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오랑 세오녀 - 삼국유사. 권1-
본 문
신라 제8대 임금인 아달라왕이 즉위한 4년 정유(157)에 동해 바닷가에는 연오랑과 세오녀 부부가 살고 있었다. 어느날 연오랑이 바다에 나가 해초를 따고 있었다. 갑자기 바위 하나(물고기 한 마리라고도 함)가 나타나더니 연오랑을 등에 싣고 일본으로 가 버렸다. 이것을 본 그 나라 사람들은 " 이는 범상한 사람이 아니다 " 하고 세워서 왕을 삼았다.
세오녀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는 것이 이상했다. 바닷가에 나가서 찾아보니 남편이 벗어놓은 신이 있었다. 바위 위에 올라갔더니 그 바위는 또한 세오녀를 싣고 마치 연오랑 때와 같이 일본으로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은 놀라고 이상히 여겨 왕에게 사실을 아뢰었다. 이리하여 부부가 서로 만나게 되니 그녀로 귀비(貴妃)를 삼았다.
이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에 광채가 없어졌다. 일관(日官)이 왕께 아뢰길,
"해와 달의 정기가 우리나라에 내려 있었는데 이제 일본으로 가 버렸기 때문에 이러한 괴변이 생기는 것입니다."
했다. 왕이 사자(使者)를 보내서 두 사람을 찾으니 연오랑은 말한다.
"내가 이 나라에 온 것은 하늘이 시킨 일인데 어찌 돌아갈 수 있겠는가. 그러나 나의 비(妃)가 짠 고운 비단이 있으니 이것으로 하늘에 제사를 드리면 될 것이다."
이렇게 말하고 비단을 주니 사자가 돌아와서 사실을 보고하고 그의 말대로 하늘에 제사를 드렸다. 그런 뒤에 해와 달의 정기가 전과 같았다. 이에 그 비단을 임금의 창고에 간수하고 국보로 삼으니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한다. 또 하늘에 제사지낸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욱기야(郁祈野)라 한다.
작품 정리
◆ 해설
이 이야기는 박인량(朴寅亮)이 지었다고 하는 ‘수이전(殊異傳)’ 속에 실려 있었던 설화이다. 그러나 오늘날 <수이전>은 전하지 않고, 대신 일연(一然)의 <삼국유사>와 서거정(徐居正)의 <필원잡기(筆苑雜記)>에 옮겨 실려 전해 온다. 이 설화에서 연오와 세오 부부가 일본으로 건너가자 신라의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는 이야기는 이들 부부가 일월의 정기(精氣)와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세오가 짠 비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냈더니 해와 달이 그전과 같이 되었다는 것은 이런 뒷받침을 더욱 강력히 해 준다. 또 연오와 세오가 일본으로 건너가 그 곳의 왕이 되었다는 이야기는 고대의 한일 관계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하겠다.
또한, 이 설화에는 영일현(迎日縣)이라는 곳의 지명설화가 있다. 오늘날의 영일만이다. 더 자세히 말하면 영일군 동해면 석동에 있는 일월지(日月池)에 관한 것이다. 이는 우리 고유의 제천의식과의 연관성을 생각하게 한다. 고대 우리 민족은 태양을 숭배하던 종교적 풍속이 있었는데, 동해에 접한 이 일대에서 제천 의식의 하나로 태양제가 지내졌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오랑 세오녀]설화는 이별과 해후의 갈림길에서 부부의 정이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서 열리고, 새로운 세계를 향해 개척해 나가는 일련의 이야기로서, 삶의 애환이 고스란히 용해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 요점정리
⑴ 성격 : 신화(일월신화)
⑵ 주제 : 새로운 세계의 개척, 일월신의 도일(渡日)
⑶ 의의 : 우리 나라에 전하는 유일한 문헌 일월신화
◆ 다른 작품과의 관련성
이 설화는 문헌에 전하는 일월 신화인데 비해서 구전에 전하는 일월 신화는 우리에게 [해와 달이 된 오누이]가 있다. 무가에는 손진태가 채록한 [일월노리푸념]도 있다. 전자의 이야기는 범에게 쫒긴 아이들이 나무 위에 올라가서 하늘에서 내려온 줄을 잡고 하늘에 올라가 각각 해와 달의 기원이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와 유사한 이야기가 일본에도 전한다. 단지 범이 다른 동물로 바뀌었고, 동아줄이 쇠사슬로 바뀌었지만 이야기의 서사구조는 거의 같다.
한편 이 설화를 소재로 시인 서정주는 [해]라는 시를 쓴 바 있다.
◆ 소재가 지닌 상징성
이 설화에서 주인공 이름 속에 들어 있는 글자 '오(烏)' 즉, 까마귀인 것이다. 까마귀는 우리에게 흉조, 죽음, 저승 사자, 간신, 나쁜 무리 등으로 그 상징성이 알려져 있고, 서양에서는 탐욕이나 죽음, 지혜, 풍요, 창조자, 길조, 흉조 등 다양한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 신화에서는 까마귀는 '태양'을 상징하게 된다. 이것은 고대 중국의 신화나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도 나타나는데 태양 속에 사는 새로 알려져 있다. 한편 까마귀는 반포조(反哺鳥)라 하여 효성스러운 것의 대명사로도 알려져 있다.
생각해 보기
◆ 연구문제
1. 이 설화의 국문학상 의의를 간단히 써보자.
2. 이와 같은 설화를 바탕으로 우리 선조들의 사상을 추정한다면 어떤 사상인가.
3. 이 글은 어느 나라 건국신화와 관련이 있는가.
◆ 참고사항 : 『국어국문학 사전』에서 발췌한 내용
연오는 태양 속에 까마귀가 산다는 양오전설(陽烏傳說)의 변음으로 볼 수 있고, 세오도 쇠오, 즉 금오(金烏)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연오와 세오의 이동으로 일월이 빛을 잃었다가 세오의 비단 제사로 다시 광명을 회복하였다는 일월지(日月池)의 전설과 자취는 지금도 영일만에 남아 있다. 영일현의 영일(迎日), 즉 '해맞이'의 지명도 태양신화와 직접 관련이 있으며, <일본서기>의 「천일창설화(天日槍說話)」도 같은 유의 광명의 신, 즉 태양신화의 이동 전설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남해안과 일본의 이즈모 지방은 역사적으로도 문화의 전승로였음을 감안해 볼 때, 그러한 문화를 따라 이동한 태양신화의 한 모습을 이 설화가 잘 설명하고 있다.
결국 <연오랑 세오녀>설화는 일찍이 우리 민족이 일본땅을 개척하여 통치자가 되고 내왕한 문화적 사실을 원시적 태양신화의 동점설화가 붙여 상징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좋은 예화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연오와 세오도 광명을 의인화한 명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작품 감상을 위한 보충 자료 (퍼온 글임)
태양이 광명의 신으로 신앙의 대상이 된 것은 전인류의 공통성이다. 어느 민족이나 해와 달에 관한 이야기는 풍부히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는 구비전승에는 이런 유의 이야기가 많이 전하고 있으나 문헌에선 거의 유일하다. 우리 선조들이라고 광명에 대한 동경, 신앙이 없을 리 없다. 더욱 농경생활을 주로 해 온 우리에게 태양이나 달에 대한 신앙이 없었다는 것은 생각하기조차 어렵다. 단지 뜻있는 지식인들에 의해서 이것들이 옮겨지지 못했다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첫째, 아내까지 나라를 떠나니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는 것은 아내가 태양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내가 짠 명주를 제사하여 광명을 되찾았다는 것도 여성이 태양신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태양신이 여성으로 상징되는 것은 세계 신화의 공통점이다.
둘째로 주목할 점은 일본 신화에서도 태양신은 여성이다. 소위 천조대신(天照大神)이라는 여신이다. 그렇다면 이 일본의 여신은 결국 신라에서 건너간 신이 아닌가 한다. 이 문제는 상당히 깊은 연구를 전제로 하는 것이지만 일본의 책을 보아도 태양을 상징하는 천일창(天日槍, 일본명 아메노히보꼬)의 아내가 일본에 건너왔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 <신라의 왕자 천일창이 해의 정기를 받은 처녀가 낳은 알을 빼앗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알(태양의 정기)이 처녀로 화해서 같이 살았다. 그런데 천일창이 아내를 박대하자 아내는 일본으로 건너오고, 천일창도 따라 건너오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 이 두 이야기에서 우리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태양과의 관련, 부부가 함께 도일, 일본에 귀화 등이 그것이다. 차이점은 우리는 남편이 먼저 갔는데 일본의 경우는 아내가 먼저 갔고, 우리는 태양의 정기라는 것이 밝혀져 있는데 일본은 밝혀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양쪽 문헌 모두 여인과 태양의 관련성을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일본의 천조대신에 관한 신화와 우리의 [연오랑 세오녀]는 옷감을 짰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또 일본과 우리의 신화가 무속(巫俗)과 관계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셋째, 바다를 건너는 형식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의 [동명왕 신화]에서도 나타났지만 [연오랑세오녀]에서도 바위가 혹은 물고기가 다리를 놓아 주어 바다를 건넌다. 신화에서 바다를 건너는 것은 쉬운 일이다. <구약성경>이나 [용비어천가]에도 잘 나타나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해설]공산에 우는 접동 ~ -박효관- (0) | 2022.05.04 |
---|---|
[고전산문/설화 해설]우렁이 색시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아기 장수 설화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설씨녀와 가실 이야기 - 삼국사기-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방이 설화 - 태평어람 권 481. -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