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문학이론]현대 시조

by 휴리스틱31 2021. 11. 10.
728x90

현대 시조

 

개념

 

현대시조란, 개화기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시조를 말한다.

 

현대 시조의 전개

 

㈀ 출발 : 1920년대 후반에 최남선, 이광수, 정인보 등에 의해 새로운 시조 창작이 시작됨.

 

♠ 최남선은 1900년대 '국풍'이라는 명칭으로 시조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 1926년 발간된 최초의 현대 시조집인 최남선의 <백팔번뇌>가 시조부흥운동의 직접적인 동기가 됨.

♠ 이광수, 정인보 등의 활동이 고시조와 현대 시조를 이어 주는 교량 구실을 하였다.

 

㈁ 전개

 

♠ 1930년대로 들어와 <노산시조집>(이은상), <가람시조집>(이병기) 등이 발간되어 시조 창작이 활발해졌다. 1930년대 말에는 김상옥, 이호우 등이  시조의 발전에 이바지했고, 해방 이후에는 조종현, 정훈, 이태극 등이 활약했다.

 

 

 

현대 시조의 특징

 

㈀ 형식상의 특징

 

♠ 음절 수에서 파격을 보인다. / 3 · 4 내지 4 · 4의 기본 자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으나, 종장 제1구의 3음절은 변화시키지 않는 원칙을 따른다.

♠ 시행(구와 장)의 배열 방법이 다양하다. / 구별 배행, 음보별 배행 등 다양하다.

 연시조의 형태를 많이 취한다. / 현대인의 복잡한 생활과 감정을 단시조로 처리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연시조의 형태를 취한 것이 많다.

 

㈁ 내용상의 특징

 

♠ 전문적인 창작 정신이 드러난다. / 고시조가 여러 계층의 사람들이 두루 불렀던 노래임에 비해, 현대시조는 전문적인 창작 정신에 의해 지어진 작품이다.

♠ 참신하고 개성적인 느낌을 준다. 어려운 한자어나 상투어를 피하고 가급적 고유어를 선택하며 표현과 주제를 생생하게 개별적인 것이 되게 한다.

♠ 제목이 있다. 그러나 고시조의 대부분은 제목이 없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