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2 -정지용- |
|||
바다는 뿔뿔이 달아나려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랐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붙이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 이 앨쓴 해도(海圖)에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구르도록 회동그라니 받쳐들었다! 지구는 연잎인 양 오므라들고…… 펴고……. |
|
||
-<시원>(1935)-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감각적, 회화적, 비유적
◆ 특성
①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로 바다의 생동감을 드러냄.
② 대상에 대한 시적 상상력으로 바다의 모습을 새롭게 표현함.
③ 주관적 정서를 절제하고 자연현상을 인상적으로 묘사함.
④ 참신하고 다양한 비유를 사용하여 바다의 모습을 나타냄.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1~3연 → 파도의 모습을 재빠르게 도망쳐서 꼬리를 잡을 수 없는 동물의 이미지(도마뱀)로 표현함.
* 4연 → 파도의 포말을 날카로운 이미지(흰 발톱)로 포착하여 파도가 남긴 흔적을 상처에 비유함.
*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 파도에 쓸린 해안의 외관을 표현한 구절이다. 한편, 시적 언어를 통해 바다를 포착하려다가 실패한 화자의 생채기로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처가 붉은색의 이미지를 가지므로 파도가 남기고 간 흔적을 상처에 빗대어 붉고 슬프다고 제시하고 있다.
* 5연 → 육지의 변죽(가장자리)인 해안을 물기로 씻어 내고 있는 바다를 형상화함.
* 앨쓴 해도 → 바다가 애를 쓴 바다 지도(바닷물과 땅이 경계를 이루어 해안선을 만드는 것을 해도를 그려 놓은 것으로 비유함.) / 애를 쓴 주체가 화자라면, 해도를 그리는 화자의 시적 상상력이 담긴 표현으로 봄.
* 7연→ 역동적이면서 생동감 넘치는 충만한 바다의 모습을 드러냄.(음성상징어의 활용)
* 8연 → 지구가 바다 위에서 오므라들고 펴고 하는 것으로 형상화함.
* 회동그라니 → 가볍고 단촐하게
* 지구는 연잎인 양 → 지구를 커다란 연잎에 비유함.
◆ 주제 : 파도치는 바다에서 느껴지는 생동감
[시상의 흐름(짜임)]
◆ 1~3연 : 바다가 밀려 나가는 모습
◆ 4~6연 : 바다가 밀려 나가고 드러난 해안의 모습
◆ 7~8연 : 밀려오고 밀려 나가는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바다> 연작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시는 정지용의 초기 시 특징의 하나인 참신한 상상력과 신선한 비유를 통해 바다를 살아 있는 생명체로 인식하여 생동감 있게 묘사한 작품이다. 처음 부분에서는 바닷가에 끊임없이 밀려왔다가 밀려 나가는 파도의 모습을 재빠르게 도망쳐서 꼬리를 잡을 수 없는 도마뱀 떼에 비유했다. 중간 부분에서는 파도가 빠져나가고 남은 바닷가 해변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파도가 밀려왔다가 밀려 나가는 과정을 바다가 파도로 육지를 씻고 바닷물과 해안의 경계선을 그려내는 모습으로 묘사했다. 그리고 그 과정이 반복되는 것을 바다로 둘러싸인 육지가 마치 연잎인 듯이 오므라들었다가 펴지는 것으로 발상을 전환하여 기발하게 형상화하였다.
◆ 더 읽을거리
<바다> 연작시 10여 편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작품은 정지용의 초기 시 특징의 하나인 선명한 이미지 제시를 위한 시작 방법을 엿볼 수 있다. 지용은 여러 감각적 이미지 중, 시각적 이미지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또한 그 이미지를 직조해 내기 위해 직유법을 즐겼다. 그리고 직유에 사용된 보조관념은 동물계의 자연물이 많이 등장한다. 이렇게 그가 직유를 즐기고 동물계 보조관념을 많이 사용한 까닭은 움직이는 상태, 즉 동적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정지해 있지 않고 부단히 움직이는 세계는 외부로 열려진 세계이고 밖으로 확산되는 세계이다. 그렇다면 그가 '바다'라는 연작시에 집착했던 이유는 보다 분명해진다. 결국 '바다'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개화기부터 일제하에 이르기까지 서구에 대한 동경과 새로운 것의 갈망이라는 지식인들의 정신 편향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물로 지용에게도 역시 예외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파도가 밀려오는 푸른 바다의 모습을 놀랄 만큼 신선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는 이 시는, 1~4연에서는 바다의 역동적 모습을, 5~8연에서는 해안선까지 확대된 시인의 시선을 통해 바다를 총체적으로 관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끊임없이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의 모습을 '뿔뿔이 / 달아나려고'로, 파도가 뭍에 부딪쳐 흩어지는 모습을 '푸른 도마뱀 떼'로, '꼬리가 이루 / 잡히지 않'을 만큼 빠른 파도의 움직임을 '재재발렀다'로,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을 '흰 발톱'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바다를 투시하던 시인의 혜안은, 아득히 먼 곳으로부터 달려왔다가 해변에 이르러 하얗게 부서져 쓰러지는 파도의 기진한 모습에서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를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바다가 '가가스로 몰아다 부치고 /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는 것으로 생각하는 시인은 마침내 자신의 상상으로 조형한 해도를 총체적으로 그려 보여준다.
'찰찰'과 '돌돌'이라는 첩어를 통해 충만하고 경쾌한 바다를 제시하는 한편,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를 바다가 지구를 더받들고 있는 것으로, 또한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가 마치 연잎처럼 오므라들기도 펴지기도 하는 것으로 해도를 그리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렇게 하여 바다에 대한 단순한 인식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은 바다와 하나가 된 무아경의 세계에서 바다를 응시함으로써 바다에서 '도마뱀'을 찾아내고 '꼬리'와 '흰 발톱', 나아가 육지를 떠받들고 있는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에 이른 것이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가을비 - 도종환 - (0) | 2021.11.26 |
---|---|
[현대시 해설]산 -김광섭- (0) | 2021.11.25 |
[현대시 해설]흔들리며 피는 꽃 - 도종환 - (0) | 2021.11.25 |
[현대시 해설]바다1 - 정지용 - (0) | 2021.11.25 |
[현대소설 줄거리/해설]귀환(1957)-김성한- (0) | 2021.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