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생여수(金生麗水)ㅣ라 한들 ~ - 박팽년 -
[현대어 풀이]
- 여수에서 금이 난다고 해서 물마다 금이 나겠으며, (여수에서 항상 금이 나오는 것은 아님.)
- 옥이 곤강에서 나온다고 해서 산마다 옥이 나겠느냐? (모든 산에서 한상 옥이 나오는 것은 아님.)
- 아무리 사랑이 소중하다고 한들 님마다 다 따를 수 있겠는가? (님에 대한 일편단심을 다짐함.)
[창작 배경]
단종을 쫓아낸 수양대군 섬기기를 거부한 사육신 가운데 한 사람인 박팽년의 작품이다. 단종을 향한 일편단심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해 및 감상]
사육신의 절개와 신념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초 · 중장은 대구적인 표현을 이루는 부분으로 종장에 대한 전제를 이루고 있다. '금(金)'과 '옥(玉)'은 '성군(聖君)'을 비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장은 이 작품의 주제를 표현한 장으로서 앞의 전제에 대한 작자의 자세가 단정의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임금을 섬기되 분별없이 여러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것을 비유적 표현 기교로 노래했다. 수양 대군에 의해 쫓겨난 어린 단종에 대한 애끓는 충정을 담아 노래한 작품이다.
* 여수(麗水) : 중국에서 금이 가장 많이 나온다는 강
* 옥출곤강(玉出崑崗) : 옥은 곤강에서 남. '곤강'은 중국에서 옥이 가장 많이 나온다는 곤륜산을 이름.
* 날쏜야 : 나겠느냐, 날 것이냐.
* 암으리 : 아무리
[ 정리 ]
◆ 성격 : 평시조, 절의가
◆ 표현
-. 금과 옥을 성군에 대한 비유로 사용하여 누구나 성군이 되는 것이 아님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초장과 중장의 대구적 표현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함.
-. 설의법을 통해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을 강조함.
◆ 주제 : 일편단심.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 문학사적 의의 : 세조가 단종을 내쫓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던 화자가 단종에 대한 변함 없는 충절을 노래한 작품으로, 비유적 표현과 대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자신의 의지를 드러냄.
728x90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해설] 꿈에 다니는 길이 ~ -이명한- (0) | 2022.05.06 |
---|---|
[고시조 해설]길 우희 두 돌부텨 ~ -정철- (0) | 2022.05.06 |
[고시조 해설]귀거래 귀거래하되 ~ -이현보- (0) | 2022.05.06 |
[고시조 해설]국화야 너는 어이 ~ -이정보- (0) | 2022.05.06 |
[고시조 해설]구름이 무심탄 말이 ~ -이존오- (0) | 2022.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