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살아 있는 것은 흔들리면서 - 오규원 -

by 휴리스틱31 2021. 12. 15.
728x90

살아 있는 것은 흔들리면서
                                                                              - 오규원 -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상징적, 고백적, 명상적, 의지적

 표현

* 도치법, 의인법의 사용

* 화자와 대상을 동일시함.

* 동일한 어구의 반복으로 시적상황을 부각함.

* 의지적이고 명령적이고 단정적인 어조의 사용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튼튼한 줄기를 얻고 → 생명력의 부여

    * 살아 있는 몸인 것을 증명한다. → 자신의 생명력을 확인함.

    * 바람 → 잎을 흔들어서 생명력을 부여하고, 슬픔과 고통과 고독을 불러 일으켜 화자를 성찰하게 함.

    * 자기를 헤집고 있다. → 자기성찰. 진정한 자신을 찾기 위한 노력. 의인법

    * 피하지 마라 → 주제의 강조.  도치법.  명령적이고 의지적 어조

    * 빈들 → 슬픔과 고독, 고통 속에서 자신을 찾을 수 있는 곳.  깨달음의 공간

 

 

 주제 흔들림 속에 진정한 삶이 있다는 깨달음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자연물이 흔들리는 모습을 통해 얻게 되는 성숙함과 생명력의 발견

◆ 2연 : 외적 시련(바람)으로 인해 내적인 갈등을 하는 자연물

◆ 3연 : 자연의 섭리를 통해 얻게 되는 삶에 대한 깨달음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삶은 움직임이다. 무생물도 움직임이 있으면 생명의 느낌을 주지 않는가.  우리를 동요시켜, 때로는 삶을 불안하게 요동치게 하는 슬픔이나 고독이나 고통의 바람이 몰아칠 때, 생각하면 그것은 왕성한 생기를 만끽하게 하는 기회다. 대개의 사람이 바라 마지 않는 안녕하고 무사한 삶은, 때로 지독한 권태감을 준다. 정지된 삶은 생기가 희박하다. 권태는 그런 생활의 하품이다. 오라, 생의 흔들바람이여! 흔쾌히 흔들리리라. 흔들리면서 살아 있음을 즐기리라. 낭창거리고 넘늘거리고, 재미있게 휘청거리리라. 휘둘리기만 하지 않으리라! <시인 황인숙>]

 

 

흔들려서 튼튼한 줄기를 얻고, 또 흔들려서 스스로 살아 있는 몸인 것을 증명하는 행위.  전자이든 후자이든 움직임의 원천이 밖으로부터 온다는 점에서는 수동적이다. 그러나 얻고, 증명하는 일은 능동적인 행위다. 바람이라는 외적인 조건 속에서 수 만의 잎들이 생존을 증명하고 있다. 오규원의 시 속에서 들판은 곧 '세상(현실)'이다. 슬픔, 고독, 고통 ……. 그런데 시인은 그것을 회피하지 말라고 주문한다. 왜? 슬픔, 고독, 고통 ……. 빈 들에 가서 깨닫는 것, 그것은 비록 시인은 '우리'라고 표현하지만, 앞의 빈 들에서 결국 흔들리는 것은 홀로임을 깨닫게 하기 위해서다. 세상엔 수 만의 잎들이 존재하고, 그들 모두 제각각 흔들리나 결국 흔들리는 것은 나 하나다. 나 혼자가 아니라 우리가 늘 흔들리고 있으므로 그것은 위안이 될 수 있을까?

시인은 '피하지 마라'란 말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지 잘 알고 있다. 그렇기에 위의 두 연은 4행과 7행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마지막 연은 단 3행으로 이루어진다. 첫 연은 다음과 같은 동세(動勢)를 갖는다. "흔들려서 얻고 증명한다." 둘째 연은 "바람이 불고 몸을 가누고 쓸리며 자기를 헤집는다." 그러나 마지막 연은 단 하나의 동세를 갖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그조차도 동적인 느낌보다는 태도의 문제가 된다. "피하지 마라"는 깨달음인 것이지 움직임은 아니기 때문에 …….

종종 오규원의 시를 읽노라면 그가 반동(反動)의 시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시인의 시는 대개 동세(動勢)로 시작해서 정세(靜勢)로 끝난다. 그럼에도 그의 시가 감동을 주는 까닭은, 그 꼿꼿함 때문이다.

 

"오규원의 시적 언어의 특징은, 그 언어가 세계와 현실을 모방하는 언어가 전혀 아니라는 점이다. 그는 '있는 그대로' 혹은 '보이는 그대로'의 세계를 말하지 않고, 그 세계의 모습을 뒤집거나  관습적인 시각과 논리의 틀을 해체하려 한다. 이러한 태도는 시인에게 자아와 대상과의 합일이나 교감의 정신을 멀리하고 당연히 대상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게 만드는 근거가 된다.

시인의 그러한 비판정신은 주위의 모든 사물이나 현상뿐 아니라 시인의 자아를 대상화하여서도 어김없이 적용되고 있다. 오규원의 이러한 시각은 세계의 모습이 허상이고, 그 세계 너머 어떤 본질적 실체나 초월적 진실이 있다는 믿음 때문이 아니라, 그가 추구하는 시적 방향이 자신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과 그것들이 구성하는 이 세계 아에서의 질서와 관계를 의심하는 반역적 정신 때문이다. 그의 정신이 지향하는 세계가 무엇인지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 어떤 억압이나 인습으로부터 묶이지 않는 진정한 자유의 세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