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놀이
- 주요한 -
아아, 날이 저믄다. 서편(西便) 하늘에, 외로운 강물 우에, 스러져 가는 분홍빗놀 . 아아 해가 저믈면 해가 저믈면, 날마다 살구나무 그늘에 혼자 우는 밤이 또 오건마는, 오늘은 사월이라 파일날 큰길을 물밀어가는 사람 소리만 듯기만 하여도 흥셩시러운 거슬 웨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업는고 ?
아아 춤을 춘다, 춤을 춘다, 싯별건 불덩이가, 춤을 춘다. 잠잠한 성문(城門) 우에서 나려다보니, 물 냄새 모랫 냄새, 밤을 깨물고 하늘을 깨무는 횃불이 그래도 무어시 부족하야 제 몸까지 물고 뜯을 때, 혼자서 어두운 가슴 품은 절믄 사람은 과거(過去)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우에 내여던지나, 무정한 물결이 그 기름자를 멈출리가 이스랴? ---- 아아 꺽어서 시들지 않는 꽃도 업건마는, 가신 님 생각에 사라도 죽은 이마음이야, 에라 모르겟다. 저 불길로 이 가슴 태와 버릴가, 이 서름 살라 버릴가, 이제도 아픈발 끌면서 무덤에 가 보앗더니 겨울에는 말랏던 꽃이 어느덧 피엇더라마는, 사랑의 봄은 또다시 안 도라 오는가, 찰하리 속 시언이 오늘 밤 이 물 속에 . 그러면 행여나 불상히 녀겨 줄 이나 이슬가...... 할 적에 퉁, 탕, 불티를 날니면서 튀여나는 매화포, 펄덕 정신(精神)을 차리니 우구구 떠드는 구경꾼의 소리가 저를 비웃는 듯, 꾸짖는 듯. 아아 좀 더 강렬(强烈)한 열정에 살고 십다. 저긔 저 횃불처럼 엉긔는 연기, 숨맥히는 불꽃의 고통 속에서라도 더욱 뜨거운 삶을 살고 십다고 뜯밖게 가슴 두근거리는 거슨 나의 마음 .
4월달 다스한 바람이 강을 넘으면, 청류벽, 모란봉 노픈 언덕 우헤 허어혀켜 흐늑이는 사람 떼, 바람이 와서 불적마다 불비체 물든 물결이 미친 우슴을 우스니, 겁 만흔 물고기는 모래 미테 드러벡이고, 물결치는 뱃슭에는 조름오는 니즘의 形象이 오락가락----- 얼린거리는 기름자, 닐어나는 우슴소리, 달아 논 등불 미테서 목청껏 길게 빼는 어린 기생의 노래, 뜯밖에 정욕(情欲)을 잇그는 불구경도 인제는 겹고, 한 잔 한 잔 또 한 잔 끝업슨 술도 인제는 실혀, 즈저분한 뱃 미창에 맥업시 누으면 까닭 모르는 눈물은 눈을 데우며, 간단(間斷)업슨 쟝고 소리에 겨운 남자들은 때때로 불니는 욕심에 못 견듸어 번득이는 눈으로 뱃가에 뛰여 나가면, 뒤에 남은 죽어 가는촛불은 우그러진 치마깃 우에 조을 때, 뜯잇는드시 삐걱거리는 배잣개 소리는 더욱 가슴을 누른다 .
아아 강물이 웃는다. 웃는다. 괴샹한 우슴이다. 차듸찬 강물이 껌껌한 하늘을 보고 웃는 우슴이다. 아아 배가 올라온다. 배가 오른다. 바람이 불 적마다 슬프게 슬프게 삐걱거리는 배가 오른다 .
저어라, 배를 멀리서 잠자는 능라도까;지, 물살 빠른 대동강을 저어 오르라. 거긔 너의 애인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으로 곳추 너의 뱃머리를 돌니라. 물결 끝에서 니러나는 추운 바람도 무어시리오. 괴이(怪異)한 우슴 소리도 무어시리오, 사랑 일흔 청년의 어두운 가슴 속도 너의게야 무어시리오. 기름자(그림자) 업시는 발금(밝음)도 이슬 수 업는 거슬 오오 다만 네 확실한 오늘을 노치지 말라. 오오 사로라, 사로라! 오늘밤! 너의 발간 횃불을, 발간 입셜을, 눈동자를, 또한 너의 발간 눈물을 .
- <창조>(1919)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영탄적, 격정적, 상징적, 감상적
◆ 표현
* 과감한 실험정신에 의한 형태의 급격한 변화
* 시적 형상화의 부족(감상적 시어가 직접적으로 사용됨)
* 절망과 격정의 극적 대비
* 신체시에 나타난 계몽적 입장, 목적의식, 생경한 한문투의 문장 등이 배제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왜 나만 혼자 가슴에 눈물을 참을 수 없는고?
→ 주변 상황과의 대조를 통해 자아의 외로움과 고독이 부각된 부분,
* 과거의 퍼런 꿈을 찬 강물 위에 내어던지나
→ 과거의 화려하고 희망에 찬 기억을 강물에 던져 잊어 버리고자 하나
* 꺾어서 시들지 않는 꽃도 없건마는 → 가신 임으로 인해 상심한 나머지 기세가 꺾여진 자아의 모습.
* 불빛에 물든 물결이 미친 웃음을 웃으니 → 바람에 의해 불빛어린 물결이 출렁이는 모양(의인법)
* 졸음오는 '니즘'의 형상이 오락가락
→ 니즘의 형상(주변상황)들이 자아에게는 졸음의 대상으로만 느껴진다는 말.
* 니즘 → '니즘'의 의미가 다소 불분명함. 외래어인 'ism'이라고도 하나, '잊음'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 까닭 모르는 눈물 → 주위의 웃음과 노래와 술로도 달랠 수 없는 자신만의 깊은 절망과 고독
* 괴상한 웃음 → 시적 자아의 혼란한 심리적 상태(비웃음)
* 너의 애인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언덕 → 환상이지만 새희망, 삶의 의욕, 광복에의 꿈 등을 상징
* 곧추 너의 뱃머리를 돌려라
→ 지금까지의 슬픔과 갈등을 삶에 대한 왕성한 의욕으로 전환시키며 시상이 반전되는 부분임.
* 그림자 없이는 '밝음'도 있을 수 없는 것을 → 윤회적 논리에 의해 긍정적 시각으로 환원됨.
◆ 주제 ⇒ 상실한 자의 슬픔과 고뇌 및 극복의지
◆ 제재 : 사월 초파일의 불놀이(연등행사)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시적 상황 제시(흥성스런 분위기 속의 고독한 자아의 모습)
◆ 2연 : 불놀이의 흥겨운 광경과 자아의 고뇌
◆ 3연 : 향락적인 축제 속에서의 자아의 허탈감
◆ 4연 : 자신의 무력감에 대한 자조
◆ 5연 : 현실의 슬픔을 극복하려는 자아의 정열적 의지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삶과 죽음, 밝음과 어둠, 기쁨과 슬픔, 현실과 과거 등으로 표상되는 대립적인 의미 구조를 취하고 있다. 외견상 화합할 수 없이 보이는 이러한 대립은 '그림자 없이는 밝음도 있을 수 없는 것을'에서의 역설적 논리에 의해 통합됨으로써 극한적 자학에 빠진 서정적 자아를 소생시켜 '애인이 맨발로 서서 기다리는' 부활의 언덕을 향해 배를 저을 수 있는 생명의 원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시가 비록 시상이 정제되지 않고 산만하게 구성되었으며, 개인적 감정의 지나친 유출에서 기인된 신파조의 과장을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상징적 수법에 의해 순수한 서정의 세계를 노래한 점이나 형태적인 면에서 보인 과감한 실험정신 등은 우리 근대시의 형성 과정에 기여한 바가 자뭇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간(肝) -윤동주- (0) | 2021.12.22 |
---|---|
[현대시 해설]가을의 기도 - 김현승 - (0) | 2021.12.22 |
[현대시 해설]독(毒)을 차고 -김영랑- (0) | 2021.12.21 |
[현대시 해설]부치지 않은 편지 1 - 정호승 - (0) | 2021.12.21 |
[현대시 해설]사라지는 동물들 -황동규- (0) | 2021.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