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신소설(新小說) 분석 및 해설

by 휴리스틱31 2021. 10. 25.
728x90

신 소 설(新小說)

 

개념

 

♠ 1906년 이인직의 <혈의 누>를 시작으로 하여,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는 11917년까지 약 10년 동안 생산된 일련의 과도기적 소설을 가리키는 말이다.

♠ '신소설'이란 명칭은 고전소설과 다른 소설임을 소개하는 광고문에서, 종래의 소설과는 달리 참신한 내용과 흥미를 갖춘 소설임을 자처한 데서 비롯한 것이다.

 

신소설 형성의 사회적 배경

 

♠ 개항 이후 바깥 세계의 근대문문이 유입되고 전통적 가치의식이 흔들림으로써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관심의 고조

♠ 조선 후기 이래 꾸준히 성장해 온 국문 해독층과 독서 대중이 19세기 말 이래의 계몽적 격동기를 거치면서 급격하게 확대됨.

♠ 기업적 성격을 지닌 근대적 출판사의 등장으로 새로운 소설을 수용할 만한 여건이 갖추어짐.

♠ 1900년대부터 출현하기 시작한 민간 신문들은 독자를 확보하는 방안의 하나로 당대의 문제와 생활을 다루는 소설을 게재하게 됨.

♠ 직업적 작가들이 고전소설 작자층으로부터 나오거나 새로이 출현하게 됨.

 

 

영향 관계

 

♠ 우리 고전소설로부터의 영향 : 영웅소설과의 구조적 친연성을 뚜렷하게 지님.

♠ 서구소설의 자극을 먼저 흡수한 일본 명치 시대 소설의 강한 영향력

♠ 청대(淸代) 말기 소설과의 관련성

 

특성

 

♠ 내용(주제)면

① 당대의 문제와 경험에 대한 적극적 관심을 보임.

→ 근대적 문명에 대한 동경, 신교육 사상의 고취, 기성 인습에 대한 비판(자유연애, 미신타파), 민족의 자주 독립에 대한 염원과 애국 계몽 등.

② 소수를 제외하고는 '문명 개화에 대한 소박한 낙관주의'가 주제의식을 지배함.

→ 새로운 삶의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천박한 개화주의에로 전락함.

③ 고전소설의 선악이분법(善惡二分法)의 인간관이 외형만을 바꾸어 '문명개화 = 善', '보수 = 惡'이라는 도식으로 잔존하고 있음.

④ 사건 전개의 우연성이 아직 잔존하며, '위기-극복-승리'의 영웅소설적 유형 구조가 상당수 작품에 내재해 있는 한계성을 드러내 보임.

 

♠ 형식(표현)면

① 평면적이고 일대기적 구성으로부터의 탈피 : 서술의 역전적 구성을 취하기도 함.

② 발단 부분의 사건 도입을 신속히 처리한 점

③ 과장된 묘사의 지양, 생활 언어에 가까운 문체의 사용

④ 소재 선택의 현실성 : 배경의 현실성과 사실적 인물

 

 

작품

 

작 품 명 창작 연대 작  가 내                         용
혈의 누
(血의 淚)
1906 이인직 만세보에 연재됨. 최초의 신소설로 알려져 있으며, 청일전쟁을 기점으로 7세 소녀(옥련)의 고난과 신세계에서의 성장과정을 그림. 인습 타파, 자유 결혼, 계몽사상을 표출함.
귀의 성
(鬼의 聲)
1906 이인직 귀족 사회의 부패와 축첩 등의 폐습을 폭로함.
치악산
(稚岳山)
1908 이인직 양반의 부패를 폭로하고, 고부간의 갈등을 그림.
은세계
(銀世界)
1908 이인직 국민의 평등권과 자주 독립 사상을 고취한 정치소설. 원각사에서 연극으로 각색하여 공연함으로써 신극의 기점을 마련함.
금수회의록
(禽獸會議錄)
1908 안국선 동물의 입을 빌려 사회 각층의 의식구조와 사회 부패상을 풍자한 정치 우화 풍자소설임. 당국에 의해 압수되기도 함.
공진회
(共進會)
? 안국선 근대 이후 최초의 단편 소설집. 기생, 인력거꾼, 시골 노인 이야기 등 3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됨.
자유종
(自由鐘))
1910 이해조 자주독립, 여성 해방, 교육문제(한자 폐지 등)을 토론 형식으로 다룬 정치적인 토론 소설임.
화의 혈
(花의 血)
1911 이해조 기생 선초의 굳은 절개와 효도, 관료들의 부정부패를 폭로한 소설
추월색
(秋月色)
1912 최찬식 봉건제도의 타파와 신교육 사상 및 애정의 기복을 다룬 애정소설
안의 성
(雁의 聲)
1912 최찬식 삼각연애를 소재로 자유 결혼과 인권 옹호를 다룬 소설
모란봉
(牧丹峰)
1913 이인직 <혈의 누>의 하편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운중추월색(雲中秋月色)>으로 발표됨. 삼각관계를 그린 애정소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