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 해설]대기 왕고모 -고은-
대기 왕고모
-고은-
들길로 시오리 길 대기 마을에서
왕고모 올 때는 길 가득합니다
그 왕고모가 할머니 죽은 날
오자마자 큰 몸뚱이 들썩이며 울부짖었습니다.
땅도 치고 허벅 치고 울부짖더니
성님 이게 웬일이여
나하고 회현장에서 만나
국수가 오래 불어터져서 우동된 놈 사먹고
또 언젠가는 막걸리 한 사발에
국 뜨거운 국말이 밥도 사먹던 일 엊그제 같은데
하마 5년 6년 썸뻑 지나갔구려
작년 가을 왔을 때
성님 하는 말이 몇 달만 있으면
이놈의 병 썩 물러가서
내 사대삭신 훨훨 날아다닐 것이라고 하더니
어디로 날아가셨소그려 아이고 성님 아이고 성님
인제 가면 언제 오려오
개똥밭 쇠똥밭에 살아도 이 세상이 좋은데
성님 저승 가서
그 큰 저승 가서
어느 회상에 찡겨 사시려오
아이고 대고 아이고 아이고
이렇게 사설깨나 늘어놓으며 애통해 하다가
저기에 송말에서 시집 온 재종동생의 댁 보고는
이제까지의 청승 다 어디갔나 싶게
아이고 송말사람
자네 얼굴 한번 환하네 그려
애들 잘 크지
논 한 배미 또 사들였다며
그 우물 새로 앉히고 자네 운이 돌아왔네 그려
슬픔이란 것이 하나도 슬픈 것이 아니라
다음 고개 넘어가면
안 보이는 골짜기 개울 아닌가 한 판 판소리 아닌가
참 초상집 이런 아낙 들어서야 그나마
술맛 있고 사잣밥 밥맛 있지
안 그런가
-<만인보>(1986)-
해 설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 시는 세 부분으로 짜여져 있다. 죽음을 앞에 둔 대기 왕고모의 청승, 송말사람을 보고 난 이후의 너스레, 그리고 시인 자신의 평가가 그것이다. 앞의 두 부분은 지극히 구체적이며 또한 사실적이다. 한번이나마 상가를 들른 이들은 알 것이다. 이런 분들이 언제나 꼭 그 모양으로 감초마냥 상갓집에는 있다는 것을. 이 표리부동조차 따뜻하게 끌어안는 시인이야말로 참시인이 아닌가 싶다. 그 껴안음이 애정에서부터 우러나오기 때문이다. 민중에 대한 애정, 더욱이 맹목적인 애정이 아니라 처연한 고난과 암팡진 힘을 동시에 아우르는 애정, 고은이 지닌 민중에 대한 애정은 절간에 들어가 세속의 인간들을 아래로 굽어보면서 갖는 측은해 하는 연민과는 전혀 판이한 것이다. 오직 진정한 깨달음을 갈망하는 이들만이 가질 수 있는, 오로지 진흙탕 한가운데에서 오롯이 연꽃을 피워올려 마침내 그 은은한 향기를 사방 천지에 머물게 하는 애정인 것이다. 제 홀로 꿈꾸는 해탈이 아니라 민중 속에서 민중의 해방을 기약하는 애정인 것이다.
오늘도 집을 떠나고, 속세를 떠나기 위해 길을 나서는 젊은이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억하라. 떠남이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다시 돌아오기 위함이며, 사람 사는 세상의 한가운데에서만이 떠남은 보람찬 것임을. 물론 그 떠남은 세상으로부터, 삶으로부터, 이웃들로부터의 떠남이 아니라, 고은의 시에서처럼 '몇십 년 동안 가진 것, 몇십 년 동안 누린 것, 몇십 년 동안 쌓은 것'으로부터의 떠남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