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사설시조 해설]떳떳 상(常) 평할 평(平) ~

by 휴리스틱31 2022. 5. 19.
728x90

떳떳 상(常) 평할 평(平) ~

 

 

 

[현대어 풀이]

 

  • 상평통보는,
  • 구멍은 네모지고 사면이 둥글어서 땍때굴 굴러다니기도 잘하여, (돌고돌아) 가는 곳마다 반기는구나.
  • 어째서 조그만 그 쇳조각을 머리가 터지도록 다투느냐, 나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해와 감상]

 

엽전(돈)의 생김새와 유통 과정을 통해 사람들이 돈에 너무 집착하고 있음을 비웃으며 자신은 황금만능주의에 물들지 않았음을 말하고 있다. 조선 후기의 돈의 기능뿐만 아니라 돈의 위력과 사람들의 돈에 대한 인식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초장에서 상평통보의 뜻풀이를 하기를 누구나 이것만 있으면 반상(班常)의 구별 없이 떳떳하고 평등하게 널리 통용할 수 있는 보배라고 하였다.

 

 

중장에서는 엽전의 실제 모양이 가운데는 구멍이 네모지고 네 면이 둥글다고 하였는데, 상평통보가 둥글기 때문에 아무 데나 땍대구루루 굴러다니면서 누구나 반기는 대상이 된다고 노래하였다.

종장에서는 아무나 차지할 수 없는 이 쇳조각을 두고 사람들이 머리가 터지도록 다투게 되기 때문에 자기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반어법으로 일부러 능청을 부리고 있다.

이 상평통보는 조선 숙종 4년(1678)에 주조해서 약 2세기 동안이나 쓰였다.

왜 엽전이라 하였을까? 한국 사람을 비하하는 말로 '엽전(葉錢)'이라는 말이 있다. 한국 최초로 전국적으로 쓰이던 개수화폐(個數貨弊)인 상평통보를 당시 민간에서는 한 닢 두 닢으로 헤아린 데서 유래한 말이다. 그런데 왜 잎사귀 '엽'에 돈 '전'이란 말을 썼을까? 옛날 엽전을 만들 때 거푸집(주물 모형)에 쇳물을 부었다가 떼어낸 주화의 모습이, 나뭇가지에 매달린 나뭇잎과 같이 보인다 해서 생긴 말이라고 한다.

 

[정 리]

 

◆ 성격 : 고시조, 사설시조, 해학가, 풍자가

 

 주제 : 황금만능주의를 비웃음(18세기)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