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시가/한시 해설]촉규화(蜀葵花) -최치원-

by 휴리스틱31 2022. 4. 24.
728x90

촉규화(蜀葵花)                               -최치원-

 

 

[ 이해와 감상 ]

 

이 시는 자신의 성장 환경과 처지를 그와 유사한 속성 및 상태를 지닌 꽃에 비유하여 자신의 감정을 이입한 영물시이다. 까닭에 '거친 밭'은 바로 이국인인 자신의 신분을 비유하며, '수레에 탄 사람'이 보아 주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알아 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비판인 셈이다. '흐드러지게 핀 꽃송이'가 뛰어난 자신의 능력을 비유한 것임은 문맥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 거친 밭 → 화자의 처지를 비유한 말

* 흐드러지게 핀 꽃송이 → 화자의 뛰어난 능력을 비유

 

한 말

* 향기 → 완숙한 학문적 경지

* 수레 탄 사람 → 고귀한 신분의 인물(화자 자신의 능력을 알아줄 사람)

* 벌 나비 → 보잘것없는 사람

* 천한 땅 → 세상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근본적 이유에 해당함.

* 스스로 부끄러워 → 자조, 신분 때문에 느끼는 소외감

* 참고 견디네 → 한탄 및 체념

 

 

 [ 정리 ]

 

 형식 및 갈래 : 한시(5언 율시), 영물시

 특성

*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쓸쓸한 감정을 드러냄.

* 자신의 재능을 몰라보는 세상에 대한 안타까움과 한탄을 드러냄.

* 제목은 '접시꽃'을 뜻함.

 구성

* 수련 : 화자의 신분적 한계와 뛰어난 능력

* 함련 : 화자의 학문적 경지

* 경련 : 화자의 능력을 몰라주는 현실

* 미련 : 자신의 처지에 대한 자조와 한탄

 주제 : 자신의 능력을 알아주지 않는 현실에 대한 한탄

 문학사적 의의 : 자신의 처지와 상황을 자연물에 의탁한 영물시의 대표적 작품임.

 

[ 참고 ]

 

◆ 영물시 → 한시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물(자연물, 혹은 인공물)의 속성이나 상태를 통해 화자 자신이 드러내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갈래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