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開花)
- 이호우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관념적, 관조적, 명상적, 상징적
◆ 표현 : 3장 6구의 정형성
구별 배행 시조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1연 → 꽃이 피는 모습을 우주의 열림이라는 차원으로 표현함.
'하늘이 열린다'는 표현은 꽃의 탄생으로 인해 그 꽃의 새로운 세계가 시작됨을 암시한 것임.
* 2연 → 개화의 절정을 극적으로 표현한 것.
생명 탄생의 마지막 순간의 극적인 긴장감이 나타나며, 표현의 절제가 돋보임.
* 3연 → 개화를 위해 모든 삼라만상이 숨을 죽이는 모습으로, 생명에 대한 경이감이 함축되어 있음.
◆ 주제 : 생명 탄생의 신비감과 긴장감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꽃이 피는 모습
◆ 2연 : 개화의 절정
◆ 3연 : 생명에 대한 경이로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3장 6구라는 정형시적 성격이 잘 드러나 있다고 평가되는 작품이다. 그럼에도 이 시조는 '전통적'이라는 느낌보다 '현대적'인 느낌이 더 강하다. 꽃이 피는 그 절대적인 순간을 시조의 군더더기 없는 단아한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아주 평범한 개화라는 제재를 가지고 생명의 신비와 긴장감을 극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이 시는 분명 이호우적인 미의식의 소산이다. 생명 탄생의 엄숙성과 신비감을 긴장감이 감도는 밀도 있는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자화상 - 서정주 - (0) | 2021.12.21 |
---|---|
[현대시 해설]결빙의 아버지 -이수익- (0) | 2021.12.21 |
[현대시 해설]새 - 박남수 - (0) | 2021.12.21 |
[현대시 해설]가는 길 - 김광섭 - (0) | 2021.12.21 |
[현대시 해설]바다와 나비 - 김기림- (0) | 2021.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