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나무 - 박목월 -

by 휴리스틱31 2021. 12. 10.
728x90

나무
                                                                              - 박목월 -

 

유성에서 조치원으로 가는 어느 들판에 우두커니 서 있는, 한 그루 늙은 나무를 만났다. 수도승일까, 묵중하게 서 있었다.

다음날 조치원에서 공주로 가는 어느 가난한 마을 어귀에 그들은 떼를 져 몰려 있었다. 멍청하게 몰려 있는 그들은 어설픈 과객일까. 몹시 추워 보였다.

공주에서 온양으로 우회하는 뒷길 어느 산마루에 그들은 멀리 서 있었다. 하늘 문을 지키는 파수병일까. 외로워 보였다.

온양에서 서울로 돌아오자 놀랍게도 그들은 이미 내 안에 뿌리를 펴고 있었다. 묵중한 그들의, 침울한 그들의, 아아 고독한 모습, 그 후로 나는 뽑아낼 수 없는 몇 그루의 나무를 기르게 되었다.

 

- 시집 <청담>(1964) -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서경적, 관조적, 성찰적

 표현 : 산문적 율격, 유사한 통사구조의 반복으로 주제를 부각시키고 형태적 안정감을 획득함.

              유성에서 서울까지의 공간의 이동에 따른 시상전개

              구체적 지명과 시간의 표현을 통해 시적 현장감을 살림.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여 내면 세계의 모습을 형상화함.

              여행길은 '삶의 본질에 대해 인식하는 과정'에 해당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유성 → 여행의 출발지, 새로운 인식의 시작

    * 서울 → 여행의 종착지, 본질적 인식의 도달

    * 한 그루 늙은 나무 → 삶에 대한 감회와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 대상

    * 수도승, 과객, 파수병 → 단독자로서의 고독한 존재의 표상

    * 그들은 이미 내 안에 뿌리를 펴고 있었다.

        → 나무에서 연상된 인간 존재와 삶에 대한 감회가 내 안에 남아 있다는 의미임.

    * 그 후로 나는 뽑아낼 수 없는 몇 그루의 나무를 기르게 되었다.

        → 여행길에서 느낀 나무들의 인상이 여행이 끝난 후에도 화자의 내면에 자리잡게 되었다는 의미로,

               화자와 나무와의 일체감을 드러내고 있다.

    * 몇 그루의 나무 → 인생의 본질인 고독

 

 

 제재 : 나무 = 시인의 관념과 감정이 이입된 대상

                     = 인생의 본질로서의 고독한 실존(묵중하고, 침울하고, 고독한 삶의 모습)

                     = 함께 어울려 사회를 구성하지만, 결국은 혼자일 수밖에 없는 단독자로서의 인간의 본질

 주제 나무를 통한 삶(인생)의 성찰

           묵중하고 침울하고 고독한 삶의 본질 인식

 

[시상의 흐름(짜임)]

◆ 1문단 : 수도승 같은 늙은 나무에게서 묵중함을 느낌.

◆ 2문단 : 과객 같은 나무에게서 춥고 침울한 모습을 봄.

◆ 3문단 : 파수꾼 같은 나무에게서 외로움을 느낌.

◆ 4문단 : 나무들이 마음에 뿌리를 내려 고독을 느낌.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유성에서 서울까지의 여행길에서 화자가 본 나무들의 모습을 통해 인생의 궁극적 의미를 찾아 내고 있다. 시적 화자는 여행 중 나무에게서 수도승, 과객, 파수병의 이미지를 떠올리는데, 이는 묵중하고 고독하고 쓸쓸한 모습이다. 그런데 시적 화자는 귀로에서 이 나무들이 외부의 풍경으로서가 아니라 시적 화자의 내면에 자라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것은 시적 화자의 내면에도 나무와 같은 고독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하는 일이며, 외부로 향한 시선을 내부로 돌려 나무와 자아의 시적 일체감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하여 화자는 사물을 통해 자신의 삶의 본질을 인식하게 된다.  이 시에서 화자는 자신의 내면에도 나무와 같은 고독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하고 인간의 실존적 고독을 깨닫게 된다.

 

화자는 먼 유성에서 애초의 출발 지점인 서울로 되돌아오는 길의 도정에서 세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진다. 유성에서 서울로 가까이 올수록 인식은 점점 명료화되고 서울로 이르게 될 때 본질적 인식에 도달한다. 이는 삶의 본질적 의미를 되찾는 구조를 가지는데, 삶의 시원적 근본으로 회귀하는 내면적 인식의 길과 합치한다.

 

■ 감상을 위한 더 읽을거리

이 시는 화자가 가로수를 보고 생각한 특수한 체험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나무가 내 속에 들어와 자란다고 하는 기발하고 특이한 세계는 단순한 비약과 도발적인 상상에서 온 것은 아닌 듯하다. 이러한 세계 인식으로 남들이 전혀 발견하지 못했던 의미가 생성되고 독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로 향하게 인도하는 것이다.

 

시인의 최초 인식은 나무를 수도승으로 본 데서 비롯된다. 나무가 우두커니 홀로 묵중하게 서 있었고, 또 늙은 나무였다는 것에서 수도승을 연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수도승이란 무릇 고독하고 묵중하게 자신을 버티는 존재다. 나무와 수도승의 유사성에 의한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날 어느 가난한 마을 어귀에 떼지어 서 있는 나무들의 모습에서 과객의 이미지를 발견한다. 외로운 나그네처럼 그들의 추워 보였다는 것은 고독감과 또 관련된다. 산마루에 하늘의 파수병인 양 홀로 서 있는 나무를 보며 외로워 보인다고 했다. 이 또한 고독의 표상이다.

 

마지막 문단은 전환이다. 시가 단순한 세계의 묘사가 아니라 새로운 의미의 발견이라 할 때, 시를 시답게 하는 것은 바로 의미화에 있다. 1연부터 3연까지의 밖으로 향하던 화자의 인식이 드디어 안으로 향한다. 자신의 내면에서도 나무가 자라고 있음을 보게 되는 것이다. 묵중하게, 침울하게, 고독하게 자리한 나무의 존재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 내면에도 나무와 같은 고독이 짙게 깔려 있음을 발견하는 일과 동일하다. 자신의 실존의 본질이 고독임을 깨우치는 엄숙한 자기 인식의 순간이 되는 셈이다. 이는 그대로 우리 인간의 실존이기도 하다. 삶이란 묵중하고, 침울하고, 쓸쓸하고 고독한 것이다. 함께 있어도 결국은 홀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단독자가 우리 인간인 것이다. 화자는 고독이 인생의 본질임을 깊은 묵상에서 깨닫는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