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공산에 우는 접동 ~ -박효관-
[현대어 풀이]
- 아무도 없는 텅 빈 산에서 우는 접동새야, 너는 어이하여 울부짖고 있느냐?
- 너도 나처럼 무슨 이별하였느냐?
- 아무리 애절하게 운다고 해도 대답이나 있었더냐?
[이해와 감상]
초장의 '공산(空山)'은 시간적인 배경으로 고요하고 적막한 때를 연출해주며, 그곳에서 울고 있는 '접동새'는 화자의 정서를 대신해 줄 수 있는 소재로, 전통적인 정한의 이미지로 등장하고 있다. 한적하고 고독한 분위기 속에 들려오는 구슬픈 울음소리는 마치 화자의 마음을 알고 있기라도 한 것처럼 애처롭게 울어댄다. 그러나 아무리 호소하듯 슬프게 울어보아도, 이별한 임은 아무런 대답이 없다는 화자의 체념이 종장에 나타나고 있다.
* 공산 → 아무도 없는 텅 빈 산, 고독감을 심화시키는 배경
* 접동새 → 객관적 상관물, 한과 고독의 정서 환기
* 대답이나 하더냐 → 대답 없는 님, 체념의 정서
[정 리]
◆ 성격 : 평시조, 이별가
◆ 표현
① 적막한 공산에서 울고 있는 접동새를 의인화하여 화자의 슬픈 감정을 투영함.
② 고독감을 심화시키는 배경을 사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제시함.
◆ 주제 :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
◆ 문학사적 의의 : 임과의 이별로 이한 슬픔을 자연물에 의탁해 표현하는 수법이 빼어남.
728x90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해설]농가(農歌) 구장(九章) -위백규- (0) | 2022.05.05 |
---|---|
[고시조 해설]냇가에 해오라비 ~ -신흠-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우렁이 색시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연오랑 세오녀 - 삼국유사. 권1- (0) | 2022.05.04 |
[고전산문/설화 해설]아기 장수 설화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