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난 곬족
-백 석-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넛집엔 복숭아 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무 고무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山)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洪)동이 작은 홍(洪)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엄매 사춘누이 사춘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웃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구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 싸움 자리 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가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사슴>(1936)-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회고적, 산문적, 토속적, 서사적, 사실적
◆ 표현
* 사투리의 사용과 토속적 소재 나열
* 반복, 나열, 언어 유희적 성격으로 사설시조나 민요의 기법이 나타남.
* 산문적 리듬과 명절 분위기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
* 인물과 사건이 결부된 서사적 진술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여우난 곬족 → 여우가 난 골짜기 부근에 사는 일가 친척들
* 진할머니 → 아버지의 외할머니
* 별자국 → 천연두 흉터 자국
*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 자기 표현이 자유롭지 못하고 어눌한
*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 우직하니 일만 하는 성격
* 포족족하니 → 빛깔이 고르지 않고 파르스름한 기운이 도는(화가 나서 토라지는 모양을 흉내낸 말)
* 매감탕 → 엿을 고거나 메주를 쑨 후 솥을 씻은 진한 갈색의 물
* 코끝이 빨간 → 남몰래 많이 우는
* 언제나 흰 옷이 정하던 → 고모의 깔끔한 성격이 드러남.
* 토방돌 → 집의 낙수 고랑 안쪽으로 돌려가며 놓은 돌. 섬돌
* 오리치 → 오리를 사냥하는 평북 지방 특유의 사냥 용구
* 반디젓 → 밴댕이젓
* 송구떡 → 소나무 어린 가지의 속껍질을 넣어 만든 떡
*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 서느런 느낌이 드는 북쪽 지역임을 드러냄.
* 저녁술 → 저녁밥 먹는 숟가락
* 숨굴막질 → 숨바꼭질
* 아르간 → 아랫간, 아랫방
* 조아질, 쌈방이, 바리깨돌림, 호박떼기, 제비손이구손이 → 아이들 놀이의 여러 종류
* 조아질 → 공기 놀이
* 쌈방이 → 가까 싸움 놀이
* 바리깨돌림 → 밥그릇 뚜껑 돌리기
* 제비손이구손이 → 서로 다리를 끼고 노래 부르며 다리를 세는 놀이
* 화디 → 등잔을 얹는 기구
* 사기방등 → 방에서 켜는 사기 등장
* 홍게닭 → 새벽닭
* 텅납새 → 처마의 안쪽 지붕
* 무이징게국 → 무와 민물새우를 넣어서 끓인 국
◆ 서정적 자아 : 유년기에 체험했던 여우난 골의 공동체적 삶을 그리워하고 있는 사람
◆ 주제 → 혈족들의 공동체적 삶에서 우러나는 고향의 풍요로움
삶의 순수성과 고향의 정취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명절날 진외가에 감 - 배경 설정
※ 인물과 사건이 결부된 서사적 진술이 이루어짐.
◆ 2연 : 일가 친척들의 모임
※ 큰집에 모이는 친척들의 외양, 삶의 특성 등에 대하여 직,간접의 묘사적 진술을 하고 있으며, 끈끈한
공동체적 의식이 엿보이며, 명절날의 토속적 음식과 풍속 또한 구체적으로 진술됨.
◆ 3연 : 명절의 넉넉한 음식과 떠들썩한 분위기
※ 친척들의 풍요로운 인정미와 고향의 정취가 훈훈하게 느껴짐.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시인의 초기 대표작으로 일가 친척들이 모두 모인 명절날의 정겨운 풍경을 관찰자적 시선과 사실적인 묘사로 그려내면서 농촌 공동체의 풍요로운 삶의 원형을 재현해 낸 작품이다.
이 시는 또한 유년의 '나'가 체험하는 명절날의 풍속을 시간적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서사적인 시간 구성을 지니고 있다. 즉 명절날 유년의 화자가 '엄매 아배를 따라' 큰집으로 나서면서부터 저녁과 밤, 다음날 아침까지의 하루 동안의 이야기를 시간적 경과에 따라 서사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시는 명절을 즐기는 공동체의 풍요로움을 다양한 시적 대상을 동원하여 표현함으로써 끈끈한 인간적 체취를 물씬 풍기게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고향을 상실한 일제 암흑기에 그것을 회복할 수 있는 원초적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1930년대의 시에 나타나는 고향의식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의 우리 시에는 고향을 제재로 다룬 작품이 많다. 나라를 빼앗긴 상황에서 민족이나 국가에 대한 그리움을 고향으로 드러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대에 등장한 고향을 노래한 시들은 대체로 고향을 '상실의 공간', 혹은 '가족 공동체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그리움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정지용, 백석, 이용악, 오장환, 윤동주 등이 이에 해당하는 시인들이다. 정지용이나 백석의 경우에는 구체적인 삶의 체험을 바탕으로 고향 마을을 정겨운 모습으로 형상화하면서 향토적인 서정성을 노래하고 있다. 정지용의 '향수'나 백석의 '여우난 곬족' 등이 대표적이다. 반면에 이용악과 오장환의 경우에는 '상실 의식'이 주조를 이루는데, 삶이 터전을 잃어 버리고 유랑하는 비애감이 짙게 깔려 있다. 오장환의 '고향 앞에서'나 이용악의 '그리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윤동주의 경우는 이러한 상실감을 내면화하여 자아의 존재성과 연결지어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1930년대 우리 시에 나타난 고향의 노래는 당대 식민지라는 시대 상황과 밀접히 관련되어 나타난 작품들로 이해할 수 있다.
◆ '여우난 곬족'의 등장 인물
이 시에서 2연에 제시된 여러 인물들은 여러 개의 이미지가 중첩되어 나열되는 식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 때 동원된 이미지들은 그 인물의 객관적인 성격이라기보다는, 어린 시절 화자의 눈에 비쳐졌던 이미지이다. 즉, 시인은 철저하게 어린 소년의 눈으로 되돌아가 그 인물들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그러한 등장 인물들, 즉 곰보인 신리 고모, 홀아비의 후처가 된 토산 고모, 과부가 된 큰골 고모 주정뱅이 삼촌 등 시적 화자가 그리워하는 고향 가족들 대부분이 특별히 잘나지 못하고 무언가 한 가지씩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이들이 모인 공간은 그들의 결함을 덮어 버리는 화합의 공동체적인 공간으로 제시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화자는 그러한 인물들과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던 유년기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적막강산 -백석- (0) | 2022.01.19 |
---|---|
[현대시 해설]노루 - 함주시초 2 -백석- (0) | 2022.01.19 |
[현대시 해설]국수 - 백석 - (0) | 2022.01.19 |
[현대시 해설]석양 - 백석 - (0) | 2022.01.19 |
[현대시 해설]가즈랑집 -백석- (0)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