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수필
개념 및 발달
♠ 개념 : 사회적 변동이나 살아가는 과정에서의 개인적인 체험과 생각 및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글.
♠ 발달 :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기록문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고려 시대 초기부터이지만, 17세기 경부터 한글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일상적 경험을 기술하는 데 있어 국어 문장이 발휘하는 섬세하고도 구체적인 표현력에 대한 인식이 깊어짐에 따라 많은 한글 수필이 출현하게 되었다.
특성 및 의의
♠ 특성
① 수필의 형태는 일기, 기행, 수기, 회고록, 궁정 수상, 내간, 창작 수필 등 다양한 형태를 보임.
② 내간체 → 한글 창제 이후 사대부 여성들을 중심으로 보급되면서 편지와 기행, 생활 기록에서 널리 쓰이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문체로, 한문과 달리 관념성과 규범성을 벗어나 일상적 체험과 느낌을 진솔하게 표현하며, 여성다운 섬세한 관찰력과 표현력으로 국어 산문 문학의 한 경지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③ 민간과 궁중에서 함께 쓰여짐.
④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크게 발전함.
⑤ 궁중 수필은, 궁중에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을 여성 특유의 섬세하고 우아한 표현으로 곡진한 정서와 인간미가 넘치며, 수필 문학의 백미라고 할 수 있음.
⑥ 처음에는 한문으로, 나중에는 순 한글로 주로 쓰여짐.
♠ 의의
① 내간체 문장의 확립
② 양란 전후를 구분짓는 특성, 즉 운문에서 산문으로 흐르는 하나의 맥을 찾게 해 줌.
종류
♠ 한글 수필
① 일기, 기행, 내간, 집필로 크게 나눌 수 있음.
② 운문적인 어투에서 탈피하려는 서민들의 각성에 의하여 이루어짐.
♠ 한문 수필
①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의 패관 문학 작품들을 비롯하여 조선 후기의 문집이 이에 속함.
② 특히 홍만종의 <시화총림><순오지>, 김만중의 <서포만필>,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이 대표적임.
작품
구 분 | 작 품 명 | 연 대 | 작 가 | 내 용 |
궁정 수필 |
계축일기 | 광해군5 | 궁녀 | 광해군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대비의 아들 영창대군을 죽이고 대비를 폐하여 서궁에 감금했던 역사적 사실을 일기체로 쓴 글 |
한중록 | 정조20~순조4 | 혜경궁 홍씨 | 남편인 사도세자의 비극적 죽음과 궁중의 음모, 당쟁, 자신의 기구한 생애를 회고한 자서전적 회고록. | |
인현왕후전 | 숙종~정조 | 궁녀 | 인현 왕후 폐비 사건과 숙종과 장희빈의 관계를 그린 글. <사씨남정기>는 같은 내용을 비유적으로 소설화한 작품 | |
일기 | 산성일기 | 인조 | 궁녀 |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한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치욕적인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글 |
의유당 일기 | 순조 | 연안 김씨 | 순조 29년 함흥 판관으로 부임한 남편 이희찬을 따라가 그 부근의 명승 고적을 찾아다니며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적은 글 | |
기행 | 무오연행록 | 정조22 | 서유문 | 중국에 서장관으로 갔다가, 그 견문, 감상을 자세히 기록한 완전한 산문체 작품 |
북관노정록 | 영조49 | 유의양 | 작가가 함경도 종성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일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 | |
편지 | 우념재수서 | 영조 | 이봉환 | 일본 통신사의 수행원으로 갔을 때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 |
한산유찰 | 영조~정조 | 양주 조씨 | 한산 이씨 집안 사람들 사이에 왕래했던 편지 모음 | |
전기 | 윤씨행장 | 숙종16 | 김만중 | 김만중이 돌아가신 자기 어머니를 추념하여 생전의 행장을 지어 여자 조카들에게 나누어 준 글. |
제문 | 제문 | 숙종46 | 숙종 | 숙종이 막내 아들 연령군의 죽음을 당하여 그 애통한 심정을 쓴 글 |
조침문 | 순조4 | 유씨 | 자식없는 미망인이 바느질로 생계를 유지하다가 바늘이 부러지자 그 섭섭한 심정을 적은 글 | |
기타 | 요로원야화기 | 숙종4 | 박두세 | 선비들의 병폐를 대화체로 파헤친 풍자문학 |
어우야담 | 광해군 | 유몽인 | 민간의 야담과 설화를 모아 엮은, 해학과 기지가 넘치는 설화적인 창작 수필 | |
규중칠우쟁론기 | 미상 | 미상 | 규중 부인들의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 바늘, 자, 가위, 인두, 다리미, 실, 골무 등이 서로 공을 다투는 모습을 의인화하여 표현한 글 |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속극 분석 및 해설 (0) | 2021.10.25 |
---|---|
판소리 분석 및 해설 (0) | 2021.10.25 |
고대 소설 분석 및 해설 (0) | 2021.10.25 |
가 사(歌辭) 분석 및 해설 (0) | 2021.10.25 |
악장 분석 및 해설 (0) | 2021.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