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새에 관한 명상(1979)
-김원일-
● 줄거리
철새들 특히 도요새의 도래지로 유명한 동진강 하구를 배경으로 한 가족의 이야기가 서술된다. 북한에서 재력 있는 수산업자의 아들로 태어난 아버지는 6.25 때 인민군으로 참전하여 포로로 국군에 전향한 후 부상을 입고 대위로 예편한 사람이다. 그는 학교 서무과장을 지내면서 아내의 강요에 못 이겨 공금을 유용하다가 실직하게 된다.
51세의 실직자인 그는 북에 두고 온 애인에 대한 그리움을 버리지 못한 소극적인 인물이며 현실에 무관심한 인물이다. 그런데 그의 아내는 생활력이 강한 적극적인 인물로서 모든 일들을 맡아서 처리하나 무식하고 직선적이다. 그들은 단지 자식들을 매개로 부부 관계를 유지할 뿐 각자 별개의 생활로 서로 무관심하다.
큰아들 병국은 서울의 일류 대학에 다니는 촉망받던 존재였으나 시국 사건에 뛰어들어 퇴학을 당하고 낙향을 한다. 그는 환경 문제에 대한 새로운 도전으로 조류와 동진강의 오염에 젊음에 불태운다. 둘째 병식은 재수생으로 무기력하고 줏대 없는 행동의 소유자로서 용돈을 위해서 철새들을 박제하는 일에 협조하기도 한다.
이렇게 구성된 가족들이 엮어내는 과거와 현재의 다양한 사건들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만남, 새떼를 집요하게 추적하면서 환경 문제를 조사해 나가는 병국이의 집념, 항상 두고 온 고향을 그리며 살아가는 실향민인 아버지의 내면 세계 등으로 이어진다.
한편 도요새를 노리는 밀렵꾼의 생태, 새들이 집단으로 죽어가는 원인과 동진강의 오염 상태 등을 추적하다가 군인들에게 붙잡혀 풀려난 병국은 새들의 죽음에 병식이가 관련되었다는 단서를 잡고 추궁한다.
그러나 동생은 아무런 가책도 느끼지 못하면서 그런 문제에 열중하는 형을 경멸하고 무시해 버린다. 병국은 모든 공장들이 동진강 오염의 주범이라는 인식을 확고히 하면서 언젠가는 자신의 힘으로 동진강을 예전처럼 철새의 낙원으로 살리리라고 결심한다.
● 인물의 성격
◆ 아버지 : 실향민, 고향을 그리워하는 소극적이고 이상적이나 자상한 면모를 지님.
◆ 어머니 : 적극적이고 억척 같은 생활인이나 무계획적임.
◆ 병국 : 장남. 수재이나 시국에 연루되어 퇴학을 당함. 현실보다는 이상을 추구하는 행동적이며 적극적인 인물임. 도요새를 절대 자유의 상징으로 여기며 지키고 보호하려 함.
◆ 병식 : 동생. 재수생으로 현실적이고 이기적이며 타산적인 인물임. 도요새를 밀렵하여 박제상(剝製商)에게 내다 판다.
● 이해와 감상
◆ <도요새에 관한 명상>은 제10회 한국 창작 문학상을 수상한 중편소설이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분단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서정적인 배경과 더불어, 가족 구성원 간의 갈등의 형태로 더욱 심화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작가는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작품을 통해서도, 타락한 세계에 대한 개인의 또다른 저항 양태를 보여준다. 이것은 곧 순결한 의식의 영역을 스스로 지켜나감으로써 이 타락의 세계에 거부하는 태도임을 뜻한다.
◆ 이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가족들의 이야기를 제각각의 시점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처음에는 병식의 눈으로, 둘째는 병국이, 셋째는 아버지, 그리고 끝으로 작가가 직접 개입하여 서로 이질적인 인물들을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은 객관적인 시선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아버지의 정신적 상처를 통한 실향민들의 한, 병국이의 퇴학, 공해 문제에 대한 심각성 등 현대 사회의 문제와 지식인들의 갈등을 부각시켜 줄 수 있었다.
이는 내면성의 추구, 사건의 내면화를 최대한 살려 낼 수 있게 하고, 사건의 전개 발전을 밀도있게 다룰 수 있게 하고 있으며, 결말에 이르러서는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전환하여 독자들에게 문제를 제기하는 기법상의 효과를 노리는 소설적 장치인 것이다. 이같이 김원일의 <도요새에 관한 명상>은 기법의 새로움, 소재의 특이성, 그리고 우리 사회의 전형적인 인물 유형의 설정 등을 통해서 참다운 삶의 진정성을 회복하려는 작가 의식을 보여 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 '도요새'는 아버지와 병국 사이에 존재하는 정신적 유대감을 상징하는 기능을 한다. 아버지에게는 고향을, 병국에게는 정신적 자유를 상징하는 이 도요새는 이들의 정신적 상처를 치유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이 상처는 민족 분단에서 비롯한 것이므로, 작품 <도요새에 관한 명상>은 곧 6.25라는 비극적 역사에 대한 성찰이라 할 수 있다.
● 핵심사항 정리
◆ 갈래 : 현대, 중편소설
◆ 배경
* 시간적 : 1970년대 후반 도시의 산업화로 공해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될 시기
( 6. 25를 전후한 시기가 회상의 공간에서 다루어짐 )
* 공간적 : 동진강 유역의 오염지대
◆ 시점 : 시점의 이동이 자유로움(1인칭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표현상 특징 : 등장인물들 각각의 시점으로 서술됨.
◆ 주제
* 민족적 비극의 역사적 상황과 공해 문제의 도출
* 타락한 삶에 대한 비판과 순수한 인간성 회복
◆ 출전 : <한국문학>(1979) 제68호에 발표됨.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소설 해설]흔들리는 땅(1975)-홍성원- (0) | 2021.11.15 |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폭군(1969)-홍성원- (0) | 2021.11.15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어둠의 혼(1973)-김원일- (0) | 2021.11.11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잠시 눕는 풀(1974)-김원일- (0) | 2021.11.11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방황하는 내국인(1991)-김원우- (0) | 2021.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