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그 방을 생각하며 -김수영-

by 휴리스틱31 2022. 4. 29.
728x90

그 방을 생각하며
                                                                              -김수영-

 

혁명(革命)은 안 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 버렸다

그 방의 벽에는 싸우라 싸우라는 말이

헛소리처럼 아직도 어둠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나는 모든 노래를 그 방에 함께 남기고 왔을 게다

그렇듯 이제 나의 가슴은 이유 없이 메말랐다.

그 방의 벽은 나의 가슴이고 나의 사지(四肢)일까

일하라 일하라 일하라는 말이

헛소리처럼 아직도 나의 가슴을 울리고 있지만

나는 그 노래도 그 전의 노래도 함께 다 잊어 버리고 말았다.

 

혁명은 안 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 버렸다

나는 인제 녹슬은 펜과 뼈와 광기(狂氣)

실망의 가벼움을 재산(財産)으로 삼을 줄 안다

이 가벼움 혹시나 역사(歷史)일지도 모르는

이 가벼움을 나는 나의 재산으로 삼았다.

 

혁명은 안 되고 나는 방만 바꾸었지만

나의 입속에는 달콤한 의지의 잔재(殘滓) 대신에

다시 쓰디쓴 담뱃진 냄새만 되살아났지만

 

방을 잃고 낙서(落書)를 잃고 기대(期待)를 잃고

노래를 잃고 가벼움마저 잃어도

 

이제 나는 무엇인지 모르게 기쁘고

나의 가슴은 이유 없이 풍성하다.

 

    -(1960)-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현실 참여적, 상징적, 비판적, 성찰적

 특성

① 유사한 구절을 반복하여 주제의식을 강화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혁명 → 화자가 추구하는 가치

* 방만 바꾸어 버렸다. → 일상적 삶의 무의미한 변화

* 싸우라 싸우라는 말 → 과거 화자의 모습

* 헛소리 → 혁명이 실패한 후의 허무감

* 어둠 → 혁명이 실패한 후의 좌절감

* 모든 노래 → 혁명을 꿈꾸던 열정

* 일하라 일하라 일하라는 말 → 과거 화자의 모습

 

 

* 나는 그 노래도 그 전의 노래도 함께 다 잊어 버리고 말았다.

   → 혁명의 실패로 인한 좌절감, 패배감

* 녹슬은 펜과 뼈와 광기 → 열정이 식은 모습

* 실망의 가벼움을 재산으로 삼을 줄 안다 → 현실을 받아들이며 사는 지혜가 생김

* 달콤한 의지의 잔재 → 과거 혁명에 대한 낭만적 인식

* 쓰디쓴 담뱃진 냄새 →혁명의 실패로 인한 좌절

* 바꾸었지만, 되살아났지만 → 현재의 무기력한 모습과는 다른 상황이 나타날 것임을 짐작하게 함.

* 방을 잃고 낙서를 잃고 기대를 잃고 / 노래를 잃고 가벼움마저 읽어도

   → 과거 화자를 지탱해 주던 것들의 상실. 혁명 과정의 낭만적 정서

* 이제 나는 무엇인지 모르게 기쁘고 / 나의 가슴은 이유 없이 풍성하다

   → 혁명의 실패 이후 모든 것을 잃었지만 그 자리에 희망이 생겨남. 좌절과 허무의 극복

 

 주제 혁명 실패에 대한 탄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갖는 기대와 희망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혁명의 실패와 방을 바꾼 '나'

◆ 2연 : 과거의 열정을 잃고 메말라 버린 가슴

◆ 3연 : 실망의 가벼움을 재산으로 삼을 줄 알게 됨.

◆ 4 ~ 6연 : 혁명에 대한 의지와 기대감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4 · 19 혁명으로 독재 정권이 타도되고 시민들은 그 기쁨에 취해 있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군부에 의한 쿠테타가 일어나면서 다시 독재 정권이 자리 잡게 된다. 이 시는 1960년 10월경에 지어진 작품으로 4 · 19의 혁명 정신이 이어지지 못하고 혼란 속에서 국민들이 공포에 질려 있던 때이다. 이 시는 4 · 19 혁명의 실패 이후 나타나는 화자의 내면 심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1연에서는 혁명 실패 후 바꿔 버린 방을 보면서 느끼는 화자의 자책이, 2연에서는 그 결과 나타나는 화자의 메마른 삶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3~4연에서는 부정적 현실에 대한 결과물('녹슬은 펜과 뼈와 광기', '쓰디쓴 담뱃진 냄새')을 바라보는 화자의 실망감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5~6연에서는 혁명의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화자는 혁명에 대한 의지와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