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 이육사 -
동방은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방울 내리잖는 그때에도
오히려 꽃은 빨갛게 피지 않는가
내 목숨을 꾸며 쉬임 없는 날이여.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은
눈속 깊이 꽃 맹아리가 옴작거려
제비떼 까맣게 날아오길 기다리나니
마침내 저버리지 못할 약속(約束)이여
한 바다 복판 용솟음 치는 곳
바람결 따라 타오르는 꽃 성(城)에는
나비처럼 취(醉)하는 회상(回想)의 무리들아
오늘 내 여기서 너를 불러 보노라.
-<육사시집>(1946) -
해 설
[ 개관 정리]
■ 성격 : 의지적, 초극적, 남성적
■ 표현
* 각 연의 일정한 구조의 반복
( 영탄형의 종결, 1∼3행 까지는 구문의 전개나 시행의 길이가 점층적으로 확장됨.)
* 각 연은 '선경(1,2,3행) - 후정(4행)'으로 전개됨.
* 의지적이고 강인한 남성적 어조
■ 중요시구
* 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은,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
→ 극한적 상황 설정(생명이 부정되는 상황)
* 빨갛게 피는 꽃 → 암담한 상황을 극복하는 의지의 표상. 강렬한 생명력
* 내 목숨을 꾸며 쉬임없는 날이여 → 극한 상황 속에서도 삶을 향한 의지를 중단없이 꾸려나감.
* 저바리지 못할 약속이여 → 화자의 의지와 소망이 이루어진다는 확신의 표현
* 꽃성 → 시인의 소망이 이루어진 날의 환상적인 모습. 생명이 힘차고도 흐드러지게 충일한 황홀경
* 나비처럼 취하는 회상의 무리들
→ 소망이 이루어진 날, 환희와 더불어 지난날 겪어야만 했던 어려움 · 한 · 희생 등을 주마등처럼
떠올려 보는 사람들.
* 오늘 내 여기 너를 불러 보노라.
→ 현재성을 바탕으로, 미래의 비전에 대한 화자의 의지가 예언자적 어투로 표현됨.
■ 주제 ⇒ 극한적 현실에서 찬란한 미래의 도래를 신뢰하며 결의를 표명함.
[ 시상의 전개(짜임) ]
■ 1연 : 극한 상황에서의 생명의지
■ 2연 : 극한 상황에서의 밝은 미래를 위한 인고(忍苦)와 신념
■ 3연 :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과 예언
[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
이 시는 삶(생명)이 부정되는 암담하고 극한적 현실 상황('하늘도 다 끝나고', '비 한 방울 내리잖은', '북쪽 툰드라에도 찬 새벽' ) 속에서 새로운 생명 탄생에 대한 기다림을 통해, 밝은 미래를 염원하는 의지를 '꽃'을 통해 노래하고 있다.
혹자는 이육사의 시정신을 첫째, 식민지적 현실의 투철한 인식과, 둘째, 그같은 인식을 자기화하여 확실한 의지로 정립하고, 셋째, 광복에 대한 확신을 민족단위에서 희생정신으로 포괄하려 했다는 것으로 요약하고 있다. 시정신의 치열성이 반드시 훌륭한 시로서 구체화된다는 법은 없다. 그러나 육사의 <절정>, <광야>, <청포도>, <꽃> 등에서 모두 성공적인 형상화를 이루어냈다고 할 수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자야곡(子夜曲) - 이육사 - (0) | 2022.01.07 |
---|---|
[현대시 해설]노정기(路程記) - 이육사 - (0) | 2022.01.07 |
[현대시 해설]산도화 1 - 박목월 - (1) | 2022.01.05 |
[현대시 해설]청노루 - 박목월 - (0) | 2022.01.05 |
[현대시 해설]이별가 - 박목월 - (0) | 2022.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