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시조 해설] 자경가(自警歌) -박인로-

by 휴리스틱31 2022. 5. 10.
728x90

 자경가(自警歌)                   -박인로-

 

 

[현대어 풀이]

 

  1. 거울에 먼지가 끼면 값을 주고 닦을 줄을 /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다 알고 있건마는 / 값 없이 닦을 수 있는 밝은 덕은 닦을 줄을 모르도다.
  2. 성의관을 돌아 들어가서 팔덕문을 바라보니, / 크나큰 한 길이 넓고도 곧게 뻗어 있건마는 / 어찌하여 하루 종일 행인이 한 사람도 없는 것인가?
  3. 구인산에 있는 큰 소나무를 베어 세상을 구할 만한 큰 배를 만들어서 / 길 잃은 행인을 다 건네 주려고 하였더니 / 사공이 변변치 못하여 저물어 가는 강가에 버렸구나.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3수로 된 연시조로 제1연은 명덕을 닦으라고, 제2연은 팔덕(八德)에 이르라고, 제3연은 세상을 바로잡으라고 노래하고 있다. 이 작품은 '자경가'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은이가 자신의 마음가짐과 행위에 대한 경계를 위해 지은 것이다.

작자는 젊은 시절을 내우외환의 와중에서 무부(武夫)로서 보냈다. 이러한 혼탁한 시대를 구하고자 청운의 포부를 품었지만, 좀처럼 영달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자, 은자로서 수도상문(修道尙文:항상 학문으로 수도함)의 길을 걸었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고 한 성현의 말이 아니더라도 인륜 대도가 정도(正道)임은 너무나 확연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므로 이에 자신을 경계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은 자신을 반성할 줄 모르고 덕행을 멀리하며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유교적 수양을 권면하는 것이 주된 창작의도라고 하겠다. 탄탄대로의 팔덕문이 훤하게 열려 있건만 사람들은 어디에다 정신을 팔아 하루종일 지나는 사람이 없다는 말인가? 세속을 탓하며 경계하고자 하는 타산지석의 교훈이 아닐 수 없다.

초장의 '긴 솔'은 동량재(棟樑材, 기둥)를 말한 것이며, 종장의 '사공'은 무능한 자신을 일컫는 말이다.

 

[정 리]

 

 성격 : 경세적 · 교훈적 성격의 3수로 된 연시조

 구성

* 제1수 → 덕 닦기를 게을리하는 세태 비판

* 제2수 → 정도를 걷지 않는 세태 비판

* 제3수 → 세상을 구할 수 없음에 대한 탄식

 표현 : 4음보의 정형시

 주제 : 부정적 세태에 대한 경계

           덕행 실천에 대하여 스스로의 마음이나 행동을 경계함.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