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의 민들레(1962)
-강신재-
● 줄거리
필동의 고래등 같은 기와집에 사는 우태갑 씨는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재산으로 평온하게 살면서 두 아들과 두 딸이 있다. 큰딸 이화는 개성 있고 이지적인 성격에 무언가 특별한 사람이 되고 싶어 의과에 진학한다. 반면, 동생 옥엽은 집안의 살림을 도맡아 하며 희생양과도 같은 알뜰한 살림꾼 노릇을 한다.
6.25가 발발하자 미처 피난을 가지 못한 이화네 가족은 살아남기 위해 공산군에 협조하는, 소위 부역자가 된다. 공산군의 뒷바라지는 옥엽이 전담하고 어머니 심 씨는 노상 스란치마를 허리에 걸고 다니는 어린애같이 인형처럼 철모르고 산다. 이화는 부정적인 태도로 공산군을 대하며 우익 청년 윤지운을 깊이 사랑한다.
전쟁 상황은 악화되어 남동생 동근은 의용군에 자원하여 열성 분자가 되고 동훈은 동굴 속에 숨어서 도피 생활을 한다. 지운은 피난 길에 올랐다가 우여곡절 끝에 서울로 오지만 이화와는 영원히 이별하게 되고 만다. 그것은 지운이 떠난 후 충격을 잊으려던 이화가 의무반에 자원하여 병원에서 일하던 중에 공산군의 후퇴로 인해 강제로 이송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화는 동료 김명식을 만나 탈출 기회를 노리다가 실행에 옮긴다. 옥엽은 자신을 좋아하던 공산군 장교에게 잡혀 가다가 그의 비정한 살상 행위를 보고는 도망친다. 서울로 와 가족을 만나나 아버지는 끌려가 학살당하고 동훈은 병자가 되어 있다. 그 사이 동근이가 전사한 것은 아무도 모른다.
이화는 임진강까지 김명식과 함께 내려왔으나 비행기의 기총 사격을 피하지 못한 채 허무하게 죽고 만다. 강가에 누군가가 떨어뜨린 금빛 훈장을 민들레 꽃송이로 착각하며 죽는 순간, 그녀가 그렸던 생의 이상은 끝나고 만다.
● 인물의 성격
◆ 이화 → 청순하고 지적인 의대 여학생, 강하고 의욕적이며 뜻깊은 생을 갈구하나 비극적이고 허무한 죽음을 맞이함.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도 인생의 진리를 안고 이상을 꿈꾸는 여인.
◆ 옥엽 → 이화의 여동생, 현실적 성격으로 여자로서의 삶에 충실하며 전쟁의 혼란 속에서 온 가족을 보호하기도 한다.
◆ 지운 → 이화의 애인, 야성적이면서도 기품있는 대학생으로, 이상주의자의 면모가 강한 우익 청년.
◆ 동근, 동훈 → 이화의 남동생들, 동근은 공산당 열성 분자가 되었다가 전사하고, 동훈은 도피생활을 하다가 병자가 된다.
◆ 김명식 → 이화의 동료로, 이화와 함께 공산당의 의무반에서 봉사 활동을 하다가 탈출을 시도한다.
◆ 우태갑, 심 씨 → 이화의 부모, 세상 물정에 어두운 인물들임.
● 구성 단계
◆ 발단 : 6.25가 발발하여, 이화네 집의 평온이 깨진다.
◆ 전개 : 이화네 가족은 본의 아니게 부역을 하게 되고, 지운은 쫓기는 신세가 된다.
◆ 위기 : 지운이 도피 끝에 자취를 감추자 이화는 충격을 잊으려고 의무반에 자원하고 동근은 전사함.
◆ 절정 : 의무반이 북으로 강제 이송되어 이화는 서울을 떠나게 되고, 김명식을 새롭게 알게 됨.
◆ 결말 : 옥엽은 아버지의 죽음과 가족의 몰락을 알게 되고, 이화는 민들레의 환상 속에서 최후를 맞이
● 이해와 감상
◆ 이 작품은 6.25 전쟁의 비극적인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이화'라는 여대생의 비극적인 삶과 그 가족의 삶의 굴절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답답하기 짝이 없는 부모님들, 좌충우돌 살아가는 남동생들, 이화의 연인인 윤지운의 이상주의적 모습 등을 강하게 부각시키면서, 전쟁의 참혹상이나 인간성 파괴보다는 전쟁 상황 속에서 다양한 인간의 굴절과 변화의 모습을 드러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전쟁소설이라고 규정하기 어려운 작품이다.
◆ 마지막 장면의 이화의 죽음은 결국 이상이 현실에 패배하고 마는 비극성을 보여주는데, 최후까지도 금빛 민들레의 환상 속에서 아름다우리만치 순수한 죽음을 맞는 이화는 낭만주의와 이상주의를 지향하는 작가 의식의 표본을 볼 수 있게 한다.
● 핵심사항 정리
◆ 갈래 : 장편 소설
◆ 배경 : 6.25전쟁 당시, 서울 필동을 중심으로 한 전국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표현상 특징 : 전쟁의 참상에 대한 사실적 표현과 등장인물에 대한 낭만적 관점
◆ 주제 ⇒ 전쟁을 겪어 나가는 인간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한 여인의 이상의 좌절
◆ 출전 : [임진강의 민들레](1962. 을유문화사)
● 생각해 볼 문제
1. 이 글에서 '민들레'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 여주인공 '이화'가 지니고 있던 '삶의 동경과 이상'을 의미함.
2. 이 작품에는 작가의 낭만적 성향이 짙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그러하다. 구체적으로 말해 보자.
⇒ 죽음을 배경으로 하는 공간에서, 임진강의 아름다운 석양을 묘사하여 미화시키고 있는 점.
이화의 눈에 비친 금속 훈장을 노란 민들레로 비치게 하여 환상적으로 처리한 점.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소설]별을 헨다(1946)-계용묵- (0) | 2021.10.08 |
---|---|
[현대소설]병풍에 그린 닭이(1939)-계용묵- (0) | 2021.10.08 |
[현대소설]젊은 느티나무(1960)-강신재- (0) | 2021.10.08 |
[현대소설]숲속의 방(1985)-강석경- (0) | 2021.10.07 |
[현대소설]지하촌(1936)-강경애- (0) | 2021.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