습을 생생하게그렸고, 제3 · 4구의 '꽃과 새마저도 도리어 슬픔을 돋운다.'는 표현은 우수의 깊이를 보여주며, '꽃과 새'는 주객이 전도되어 표현되고 있다. 경련에서는 계속되는 난리와 가족의 안부를 알 수 없음에 대한 안타까움을 그렸고, 마지막 구절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는 동안에 전란과 우국 그리고 가족에의 그리움 등으로 자꾸만 쇠약해지는 자신의 몸을 과장법을 써서 한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시는 안녹산의 반란을 계기로 급속히 악화된 국가적 위기 상태가 가져오는 여러 가지 고난과 시련을, 리얼리즘과 인간애 넘치는 휴머니즘 문학으로 승화시킨 좋은 예가 된다 할 수 있다.

 

[ 요점정리 ]

 

 형식 : 5언 율시의 한시, 서정시(애상적)

 연대 : 두보가 46세(757) 때

 표현 : 선경후정, 대구법(1행과 2행, 3행과 4행), 과장법(8행)

 주제 : 전란의 상심

 구성

* 수련 : 전란으로 인해 황폐해진 모습

* 함련 : 전란으로 인한 상심

* 경련 : 헤어져 있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

* 미련 : 쇠약해진 자신에 대한 한탄

 출전 : <분류두공부시언해> 중간본 권 17

 

[ 참 고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