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지 가(龜旨歌) - 구간 外 -
龜何龜何 (구하구하)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 (수기현야) 머리를 내어라
若不現也 (약불현야) 내놓지 않으면
燔灼而喫也 (번작이끽야) 구워서 먹으리.
- <삼국유사> -
[ 배경 설화 ]
후한 세조 광무제(A.D 42년)때, 가락국의 서울 김해에서 일어났던 일이다. 천지가 개벽한 후로 아직까지 나라의 이름도 없고 군신의 칭호도 없었다. 다만 구간(九干:가락국 아홉 마을 추장)이 있어 이들이 추장이 되어 백성을 거느리니 그 수효가 일백 호, 칠만 오천 인이었다. 사람들은 산과 들에 모여 살면서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일구어 곡식을 심으면서 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마을 북쪽에 있는 구지봉에서 마치 누군가를 부르는 듯한 이상한 소리가 들려왔다. 마을 사람 3백여 명이 그 곳에 모이니, 사람의소리가 나는 것 같은데 그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 다시 소리만 들리는데, "여기에 사람이 있느냐?"라는 말이었다. 그 마을 구간들은 "우리들이 여기 와 있습니다."하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또 이르기를 "내가 와 있는 곳이 어디냐?"하고 물으니, "여기는 구지봉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다시 이르기를, "하늘이 내게 명하시기를 이곳에 나라를 세우고 너희들의 임금이 되라 하시어 여기에 온 것이니, 너희는 이 봉우리의 흙을 파면서 노래(구지가)를 부르며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하늘로부터 대왕을 맞게 될 것이니, 너희들은 매우 기뻐하며 즐거워하게 될 것이다." 그 말에 따라, 마을 구간들과 사람들이 모두 함께 기뻐하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었다.
얼마후, 보랏빛 줄이 하늘에서 내려와 땅에 닿았다. 줄 끝을 살펴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자(金合子)가 싸여 있었다. 그것을 열어 보니 해처럼 둥근 황금알 여섯 개가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그것을 그대로 두었다가 이튿날 새벽에 다시 열어 보니 황금알 여섯 개가 여섯 동자로 나타났다. 그들은 나날이 성장해 10여 일이 지나자 키가 9척이나 되었다. 그들은 모두 용모가 빼어났으며, 그 달 보름달에 즉위하였는데, 세상에 처음 나왔다 하여 왕의 이름을 '수로(首露)'라 하고 나라를 '대가락' 또는 '가야국'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여섯 사람이 각각 가야의 왕이 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여섯 가약국인 것이다.
[ 핵심 정리 ]
◆ 성격 : 집단적 건국 서사시, 집단 무가(주술요), 의식요, 노동요
◆ 형식 : 4구체의 한역시가
◆ 표현 : 주술적 표현, 명령 어법
◆ 화자의 태도 : 명령적, 위협적
◆ 중요 시어 및 시구
* 거북 → 주술의 대상. 신령스런 존재. 초자연적 존재
* 머리 → 생명의 근원, 우두머리(군주, 왕)
* 머리를 내어라 → 주술의 궁극적 내용에 해당. "수로(首露)"라는 명칭과 연관됨.
* 구워서 먹으리 → 주술을 드러내는 구체적인 방법(위협)
◆ 주제 ⇒ 수로왕의 강림(降臨) 기원
◆ 짜임
* 1, 2행 - 요구
* 3, 4행 - 위협
◆ 별칭 : 영신군가(迎神君歌), 가락국가, 구지봉 영신가 등.
◆ 국문학사상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집단적 서사시. 현존 최고의 주술적 무가
"신(神)의 현현(顯現)을 촉구하면서 부른 <구지가>는 바로 '신성 현현(神聖顯現)' 자체라는 의의를 가지고 있었다. 태초에 신을 최초로 맞는 장엄하고도 경건한 영신(迎神)의제의에서 그것은 신탁(神託)을 통해 인간에게 주어진 신의 노래인 것이다. 인간에 의해서 지어진 노래가 아닌 신의 가르침을 따라 부창(副唱)된 신의 노래이다. 이처럼 한국시가사는 그 남상(濫觴)을 신의 노래에 두고 있으며, 신탁에 접하여 신과 말을 주고받은 구간은 사제자(司祭者)인 것이다. 그 사제자는 시인인 동시에 신탁에 접하여 신의 노래를 인간에게 전하는 '노래하는 사람'인 사제자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시가사를 기술함에 이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특히 고대 시가의 전통을 다룰 때 이 한국 시가의 원초가 고려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김열규(외) <향가의 어문학적 연구>에서 -
[ 이해 및 감상 ]
『삼국유사』의 「가락국기」편에 전하는 노래로, 가락국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강림신화"속에 삽입된 무가적 서사시이다. 비록 한역으로 전해져 완전한 모습을 볼 수는 없지만 향가의 4구체와 유사한 형식의 이 노래는 여러 가지의 해석으로 풀이되고 있다. 노동요, 주술요, 의식요 또는 원시인의 성욕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으로 보는 경우, 잡귀를 쫓는 주문으로 보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와 유사한 노래로서 700년 후에 불리워진 <해가>와 비교해 보면, 이 노래는 원시종합예술인 집단 가무와 관련이 있는 '무요'로 그 성격은 주술적인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이 노래가 보여주는 '요구'와 '위협'의 구조는 주술적인 노래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리고 수로왕이라는 신적인 존재를 맞이하기 위한 노래이기 때문에 신맞이 노래, 즉 '영신군가'의 성격도 아울러 지닌다. 옛 기록에는 서정시인 <황조가>보다 후대의 작품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전해지는 한역가 중에서 가장 정제되어 있지 않고 주술성을 띤 원시적인 집단 무요이므로, 작품 성격상 서정시보다 훨씬 이전부터 불리워진 서사시의 일부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노래의 내용상 핵심은 '머리를 내 놓으라'는 것인데, 머리를 내놓는다는 것은 곧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뜻하며, 하늘에서 내려진 알에서 수로왕이 탄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거북의 머리를 생명의 의미로 본 고대인의 소박한 상징 수법이 잘 나타나고 있다.
[ 생각해 볼 문제 ]
1. 주술이란 ?
→ 초인적이고 신비적인 힘을 나타내려고 하는 기술행위, 즉 인간이 할 수 없는 것을 신에게 해달라고 하는 것.
2. 이 노래의 아류작인 신라시대 <해가(사)>와 비교해 보자.
→ 차이점 : 구지가는 4언 4구체의 형식으로 임금의 강림을 기원한 작품이라면, 해가는 7언 4구체의 형식으로 수로부인의 무사 귀환을 기원한 노래임.
공통점 : 둘 다 집단 적 주술요이면서, 주술의 방법 또한 위협(협박)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
3. <구지가>와 <해가>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
→ 건국 서사시의 일부를 이루고 나라굿에서 부른 <구지가>와 같은 노래가, 신라 때에 이르러 민간에 전승되었음을 보여 줌.
4. 집단 가요의 예를 더 들어보자.
→ 강강수월래, 쾌지나칭칭나네, 향두가 등.
[ 참고사항 ] : 신라 가요 <해가사>
거북아 거북아 수로를 내놓아라. 龜乎龜乎出水路(구호구호출수로)
남의 아내를 앗은 죄 그 얼마나 큰가 ? 掠人婦女罪何極(약인부녀죄하극)
네가 만일 어기어 내놓지 않으면, 汝若悖逆不出獻(여약패역불출헌)
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으리. 入網捕掠燔之喫(입망포략번지끽
https://rains2005.tistory.com/949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시가/악장 해설]신도가(新都歌) - 정도전- (0) | 2021.12.01 |
---|---|
[고전시가/악장 해설]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정인지, 권제, 안지- (0) | 2021.12.01 |
[고전시가/고대가요 해설]정읍사 - 어느 행상인의 아내- (0) | 2021.12.01 |
[고전시가/고대가요 해설]해가사 - 미상 - (0) | 2021.12.01 |
[고전시가/고대가요 해설]황조가 - 유리왕- (0) | 2021.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