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 산 너머 남촌에는 -김동환-

by 휴리스틱31 2021. 11. 30.
728x90

산 너머 남촌에는
                                                                              -김동환-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낭만적, 향토적, 민요적

 특성

① 향토적인 시어를 사용함.

② 동일한 시행을 반복하여 사용함.

③ 7 · 5조 3음보로 이루어져 민요풍의 느낌을 줌.

④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상향을 형상화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산 너머 남촌 → 이상향

* '남촌'의 의미 → 어떤 지명이라기보다는 시인이 그리워하는 이상향이다. 그러므로 해마다 봄이 오면 산 너머 남촌으로부터 봄바람에 섞여 진달래꽃, 구수한 보리 냄새가 실려 오고, 고운 봄 하늘에 호랑나비 떼가 날고 종달새 노래가 가득 들려오는 것이다. 작자는 마음속 깊숙이 '남촌'이라는 이상향을 행복의 터전으로 설정해 놓고 그 미지의 세계에 기대하는 모든 희망을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즉, 시인은 망국의 한을 씻고 빼앗긴 국토를 되찾을 때 참다운 행복의 터전인 '남촌'이 이루어질 것을 확신하면서, 그 간절한 소망을 이 작품에 담았다고 할 수 있다.

 

 

* 산 너머 남촌에는 → 1연마다 반복되어 전체의 유기적 연관성을 강화함.

* 봄바람 → 그리움, 사랑의 감정

* 진달래 향기, 보리 내음새 → 후각적 이미지를 통해 아름다운 남촌의 모습을 형상화함(대구법).

* 어느 것 한 가진들 실어 안 오리 → 봄 향기와 내음새에 대한 기대감(설의법)

* 나는 좋데나 → 화자의 감정이 직접적 표출됨.

* 호랑나비 떼, 종달새 노래 →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 활용(대구법)

* 배나무꽃 → 순수와 낭만의 이미지

* 섰다기 → '서 있다고 하기에=서 있다네'의 뜻으로 운율을 고려한 표현임.

* 구름 → '남촌'과 '그리운 이'를 보고자 하는 화자의 행동을 가로막는 장애물

* 구름에 가리어 아니 보이나 → 비관적 현실 인식

* 끊었다 이어 오는 가는 노래 → 들릴 듯 말 듯 들리는 그리움의 노래. 남촌을 향한 끝없는 소망으로 끊어졌다가 다시 '이어 가는 노래'는 아무리 어려워도 좌절하지 않고 끝까지 희망을 지키려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냄.

 

 제재 : 남촌

 화자 : 남촌을 그리워 하는 사람

 주제 순수하고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그리움

 

 

 

[시상의 흐름(짜임)]

◆ 1 : 남촌에 대한 동경 - 해마다 불어오는 봄바람

◆ 2 : 남촌에 대한 동경 - 새파란 하늘과 평화로운 정경

◆ 3 : 남촌과 그리운 사람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가 보지 못한 산 너머 남쪽 마을에 대한 그리움과 동경을 자연 현상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산 너머 남촌은 한 번도 가 보지 못한 곳이지만, 그 때문에 오히려 남촌에 대한 동경은 커지고 상상은 더욱 더 자유로울 수 있다. '진달래 향기', '보리 내음새' 등의 후각적 이미지와 '호랑나비 떼', '종달새 노래'의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가 어우러지면서 그 그리움은 더욱 생생하게 깊어진다. 그리고 남촌에 대한 그 그리움은 곧 그곳에 사는 누군가에 대한 그리움으로 이어지고, 화자는 배나무꽃 아래에 서 있는 것으로 상상되는 그 누군가를 보러 남촌이 보일 만한 언덕에까지 오른다. 하지만 누군가는 구름에 가리어 보이지 않음으로써 화자는 잠시 비관적 현실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끊일 듯 이어지는 가는 목소리의 노래는 여전히 들린다고 하여 그 누군가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7 · 5조 3음보의 민요풍 리듬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노래로 만들어져 널리 불리고 있다. 이러한 형식상의 특징과 미지의 마을에 대한 막연한 그리움이 어우러져 활달하면서도 정겨운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남으로 오네', '좋대나', '섰다기' 등의 토속적인 어휘와 의도적인 줄임말은 자수율 조정을 위한 축약이기도 하지만, 화자의 애틋하고 수줍은 마음을 여운으로 표현하는 데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