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정지용-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감각적, 묘사적, 관조적
◆ 표현
* 간결한 시행과 규칙적인 연 구성으로 자연스런 휴지(休止)와 여백의 미 조성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추보식 구성)
* 자연 현상에 대한 섬세한 묘사로만 시상을 전개함.(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함)
* 주관적 감정을 배제하고 자연을 관찰하여 묘사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돌에 / 그늘이 차고 → 비구름(먹구름)이 몰려오는 장면, 서늘한 기운이 덮침.
* 따로 몰리는 / 소소리 바람 → 비가 내리기 직전에 바람이 부는 모습
* 소소리 바람 → 차갑고 으스스한 느낌을 주는 '회오리 바람'의 방언
* 앞 섰거니 하여 / 꼬리 치날리어 세우고 → 빗발이 바람에 불리어 날리는 모양에 대한 묘사
* 종종 다리 까칠한 / 산새 걸음걸이 → 서둘러 몸을 피하는 산새들의 모습을 묘사함.
* 여울 지어 / 수척한 흰 물살 → 빗물이 여울을 이루어 계곡으로 흘러가는 모습(의인화)
* 갈갈이 / 손가락 펴고
→ 계곡의 여울이 일으키는 여러 갈래의 흐름을 의인화한 표현. 얕게 흐르는 계곡 물
* 멎은 듯 / 새삼 듣는 빗낱 → 멎을 듯하다가 다시 오는 비를 생동감 있게 묘사
* 빗낱 → 빗방울
* 붉은 잎 잎 / 소란히 밟고 간다.
→ 빗방울이 붉은 나뭇잎에 떨어지는 정경으로, 나뭇잎에 후두둑 거리며 떨어지는 빗소리를 선명한 이미지로 묘사함. 산중의 고요함을 간접적으로 드러냄.
◆ 제재 : 비
◆ 주제 : 비 내리는 날의 서경과 서정
[시상의 흐름(짜임)]
◆ 기(1연∼2연) : 비 내리기 직전의 모습(돌에 그늘이 차고 바람이 부는 모습)
◆ 승(3연∼4연) : 빗방울이 여기저기 다투어 떨어지기 시작하는 모습
◆ 전(5연∼6연) : 빗물이 모여서 여울이 되어 흘러가는 모습
◆ 결(7연∼8연) : 빗방울이 나뭇잎에 떨어지는 정경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한국 현대시 400선 - 이해와 감상』(양승국 저)에서
이 시는 정지용의 시 가운데서 시어, 사물에 대한 인식, 형식 등에 있어서 가장 정제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작품이다. 자연 현상을 섬세한 묘사로 표현한 이 작품은 정교한 언어로 그려진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시적 화자는 비 내리는 모습을 감각적 시어의 유기적 결합 방법과 순차적 시간의 질서에 따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을 뿐, 그 어떤 감정 표출도 나타나지 않는다.
모두 8연으로 이루어진 작품이지만, 규칙적으로 두 개의 연이 하나의 단락을 이루어 보두 네 장면을 펼쳐 보여 주고 있다. 1 · 2연은 비 내리기 직전, 돌에 그늘이 차고 어지럽게 바람이 부는 모습을, 3 · 4연은 빗방울이 여기저기 앞다투어 떨어지는 모습을 '종종다리 까칠한 / 산새 걸음걸이'로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5·6연은 빗물이 모여 여울 지어 흘러가는 모습을 '수척한 흰 물살', '갈갈이 / 손가락 펴고'와 같이 의인화하여 보여 주고 있다. 마치 하얀 뼈마디를 드러낸 것처럼 물보라를 일으키며 여러 갈래로 흘러내리는 여울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비가 계속되었음을 알려 주는 동시에, 첫 단락과의 시간의 간극을 짦은 시행과 규칙적인 연 구분으로 자연스럽게 해소하고 있다. 7 · 8연은 빗방울이 나뭇잎에 떨어지는 모습을 '붉은 잎 잎 / 소란히 밟고 간다'고 표현함으로써 후두둑 소리를 내며 떨어지는 빗소리가 그대로 들려올 것같이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 정지용의 '산수시'
'비'는 비 내리는 정경을, 산수화를 떠올리게 하는 관찰적 소묘의 방식으로 그려 낸 산수시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특징은 정지용이 1930년대 중반 이후부터 1940년대 초에 발표한 '옥류동', '장수산1 · 2', '백록담' 등의 일련의 시에 드러나는 경향이다. 이러한 시적 경향은 일제 강점기 말기의 억압적인 상황과 연관 지을 수 있다. 이 시기에 정지용은 자연을 담담히 그려 낸 산수시를 통해 현실과 대결하지는 못하지만 타협하지도 않겠다는 태도를 보인 것이다.
[더 읽을거리] : 권영민, "문학사와 문학 비평", 문학동네, 2009
이 시의 전체적인 짜임새를 보면, 제1연에서부터 제6연까지의 내용이 모두 가을비가 내리기 직전의 산골짜기의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 시적 화자는 묘사의 핵심을 이루는 시적 대상에 대한 '지배적 인상'을 포착하는 데 힘쓴다. 시상의 발단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산골짜기에 어리는 그늘과 몰려오는 바람이다. 구름이 밀려와 햇빛을 가리자 그늘이 드리워지고 뒤이어 바람이 몰려온다.
첫 연에서 '돌에 / 그늘이 차고,'라는 진술에 담긴 감각적 이미지가 인상적이다. 이 대목을 산문적으로 풀이한다면, 실상은 하늘에 구름이 끼어 흐려지고 있음을 말한다. 하늘이 흐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직설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오히려 바위 위로 드리우는 그늘과 거기서 느껴지는 촉감을 통해 날씨의 변화를 암시한다. 그리고 곧바로 음산하고 찬 기운을 담고 있는 소소리바람이 골짜기로 밀려온다. '돌이 / 그늘이 차고, // 따로 몰리는 / 소소리바람.'에서 앞부분이 정적인 이미지가 강하다고 한다면 뒷부분은 동적인 이미지를 주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 촉감을 중심으로 하는 묘사와 시각적 감각을 중심으로 하는 묘사가 한데 어울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시의 1~2연에서 느껴지는 어수선한 분위기를 깨치는 것은 어딘가에서 날아온 산새 한 마리이다. 바람이 스치는 골짜기에 꼬리를 세우고 산새가 돌 위에서 이리저리 움직인다. 산새의 가는 다리가 까칠하게 느껴지는 것은 아마도 바람의 차가운 기운 탓일 것이다. 제1~2연에서 '그늘'과 '바람'이라는 이미지의 지배적 인상을 포착함으로써 산골짜기의 날씨 변화를 암시했던 시적 화자는 여기서 '산새'라는 시적 대상을 통해 이러한 지배적 인상을 더욱 구체화한다. 우선 주목할 것은 '앞섰거니 하여'라는 서술어이다. 이 서술어의 주체가 산새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무엇을 앞섰다는 것일까? 이것은 바로 앞의 제2연에서 묘사한 '따로 몰리는 / 소소리바람.'을 두고 하는 말이다. 어쩌면 바람의 뒤에 따라올 비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꼬리 치날리어 세우고,'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바람결에 꼬리가 위로 치날리어 세워진 산새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면, 산새가 비를 몰고 오는 바람에 앞섰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제5~6연의 '여울 지어 / 수척한 흰 물살, // 갈갈이 / 손가락 펴고.'는 돌 틈으로 흐르는 물을 그린 것이다. 제4연의 까칠한 다리로 종종걸음을 치는 산새와 대조를 이루는 이미지이다. '수척한 흰 물살'은 여름철같이 불어나 있지 않은 가을 산골짜기 물을 말한다. 골짜기로 흐르는 물이 급하게 여울져 흐르기 때문에 하얀 물살이 손가락을 편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까칠한'이라는 형용사를 동원하여 산새의 다리를 묘사한 것과 물이 함께 줄어들고 있는, 골골이 갈라지며 흐르는 흰 물살을 '수척한'이라는 형용사로 묘사하고 있는 것도 좋은 대응을 이룬다. <중략>
이 시의 시적 주제에 온전하게 다가서기 위해서는 제7연과 제8연에 이르러서야 떨어지기 시작하는 빗방울에 주목해야 한다. 여기서 떨어지기 시작하는 빗방울은 어두운 그늘을 드리우는 구름, 음산한 소소리바람, 까칠한 다리로 종종걸음을 치는 산새, 하얗게 여울져 흐르는 물살로 이어지는 하나의 시적 결정체이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 비는 우주와 자연의 산물이 된다. 이 시의 제1연에서 제6연까지는 비가 내리기 직전, 늦가을 산골짜기의 분위기를 섬세한 감각으로 그려내고 있다.
[교과서 활동 다지기]
1. 이 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이 무엇을 묘사하고 있는지 상상해 보자.
→ 시상의 흐름으로 대신함.
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구를 찾은 다음, 그 시구가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 보자.
'비'는 비가 내리는 정경을 감각적인 이미지를 동원해 섬세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정교한 언어로 이루어진 자연 현상에 대한 섬세한 묘사는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느낌을 자아낸다. |
* 1, 2연 → 비가 오기 전 주위가 어두워지고 찬바람이 부는 모습을 시각적 이미지와 촉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 3, 4연 → 산새들의 바쁜 움직임을 시각적 이미지로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 5, 6연 → 여울이 여러 갈래의 가늘고 하얀 물줄기를 이루며 흘러가는 모습을 의인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 7, 8연 → 멎은 듯하다가 다시 내리는 빗방울이 붉게 물든 잎 위에 떨어지는 모습을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묘사하고 있다.
3. 다음 개화 가사와 비교하여 정지용의 '비'가 지니고 있는 현대성에 대해 생각해 보자.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닭 그린가. 문명 개화 하랴 하면 실상 일이 제일이라. |
못에 고기 불워 말고 그물 맺어 잡아 보세. 그물 맺기 어려우랴 동심결(同心結)로 맺어 보세. -이중원, '동심가' 중에서 |
→ '동심가'에서는 '고기'(개화된 문명), '동심결'(민족의 단결) 등의 상징적 표현을 활용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교훈적 내용을 직설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시적인 형상화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비'에서는 비 내리는 정경을 절제된 감정과 정제된 시어를 통해 감각적으로 그려 내고 있어 현대 서정시로서의 특질을 충분히 드러내고 있다.
4. 다음은 '비'를 산문으로 개작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서정 갈래의 특징을 이해해 보자.
먹구름이 몰려오니 이내 돌에 그늘이 지고 습기를 머금은 찬바람이 분다. 산새들은 종종걸음으로 비를 피하려고 바삐 움직인다. 조그만 여울은 흰 물살을 일으키며 갈래갈래 가느다랗게 흐른다. 비가 멎은 듯하더니 새삼 다시 떨어지기 시작하고, 붉은 잎마다 빗방울이 떨어져 빗소리가 소란스럽게 들린다. |
(1) '비'를 위와 같이 개작했을 때, 시와 비교하여 느낌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말해 보자.
* 긴 호흡의 산문으로 바뀌면서 시의 운율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 일상어를 중심으로 표현하여 시어의 함축성이 사라졌다.
* 장면이 사실적이고 명확하게 드러나지만 정서적 분위기가 약화되었다.
(2) (1)을 바탕으로 서정갈래의 특징에 대해 생각해 보자.
→ 서정 갈래는 일반적인 산문과 달리 운율감이 느껴지며, 간결하고 함축적인 언어가 사용된다. 또한 단순한 사실의 제시가 아닌 정서의 전달을 주된 기능으로 하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진달래꽃-다시 4 · 19 날에 -이영도- (0) | 2022.04.29 |
---|---|
[현대시 해설]연륜(年輪) - 김기림 - (0) | 2022.04.29 |
[현대시 해설]발열 - 정지용 - (0) | 2022.04.28 |
[현대시 해설]춘설 - 정지용 - (0) | 2022.04.28 |
[현대시 해설]말(馬) - 정지용- (0) | 2022.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