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눈 마자 휘어진 대를 ~ -원천석-
[현대어 풀이]
- 눈을 맞아 휘어진 대나무를 보고 누가 굽었다고 하는가 ?
- 굽혀질 절개라면 차가운 눈 속에서 푸르게 서 있겠는가 ?
- 아마도 한겨울의 추위를 이겨내는높은 절개는 너뿐인가 생각하노라.
[창작 배경]
고려 왕조가 몰락하면서 유신(遺臣)이 된 작자가 원주 치악산에 들어가 두 왕조를 섬길 수 없음을 지조있게 노래한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여말선초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는 유학자적 곧은 충절은 시류(時流)에 부동(不動)하는 무리들의 핍박에 더욱 고절(孤節)을 돋보이게 한다.
초장의 ' 눈'은 새 왕조에 협력을 강요하는 외부적인 압력을 비유하고, ' 휘어진 대'는 그러한 눈 속에서 고통과 시련을 견디어 내는 힘든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중장은 설의적 표현으로 '지절(志節)의 정신'을 나타내며, 종장의 ' 세한고절'을 통해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끝까지 굽히지 않을 화자의 신념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고려 유신의 굳은 절개를 드러낸 중·종장의 구절은 <논어>의 " 歲寒然後 知松栢之後凋 : 날씨가 차가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안다 "는 구절과 일맥 상통한다.·
[ 정리 ]
◆ 성격 : 평시조, 지절가(志節歌), 회고가
◆ 구성
-. 초장 : 눈 맞아 휘어진 대나무와 훼손된 절개에 대한 의문
-. 중장 : 휘어진 대나무의 변함없는 푸르름을 강조함.
-. 종장 : 추위에도 굴하지 않는 대나무의 절개에 대한 찬양
◆ 표현
① 상징과 설의법
② 대나무를 의인화하여 고려 왕조에 대한 절개를 나타냄.(의인법)
◆ 주제 : 굽히지 않는 절개. 고려왕조를 향한 충절
728x90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조 해설]단가 육장 -이신의- (0) | 2022.05.07 |
---|---|
[고시조 해설]님 글인 상사몽이 ~ -박효관- (0) | 2022.05.07 |
[고시조 해설]높으나 높은 남게 ~ -이양원- (0) | 2022.05.07 |
[고시조 해설]내해 죠타 하고 ~ -변계량- (0) | 2022.05.06 |
[고시조 해설] 내 언제 무신하여 ~ -황진이- (21) | 2022.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