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거세(赫居世) 신화
본 문
진한(辰韓)에는 옛날에 6촌(六村)이 있었다. 첫째는 알천 양산촌이니 남쪽의 지금 담엄사 방면이다. 촌장은 알평이라 하여 처음 [하늘에서] 표암봉에 내려와 급량부 이씨(李氏)의 조상이 되었다. 둘째는 돌산 고허촌이니 촌장은 소벌도리라 하여 처음 형산에 내려와 사량부 정씨(鄭氏)의 조상이 되었다. <중략>
이 6촌의 조상들이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것 같다. <중략>
전한(前漢) 지절(地節) 원년 임자(壬子, B.C. 69) 삼월 초하루에 6부의 조상들은 저마다 자제들을 거느리고 알천(閼川) 언덕 위에 모여 의논했다.
"우리들은 위로 임금이 없어 백성들을 다스리지 못하기 때문에 백성들은 모두 방자하여 저 하고자 하는 대로 하고 있다. 그러니 어찌 덕이 있는 사람을 찾아서 임금을 삼아,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정하지 않는단 말이냐."
- 6부 조상들의 의논-통치자 강림 기원 -
이에 그들이 높은 곳에 올라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 밑 나정(蘿井, 담쟁이 덩굴이 있는 우물로 농경사회였음을 알 수 있음)이라는 우물가에 번개빛처럼 이상한 기운이 땅에 닿도록 비치고 있었다. 그리고 흰 말 한 마리가 땅에 꿇어앉아 절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그 곳을 찾아가 조사해 보았다. 거기에는 자줏빛 알 한 개(하늘에서 내려 온 태양신의 후손임을 뜻함)가 있었다. 말은 사람을 보더니 길게 울고는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알을 깨고서 사내아이가 나오니, 그 모양이 단정하고 아름다웠다. 모두 놀라고 이상하게 여겨 그 아이를 동천(東泉)에 목욕시켰더니 몸에서 광채가 나고 새와 짐승들이 따라서 춤을 추었다(광명사상의 반영). 이내 천지가 진동하고 해와 달이 청명해졌다. 이에 그를 혁거세왕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위호(位號, 직위를 가리키는 명칭, 곧 왕위를 가리키는 명칭)를 거슬한(居瑟한, 임금, 왕이라는 뜻으로 '거서간'이라고도 함)이라 하였다. 이에 당시 사람들은 다투어 치하하면서 말하였다.
"이제 천자가 이미 내려왔으니 마땅히 덕 있는 왕후를 찾아 배필을 삼아야 합니다."
- 시조 혁거세의 탄생 -
이 날 사량리에 있는 알영정(閼英井, '아리영정'이라고도 함) 가에 계룡(鷄龍, 머리와 발이 닭의 모양과 같은 용)이 나타나 왼쪽 갈비에서 어린 여자아이를 낳았다. 얼굴과 모습이 매우 고왔으나 입술이 마치 닭의 입부리와 같았다. 이에 월성 북쪽에 있는 냇물에 목욕시켰더니 그 부리가 떨어졌다(당시 여자들의 성년식 모습을 뜻한다고 할 수 있음. 물은 원형적으로 '재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영을 시냇물에 씻기는 것은 통과제의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 가능함). 이 일 때문에 그 내를 발천(撥川, '발'에는 제거하다는 뜻이 있음.)이라고 한다.
- 시조의 배필 탄생 -
남산 서쪽 기슭에 궁실을 세우고 이들 두 성스러운 어린이(혁거세와 알영)를 모셔다가 길렀다. 남자아이는 알에서 나왔고, 그 알의 모양이 박과 같았는데 사람들은 박을 박(朴)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성을 박이라고 하였다. 또, 여자아이는 그가 나온 우물 이름으로 이름을 삼았다. 두 성인이 13세가 되자 남자는 왕이 되고 여자는 왕후가 되어, 국호를 서라벌(徐羅伐) 또는 서벌(徐伐)이라고 하고, 혹은 사라(斯羅) 또는 사로(斯盧)라고도 하였다. 또, 맨 처음 왕이 계정에서 난 까닭에 계림국(鷄林國)이라고도 하니 계룡이 상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기를 탈해왕 때 김알지를 얻었는데, 그 때 닭이 숲 속에서 울었다 해서 나라 이름을 계림이라고 고치었다가 후세에 와서 드디어 신라란 칭호로 정하였다고 한다.
- 신라의 건국과정과 국호의 유래 -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만에 왕이 하늘로 올라가더니 이레 후에야 유해가 흩어져서 땅 위로 떨어졌다.(사망과 부활을 파종과 재생에 비유하는 농경 신화적 특성이 반영됨.) 왕후 역시 왕을 따라 작고(作故)하였다. 나라 사람들이 합해서 장사를 지내려고 하였더니, 큰 뱀이 쫓아다니면서 이를 방해하므로 다섯 부분을 다 각각 장사 지내어 다섯 능(陵)으로 만들었다. 이를 사릉(蛇陵)이라고 부르니 담엄사 뒤에 왕릉이 바로 그것이다. 태자 남해왕(南解王)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 시조의 사후 이적 -
작품 정리
◆ 난생(卵生)설화
고대 신화에서 영웅이나 건국 시조가 알 속에서 태어났다고 하는 설화를 '난생설화'라고 한다. 이것은 신화의 주인공의 비범한 혈통과 출생을 강조함으로써, 그 주인공을 신성시하고 그에게 초인적 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이 난생설화는 특히 동북 아시아 지역 민족 설화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사람이 알을 낳는 경우와 하늘이 알을 내리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난생 신화 중, 주몽신화는 사람이 알을 낳는 구조이며, 신라 시조 혁거세를 비롯하여 석탈해, 김알지, 김수로왕 등 남방계의 신화는 하늘이 알을 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알과 그 알을 깨고 사람이 탄생한다는 이야기의 원형적 의미는 '죽음과 신생'이라는 데에 있다. 즉, 알은 생명의 가능성을 품은 죽음의 상태이며 알을 깨고 나온다는 것은 죽음으로부터의 재생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알로써 상징되는 우주적 질서가 깨어지고 새로운 질서의 세계가 도래한다는 의미를 상징한다고 보는 것이다.
천신의 강림에 의한 건국과 신이한 상징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여느 건국 신화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투쟁'이 없이 '추대'로 왕위에 등극한다는 것이 다른 신화와 구별되는 특징이라고 하겠다.
◆ 핵심 정리
* 갈래 : 설화 - 신화
* 성격 : 건국신화, 국조신화, 난생설화
* 배경 사상 : 천부지모(天父地母) 사상, 태양 숭배 사상, 동물 숭배 사상
* 주제 : 혁거세와 알영의 탄생과 그들이 왕과 왕비가 된 내력
* 출전 : <삼국유사> 권1. 신라 시조 혁거세왕
* 특성 : 남방계 설화의 특성을 나타냄.(평화로운 분위기, 부모의 존재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음)
◆ 구조상 특징
'혁거세 신화'는 주인공인 혁거세와 알영의 출생 과정이 다분히 대응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다시 말하면 탄생한 곳이 우물가라는 점이 같고, 인간과 다른 모습으로 태어났다는 점이 같고, 목욕을 시킨 후에 성스러운 모습을 드러냈다는 점이 같은 것이다. 여기에서 태어난 우물가나 목욕을 시킨 사내는 모두 물과 관계가 깊은 지역이다. 예부터 물은 원형적 재생, 신생을 의미한다. 기독교의 세례 의식도 이런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백마 ↔ 계룡
* 나정 ↔ 알영정
* 단정하고 아름다운 사내아이 ↔ 얼굴과 모습이 고우나 입술이 닭을 닮은 여자아이
* 동천 ↔ 월성 북쪽의 냇물(발천) : 물의 이미지(재생, 기독교적 '세례'의 의미, 성년식의 성격)
생각해 보기
◆ 혁거세가 알에서 태어나 임금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암시하는 역사적 · 사회적 의미
⇒ 6부 사람들의 의논 내용 중 '백성들의 방자함'을 걱정하고 이들을 다스릴 덕 있는 사람을 구하고 있는 점은 새로운 질서를 갖춘 세계, 6부를 통합하여 다스릴 임금을 기다리는 마음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이를 역사적 사실과 관련짓는다면, 씨족 또는 부족 단위의 질서를 뛰어넘어 부족 연맹 또는 고대 국가 단위의 질서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혁거세의 탄생과 재생, 등극은 작은 사회가 더 큰 사회 단위로 통합되는 과정을 상징하는 것이며, 혼돈으로부터 덕 있는 임금을 중심으로 새로운 질서를 세우는 우주 질서의 갱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 한국 고대 건국 신화의 특성
① '하늘(천신)'을 중시하는 관념
② 인간 중심적 사고가 반영됨. - 인간으로 태어나 인간을 위해 존재함.
③ 현세적 낙관주의
◆ '닭'의 의미
⇒ 예부터 용은 '왕'을 상징하는 신성스런 존재이다. 알영은 완전한 용이 아닌 머리와 발이 닭의 형상을 한 계룡(鷄龍)의 옆구리에서 태어난다. 이는 혁거세 부인으로서의 신성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부인의 힘이 왕의 힘보다 낮음을 나타내기 위한 형태로 보인다. 또한 '닭'이 울면 어둠이 물러나고 아침이 되듯 왕권의 영원한 신성함을 나타내기 위한 동물로도 해석된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설화 해설]설씨녀와 가실 이야기 - 삼국사기- (0) | 2022.05.04 |
---|---|
[고전산문/설화 해설]방이 설화 - 태평어람 권 481. -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사복불언(蛇福不言) - 작자 미상 -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바리공주(바리데기) (1)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동명왕 신화(주몽신화) - 작자 미상 -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