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원(八院) - 서행시초(西行詩抄) 3
-백 석-
차디찬 아침인데
묘향산행 승합자동차는 텅하니 비어서
나이 어린 계집아이 하나가 오른다.
옛말 속 같이 진진초록 새 저고리를 입고
손잔등이 밭고랑처럼 몹시도 터졌다.
계집아이는 자성(慈城)으로 간다고 하는데
자성은 예서 삼백오십 리 묘향산 백오십 리
묘향산 어디메서 삼촌이 산다고 한다.
새하얗게 얼은 자동차 유리창 밖에
내지인(內地人) 주재소장(駐在所長) 같은 어른과 어린아이 둘이 내임을 낸다.
계집아이는 운다, 느끼며 운다.
텅 비인 차 안 한 구석에서 어느 한 사람도 눈을 씻는다.
계집아이는 몇 해고 내지인 주재소장 집에서
밥을 짓고 걸레를 치고 아이보개를 하면서
이렇게 추운 아침에도 손이 꽁꽁 얼어서
찬물에 걸레를 쳤을 것이다.
-(1939)-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비극적, 애상적, 서사적, 감각적, 연작시
◆ 특성
① 현재형 어미를 사용하여 시적 상황을 생동감 있게 표현함.
② 계절적 배경을 통해 비극적 상황을 심화시킴.
③ 화자가 관찰자적 시선으로 시적 대상을 바라봄.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팔원 → 묘향산 부근에 있는 마을 이름
* 차디찬 아침 →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 부정적 시대 상황, 일제 강점하의 냉혹한 현실
* 묘향산행 승합자동차 → 공간적 배경
* 텅하니 비어서 → 쓸쓸함, 황량함.
* 나이 어린 계집아이 → 시적 대상. 일제강점기를 힘들게 살아가는 우리 민족의 상징
* 옛말속 → 옛날 이야기
* 진진초록 새 저고리 → 진하디 진한 초록 저고리, 깨끗한 옷차림새
* 손잔등이 밭고랑처럼 몹시도 터졌다. → 계집아이의 고달픈 삶의 흔적, 저고리와 대조되는 이미지
* 계집아이는 자성으로 ~ 삼촌이 산다고 한다.
→ 계집아이의 불확실한 목적지, 방향성을 상실한 우리 민족의 상징
* 새하얗게 얼은 → 고난과 시련의 이미지
* 내지인 → 일본인
* 내임 → 일본어로 '요금'을 의미함.
* 계집아이는 운다, 느끼며 운다 → 자신의 처지에 대한 슬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
* 어느 한 사람 → 화자 자신을 객관화한 말
* 눈을 씻는다 → 계집아이를 향한 연민의 정
* 아이보개 → 아이를 돌보는 사람. 시적 허용.
* 이렇게 추운 아침에도 ~ 찬물에 걸레를 쳤을 것이다.
→ 계집아이의 고달픈 삶의 모습을 상상함. 고통스러운 우리 민족의 삶
◆ 화자 : 어린 계집아이를 바라보면서 그 계집아이의 지난 삶을 상상하는 사람
◆ 주제 :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비극적 삶
[시상의 흐름(짜임)]
◆ 1~3행 : 이른 아침 텅 빈 묘향산행 승합차에 오르는 계집아이
◆ 4~12행 : 우는 계집아이와 화자의 연민
◆ 13~16행 : 화자가 상상하는 계집아이의 지난 삶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서행시초'는 백석이 고향인 평안도 지방을 중심으로 여행한 시편들을 모은 연작시로 「팔원」은 그 세 번째 작품이다. 이 시의 화자는 어린 계집아이의 모습을 지켜보며 그 계집아이의 지난 삶을 상상하고 있다. 제목인 '팔원'은 평안북도 연변군에 있는 산촌 마을이다. 화자는 팔원에서 묘향산행 승합자동차를 타고 있고, 승합자동차에 밭고랑처럼 터진 손잔등을 가진 나이 어린 계집아이가 오른다. 계집아이는 '자성'이라는 곳으로 간다고 하는데 묘향산 어딘가에 삼촌이 산다면서 묘향산행 승합자동차를 타고 있다. 이는 계집아이의 목적지가 불분명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화자는 계집아이의 지난 삶을 상상하며 연민의 눈물을 흘린다.
이 작품에서 '차디찬 아침', '새하얗게 얼은 자동차 유리창 밖' 등으로 형상화된 한겨울의 스산한 풍경은 계집아이의 처지와 어울려 애틋하고 애잔한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그리고 어린 계집아이가 삶의 터전을 잃고 유랑하는 모습은 식민지 상황에서 겪은 우리 민족의 삶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어린 계집아이는 일제 강점하에 희생당한 우리 민족의 한 전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계집아이의 불분명한 목적지는 바로 방향성을 상실한 우리 민족의 삶을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생의 감각 - 김광섭 - (0) | 2022.01.26 |
---|---|
[현대시 해설] 허준 -백석- (0) | 2022.01.19 |
[현대시 해설]정주성 -백석- (0) | 2022.01.19 |
[현대시 해설]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 - 백석 - (1) | 2022.01.19 |
[현대시 해설]적막강산 -백석- (0)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