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소설 해설]최고운전 (崔孤雲傳) - 미 상 -

by 휴리스틱31 2022. 4. 18.
728x90

최고운전 (崔孤雲傳)                         -  미 상 -

 

줄거리   

신라 때, 부임하는 신임 현령마다 부인이 실종되는 문창 지역에 최충이라는 자가 수령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최충은 부인의 손에 명주실을 매어 두었다가 부인이 금돼지에게 납치되자 찾아나서게 된다. 한편 납치된 최충의 부인은 기지를 발휘(사슴 가죽을 보면 바보와 같이 죽는다는 사실을 앎.)하여 금돼지를 죽이고 돌아오게 되었다. 돌아온지 여섯 달만에 아들을 낳았는데, 손톱과 발톱이 이상하였고, 최충은 아들이 금돼지의 자식이라 여겨 길거리에 버리지만 버릴 때마다 선녀와 연꽃 및 백조들이 내려와 치원을 돌보는 기적이 나타나자, 다시 데려다가 키워 학문과 문장으로 크게 떨치게 된다.

하루는 중국 황제가 들으니 시 읊는 소리가 하도 낭랑하여 알아보게 한즉, 그것은 신라에서 들려오는 것이었다. 즉시 신하를 신라로 보내어 알아보게 했더니, 신라에는 재사가 수백 명이나 된다는 보고에 신하를 보내어 겨루게 했으나 모두다 당하지를 못했다. 중국의 황제는 석함(石函)에 달걀을 넣고 초로 밀봉한 다음 신라로 보내어, 석함 속의 물건을 시로 지어 보내지 않으면 대국(大國)을 가볍게 본 죄로 다스리겠다고 위협하였다.

이에 최고운이 “團團石物中 半白半黃金 夜夜知時鳴 含情未吐音(둥글고 둥근 함 속의 물건은 / 반은 희고 반은 황금인데 / 밤마다 때를 알아 울려고 하건만 / 뜻만 머금을 뿐 소리를 토하지 못하는도다.)”이라 하여, 이미 그 내용물인 달걀이 병아리가 되었음을 작시(作詩)해 보내니 탄복한 황제는 최고운을 해치려고 중국에 초빙한다.

최치원은 중국으로 가는 길에 용궁에서 환대를 받고, 노구(늙은이)를 만나 그의지시로 아름다운 여인에게서 난관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부적 세 개를 얻게 된다. 낙양에 도착한 최치원은 비범한 재주와 부적을 이용하여 황제의 간계를 모두 물리치고 중원 학자들과의 문장 대결에서도 승리를 한다. 중국에서 장원 급제까지 한 그는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어 적장의 간담을 서늘케 하고 마침내 난을 다스리니 황제는 더욱 감탄한다. 그러나 이를 시기한 중국인 신하들의 모함으로 외딴 섬에 유배되어 몇 차례의 위기를 도술로 모면한 뒤에 다시 황제가 부르자 용으로 다리를 놓아 낙양에 돌아온다.

그 후 최치원은 인재를 몰라보는 중국 황제 곁을 떠나 고국 신라로 무사히 돌아온다. 신라의 왕은 그에게 벼슬을 주었으나 끝내 사양하고, 백발이 된 아내를 소녀로 만들어 가족과 함께 가야산(伽倻山)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감상 및 해설  

신라 말의 대학자 최치원을 영웅화한 전기체의 소설이다. '황금 돼지 이야기'를 비롯해 많은 설화와 전기적(傳奇的) 요소가 삽입되어 있어 '설화를 집대성한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왜적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한 <임진록>이나, 호족(만주족)에 대한 적개심을 표현한 <임경업전> · <박씨전> 등이 모두 모화사상의 테두리 안에서 작품이 전개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민족적 주체성의 측면에서 중국을 적대시한 이 작품의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여러 문헌에서도 확인되듯이, 임진왜란 때 구원병으로 조선에 들어온 명나라 군사들의 오만과 횡포는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이러한 명군의 오만과 횡포를 집권자들은 자신의 안녕과 사대주의적 사고에 기준을 두어 가능한 한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나 민중들의 입장은 달랐다. 민중들은 분노했고 명에 대한 적개심을 품게 되었다. 그리고 중국에 대한 자신들의 적개심과 분노를 해소해 줄 수 있는 이인(異人)을 기대하게 되었고,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이 작품은 신라의 대문장가로서 중국에까지 명성을 떨친 최치원을 등장시켜 당나라 황제와 대결시킴으로써 민족의 자부심과 우월감을 표현하게 된 것이다.

 

최치원을 모델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구성은 전부 허구로서, 최치원의 출생 과정부터가 사실이 아니며, 나 승상의 딸을 취하는 과정도 그렇다. 최치원이 중국으로 들어가는 연령이 12살인 것만 역사적 사실과 같다. 중국으로 들어가는 동기도 허구인데, 이와 같이 지은이는 최치원을 출생 과정부터 초인적으로 표현했으며, 그에게 초인적인 도술을 부여하고 있다. 최치원이 중국으로 들어가는 해상에서의 이야기도 신기할 뿐아니라, 중국에 들어와서는 중국의 문인들을 능멸하는 많은 시를 지어 그들을 놀라게 했으며, 어질지 못한 중국의 황제가 자기 앞에 엎드려 사죄하도록 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실력을 과시하고 있다. 소설 속에서나마 우리 민족의 우위를 도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한문본인 《최고운전》 《최문헌전(崔文憲傳)》과 국문본인 《최고운전》 《최충전(崔冲傳)》 등이 함께 전하나 한문본이 선행본이다. 이들 한문본과 국문본의 즐거리는 비슷하나, 그 표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 <최고운전>의 영웅소설적 면모

1. 孤雲의 母가 금돼지에게 납치되어 돌아온 後 孤雲을 낳는다.

2. 태어난 孤雲이 돼지 血肉이라 하여 버려진다.(棄兒)

3. 버려진 孤雲을 鳥獸가 保護하고 仙女가 授乳한다.

4. 文章에 神異를 보이고 그 神異로써 丞相의 딸을 아내로 맞이한다.

5. 渡唐하여 立身揚名한다.

6. 귀양살이의 試鍊을 끝내고 故鄕에 돌아온다.

7. 神仙으로 化한다.

 

■ <최고운전>에 나타난 설화의 유형

1. 출생 - 금돼지 설화, 괴적 퇴치 설화

2. 유년기 - 기아설화, 교재(較才) 설화

3. 사춘기 - 해미(解謎)설화, 변장득우설화(變裝得偶說話)

4. 입당(入唐) 과정 - 용궁부연설화(龍宮赴宴說話)

5. 유당기(留唐期) - 극난통과설화(克難通過說話), 고도선유설화(孤島仙遊說話)

6. 귀국 이후 - 입산선유설화(入山仙遊說話)

 

 

요점 정리  

 갈래 : 전기 소설, 설화 소설, 적강 소설, 군담 소설, 영웅 소설

 성격 : 영웅적, 도술적, 설화적, 전기적(傳奇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 최치원의 영웅적 일대기를 통한 민족적 우월감과 자부심의 표출

 의의 : 16세기 소설로 전기 소설에서 영웅 소설로 전환되는 과정을 전형적으로 보여줌.

◆ 특성

1) 영웅적 서사 구조로 이루어짐.

2) 모화사상에서 벗어나 중국을 적대시하며 주체성이 돋보이는 작품임.(척한적 민족의식의 반영)

3) 역사적 실존 인물의 허구화를 통해 전쟁 영웅이 아닌 우리 민족의 뛰어난 문재(文才)를 과시하고자 함.

4) 설화를 집대성한 작품 ⇒ 황금 돼지 이야기, 괴적 퇴치 설화, 기아 설화, 해미 설화, 용궁 부연 설화, 입산선유설화 등.

5) 삽입시의 성격 → 대부분의 전기 소설에서 삽입 시는 등장 인물의 내면을 표현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삽입 시는 등장인물의 내면을 표현하기보다는 서사적 진행 과정에 나타나는 기능적 시가 주를 이룬다.

 

 

 참고 자료  

 '최고운전'의 특징 및 작가의식

대부분의 군담 소설이 전쟁을 소재로 하여 민족의 영웅을 창조하고 있는데 비해, 이 작품은 우리 민족의 탁월한 재능을 중외(中外)에 과시하기 위해 최고운 같은 문사(文士)를 민족의 영웅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에는 군담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척한 사상(斥漢思想)이 나타나 있다. 즉, 이 작품에는 대국인 중국의 간교함을 드러내어 맹목적인 사대주의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등 작가의 주체의식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실제로 친당적(親唐的)인 인물인 최치원을 반당적(反唐的) 영웅으로 허구화한 것은 중국에 대한 적개심에서 나온 작가 의식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고운전'의 영웅 소설적 특징

'최고운전'은 전형적인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갖춘 소설이다. 또한 작품을 구성하는 개별 화소들이 후대 영웅 소설의 서사 단락들과 유사하다.

첫째,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형식을 빌려 표현된 주인공 최치원의 혈통과 작품 도중에 나타나는 적강 화소, 주인공을 도와주는 천상적 힘의 존재는 후대의 영웅 소설에 설정된 적강 화소 및 천상적 질서와 대응된다.

둘째, 최치원이 부모로부터 버림을 받는 한편, 자신도 부모를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것은 '아기장수 설화'의 자식 살해 화소와 같은 것으로, '전우치전'이나 '홍길동전'에 변형된 형태로 등장하는 영웅적 인물의 부자 갈등과 대응된다.

셋째, 최치원이 나 승상의 종이 되어 말을 키우고 화원을 관리하다 승상의 사위가 되는 내용은 후대의 영웅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조력자와의 조우, 여인과의 결혼을 통한 계층 상승 과정과 대응된다.

넷째, 최치원이 문제를 풀어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 중국 황제와 대결하는 과정은, 영웅 소설에서 국가를 위기에서 구함으로써 획득한 지위를 굳게 다지는 것과 대응된다.

다섯째, 최치원이 중국으로 가는 도중에 신이한 인물들로부터 받는 도움은 후대의 영웅 소설에서 주인공이 조력자로부터 받는 도움과 대응된다.

* 출처 : 해법문학 참고서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