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동 요 - 서동(薯童)-
[ 현대어 풀이 ]
선화 공주님은 / 남 몰래 시집가 놓고(정을 통해 놓고) / 서동을 / 밤에 몰래 안고 간다.
[ 배경 설화 ]
백제의 제30대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그 모친이 남편을 여의고 과부가 되어 백제의 서울 남쪽 못가에 살면서, 연못의 용과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 아들은 재주와 도량이 커서 장차 큰 일을 할 바탕을 갖추고 있었는데 항상 마(薯)를 캐어 팔아서 생계를 꾸려 갔으므로, 사람들이 그를 '서동'이라 불렀다. 그는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 선화공주가 아름답기 그지 없다는 소문을 듣고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고자 머리를 깎아 중의 형색을 하고 신라의 서울로 들어갔다. 서울 근방의 아이들에게 마를 나누어 주면서 그들과 친해져 그를 따르게 되자 자신이 지은 동요를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서동요>인 것이다.
이 동요의 내용이 대궐에까지 알려져 공주는 먼 곳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귀양길에 오르는 공주의 애처로운 모습에 왕후는 순금 한 말을 노자로 주었고, 공주가 귀양처로 가는 도중에 서동이 나타나 맞이하며 시위(侍衛)하여 가고자 하였다.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지는 모르나 외로운 귀양길에 친구가 되리라 생각하고 그를 따르게 되었다. 공주는 서동이 밎음직스럽고 좋아 그와 결혼했는데, 그 후에야 서동의 이름을 알고, 동요의 영험함도 알았다.
백제로 와서 어머니가 준 금을 내어 생계를 꾀하려 하니, 서동이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하였다. 공주가 "이것은 황금이니 가히 백 년의 부를 이룰 것이다." 하니, 서동은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곳에 흙과 같이 쌓아 놓았다."하였다. 공주가 듣고 크게 놀라 "그것은 천하의 지보(至寶)니 지금 그 소재를 알거든 그 보물을 가져다 부모님 궁전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서동이 좋다 하여 금을 모아 구릉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 사자사의 지명법사에게 가서 금을 옮길 방책을 물었다. 법사는 "내가 신력으로써 보낼 터이니 금을 가져오라."하였다. 공주가 편지를 써서 금과 함께 사자사 앞에 갖다 놓으니 법사가 신력으로 하룻밤을 사이에 신라 궁중에 갖다 두었다. 진평왕이 그 신비한 변화를 이상히 여겨 더욱 존경하며 항상 편지를 보내어 안부를 물었다. 서동이 이로부터 인심을 얻어 백제의 왕위에 올랐다.
[ 핵심 정리 ]
◆ 갈래 : 4구체 향가, 민요, 동요, 참요
◆ 표현
㉠ 노골적이고 직설적 표현으로 시적 대상의 행위를 전달함.
㉡ 시적 대상을 아내로 삼기 위해 만든 노래로, 2행을 통해 음해의 강도를 높임.
◆ 중요 시어 및 시구
* 얼어 두고 → 정을 통하여 두고. ※ '얼다'에서 '어른'이 파생됨.
◆ 주제
* 표면적 → 선화 공주의 은밀한 사랑
* 이면적 → 선화 공주에 대한 연정, 선화 공주를 아내로 얻기 위한 계략
◆ 국문학사적 의의
㉠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 향가 중 유일하게 동요로 정착된 작품
[ 작품에 대한 여러 견해 ]
1. 배경 설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여 '무왕의 이야기'로 보는 견해
2. 서동을 백제 동성왕의 이름으로 보고, 그가 신라와 통혼한 사실을 근거로 '동성왕의 이야기'를 극화한 것으로 보는 견해
3. 백제의 익산 미륵사의 연기설화(緣起說話)에도 '서동설화'와 비슷한 것이 있다는 것을 근거로, 백제가 망할 무렵 왕실의 원찰이었던 미륵사를 신라의 군졸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백제와 신라가 과거부터 깊은 관계가 있었음을 꾸미기 위해 퍼뜨린 것으로 보는 견해
[ 이해 및 감상 ]
<서동요>는 소박하고 구김새가 없는 동심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무왕과 연결된 설화의 내용을 그대로 소박하게 받아들인다면, 이 노래는 지금으로부터 1300여 년 전에 야심많은 한 소년이 미모의 공주를 아내로 삼기 위하여 교묘한 계획에 사용한 동요이다. 사랑을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한 소년의 지혜가 미소를 머금게 한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이 노래의 작자를 일러, 간교하고 짓궂지만 뜨거운 로맨스의 주인공이라고 하였다.
이 노래는 소박하고 장난스러운 동심이 서려있는 동요적인 단순성은 있으나, 깊은 문학적 배경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다만 배경설화의 내용처럼 '서동'이라는 한 영웅이 시련을 극복하고 왕이 되기까지 벌어지는 하나의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사랑을 위해 목숨도 희생하는 고대인의 강한 정열을 엿볼 수 있다. 영웅의 일생은 결혼이라는 것에 의해 성공의 실마리가 풀리며, 이 <서동요>는 이러한 성공의 열쇠 구실을 하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흥미를 더해 준다.
[ 참고 ]
1. 서동 설화는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동의 출생담", "서동의 결연담", "서동의 등극담", "사찰 연기담"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서동의 출생담을 보면, 인간이 이물(異物)과 교혼(交婚)하여 영웅(왕)을 생산한다는 <야래자(夜來者) 전설>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2. 참요적 성격이 강한 민요.
※ 참요(讒謠) : 잠재적 소망을 얹어 부른 것으로, 장차의 일이 그렇게 될 것임을 미리 직설적으로 암시한 노래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시가/향가]풍요 (諷 謠) - 사녀(士女)들- (0) | 2021.12.02 |
---|---|
[고전시가/향가]혜성가 - 융천사- (0) | 2021.12.02 |
[고전시가/악장 해설]감군은(感君恩) (0) | 2021.12.01 |
[고전시가/악장 해설]신도가(新都歌) - 정도전- (0) | 2021.12.01 |
[고전시가/악장 해설]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정인지, 권제, 안지- (0) | 2021.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