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n Seeing

문학 연구의 방법

휴리스틱31 2021. 11. 7. 23:00
728x90

문학 연구의 방법

 

-역사주의적 방법 : 문학 작품은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히 이해될 수 없고, 그 형성 배경이 되는 작자와 사회 환경 등을 중시해야 한다는 입장.

 

㈀ 원전의 확정, 언어의 역사성 검토, 작자의 생애 연구, 시대 상황 연구가 중심을 이룬다.

㈁ 문학과 사회를 연관시켜 검토함으로써 객관성을 얻을 수 있고,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연속적인 문학의 형태를 볼 수 있다.

㈂ 작품 외적 요소에 치중하여 작품 자체의 미적 가치를 등한히 하는 경향이 있다.

 

-심리주의적 방법 :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학의 이론을 도입하여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방법.

 

㈀ 심리주의적 이론에 의해 작중 인물의 성격을 분석하거나, 작자의 창작 심리, 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 등을 분석하여 그 속에 숨은 의미를 파악하려 한다.

 

㈁ 문학 작품은 작가의 정신의 반영이나 투사로 보아, 작품과 작가의 경험을 긴밀히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상징이나 이미지의 처리도 이런 정신 세계의 표현으로 보고 있다.

 

㈂ 심리 분석은 작품 뒤에 잠재된 개성과 비밀을 드러내는 장점이 있으나, 작품의 미적 가치를 손상시키기도 한다.

 

 

 

-신화 비평적 방법 : 인간의 원시적 경험의 유형이 작자에 의해 어떻게 재현되는가를 탐구하는 방법

                                                                ( = 원형비평 )

 

  ㈀ 현대의 문학 작품 속에 그림자를 던지고 있는 신화의 자취를 찾아보려는 방법.

 

㈁ 문학을 포함한 인간의 모든 사고, 행동 체계가 원시적 제의나 그와 관련된 신화적 우주,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본다.

 

㈂ 문학 작품을 신화적인 요소로 환원하여 작품의 독창성을 간과할 우려가 있다.

 

-형식주의적 방법 : 작품을 외적 조건에서 분리시켜 작품 자체의 내적 구조에 의해서 분석하는 방법.

 

㈀ 언어의 분석에 의한 정밀한 독서를 중시하며, 언어의 운용이 문맥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찰

 

㈁ 문학을 작품 내부의 문제로만 한정하려는 데 문제가 있다.

 

 

 

-사회학적 방법 : 문학을 사회적 소산으로 보고, 사회 · 문화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 관계의 반영이나 결과로 해명하려는 방법

 

㈀ 문학과 사회 제도, 작자의 사회적 지위, 문학의 소재로서 사회의 모습, 문학의 전달과 공급의 문제를 다룬다.

 

㈁ 문학은 그것이 생성된 환경 · 문화와 분리되어서는 충분히 이해되지 않으므로, 거기에 나타난 사회상과 사상도 형태나 기법 못지 않게 중요성을 지닌다는 관점이다.

 

㈂ 문학을 사회학의 일종으로 종속시킬 우려가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