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그 나무 -김명인-

by 휴리스틱31 2022. 4. 26.
728x90

그 나무
                                                                              -김명인-

 

한 해의 꽃잎을 며칠만에 활짝 피웠다 지운

벚꽃 가로 따라가다가

미처 제 꽃 한 송이도 펼쳐 들지 못하고 멈칫거리는

늦된 그 나무 발견했지요.

들킨 게 부끄러운지, 그 나무

시멘트 개울 한 구석으로 비틀린 뿌리 감춰놓고

앞줄 아름드리 그늘 속에 반쯤 숨어 있었지요.

봄은 그 나무에게만 더디고 더뎌서

꽃철 이미 지난 줄도 모르는지,

그래도 여느 꽃나무와 다름없이

가지 가득 매달고 있는 멍울 어딘가 안쓰러웠지요.

늦된 나무가 비로소 밝혀드는 꽃불 성화,

환하게 타오를 것이므로 나도 이미 길이 끝난 줄

까마득하게 잊어 버리고 한참이나 거기 멈춰 서 있었지요.

산에서 내려 두 달거리나 제자릴 찾지 못해

헤매고 다녔던 저 난만한 봄길 어디,

늦깎이 깨달음 함께 얻으려고 한나절

나도 병든 그 나무 곁에서 서성거렸지요.

이 봄 가기 전 저 나무도 푸릇한 잎새 매달까요?

무거운 청록으로 여름도 지치고 말면

불타는 소신공양 틈새 가난한 소지(燒紙),

저 나무도 가지가지마다 지펴 올릴 수 있을까요?

 

 

해           설

 

[개관 정리]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며칠 만에 활짝 피웠다 지운 → 화려하지만 일시적인 봄꽃의 모습

* 늦된 그 나무 → '벚꽃'과 대조적인 소재

* 시멘트 개울 한 구석 ~ 그늘 속에 반쯤 숨어 있었지요.

  → 비틀리고 소외된 존재로서의 '그 나무'의 모습

* 가지 가득 매달고 있는 멍울 어딘가 아쓰러웠지요. → 대상을 향한 화자의 연민의 태도

* 꽃불 성화 → 늦된 그 나무가 피어낼 꽃을 '성화'에 비유하면서, 화자의 기대감을 내포함.

* 산에서 내려 ~ 난만한 봄길 어디, → 화려함 속에 방황했던 지난날

* 늦깎이 깨달음 함께 얻으려고 → 대상과의 일체감

* 소신공양 → 자기 몸을 태워 부처 앞에 바침

* 가난한 소지

  → 가을날의 마른 나뭇잎

     '소지'는 부정을 없애고 신에게 소원을 빌기 위해 태워서 공중에 올리는 종이를 말함.

     가을의 나뭇잎을 '깨달음'과 관련한 표현으로, '불타는 소신공양'과 대비되어 화자의 겸손함을 드러냄.

 

 제재 : 그 나무

 주제 늦된 그 나무에 대한 연민과 자아 성찰

 

 

[시상의 흐름(짜임)]

◆ 1 ~ 4행 : 활짝 피었다 진 벚꽃 길을 걷다가 늦된 '그 나무'를 발견함.

◆ 5 ~ 11행 : '그 나무'에게 연민을 느낌.

◆ 12~18행 : '그 나무'를 통해 자신을 돌아봄.

◆ 19~22행 : '그 나무'에 대한 기대감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의 화자는 이미 활짝 피었다 진 벚꽃 길을 걷다가 철 지난 줄도 모르고 이제야 꽃 '멍울'을 달고 있는 '늦된 그 나무'를 발견한다. 화자는 '비틀린 뿌리 감춰놓고', '반쯤 숨어 있'는 '그 나무'를 안쓰러워하며 부족하고 소외된 존재에 대한 따뜻한 연민의 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그 나무'가 다른 나무처럼 꽃을 활짝 피우고, 여름에는 푸른 잎새를 달고, 가을에는 단풍으로 물들기를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화자는 '그 나무'처럼 '두 달거리나 제자릴 찾지 못해' 방황했던 자신을 성찰하고 '그 나무'와 함께 '늦깎이 깨달음'을 얻으려고 한다.

 

◆ 더 읽을거리

이 시는 '늦된 그 나무'라는 시적 대상을 통해 부족하고 소외된 것에 대한 연민과 기대, 나아가 자아 성찰과 앞으로의 기대감을 표현한 작품이다. 화자의 시선은 만발한 벚꽃이 아니라 병들어 늦된 '그 나무'에 꽂혀 있다. 활짝 꽃을 피워야 할 시기에 주목받지 못할 외진 곳에서 아직도 '멍울'만 달고 있는 '그 나무'를 화자는 어딘가 안쓰러워 발길을 멈추고 한참을 바라본다. 모두가 풍성하게 꽃 피우는 중에도 어느 곳에선가 모자라고 뒤처진 삶은 있기 마련이다. 그런 대상에게도 마음을 써주는 화자의 마음이 따스하다. 그런 따사로운 시선으로 화자는 '그 나무'도 다른 나무처럼 꽃잎을 피우고 푸릇한 잎을 달고 여름 지나 가을에는 비록 풍성하지는 못해도 '가난한 소지'처럼 단풍으로 물들기를 기대한다. 소외된 것에 대해 갖는 애틋한 연민이 마음의 공명을 울린다. 그런데 이 시에서 화자는 나무를 그저 바라보기만 하는 것은 아니고, '늦깎이 깨달음'을 얻는 중이다. 단지 사물에 대한 연민에 머물지 않고 늦된 '그 나무'를 화자 자신과 동일시하여 대상의 자기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그 나무'의 발견이 삶에 대한 성찰의 계기가 되고 있음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