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울릉도 - 유치환 -

by 휴리스틱31 2021. 11. 26.
728x90

울릉도
                                                                              -  유치환  -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애국적, 관념적, 낭만적, 현실참여적

 표현 : 대상(울릉도)의 의인화 - 감정이입의 대상

             수미상관식 구성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심해선 → 지도에서 수심 200m 이상의 바다를 표시하는 선

    * 금수로 굽이쳐 내리던 → 금수강산을 이루며 (은유법, 미화법, 환유법)

    * 장백의 멧부리 방울 뛰어

         → 장백산맥의 가장 높은 봉우리인 백두산의 줄기가 물방울처럼 튀어 이루어진 울릉도

            상상력을 통해 울릉도가 형성된 것을 역동적으로 표현한 구절

    * 애달픈 국토의 막내, 호젓한 모습 → 국토(울릉도)에 대한 혈연적, 근원적 애정이 담긴 표현

                                                           울릉도를 2인칭 대명사로 인격화한 의인화된 표현

 

 

    * 창망한 → 아득하게 넓은

    * 창망한 물굽이에 / 금시에 지워질 듯 근심스레 떠 있기에

        → 창해일속(滄海一粟)의 모습으로서, 울릉도의 가냘프고 외로운 모습을 부각시킨 표현

    * 사념의 머리 곱게 씻기우고 → 경건한 마음으로 조국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사는 울릉도의 모습

    * 지나 새나 뭍으로 뭍으로만 / 향하는 그리운 마음

        → 애국심 하나만을 지니고 사는 울릉도의 일편단심 (시인 자신의 애국심의 표현)

    * 5연(주제연) → 애국심이 직서적으로 표출됨

                             어지러운 정세에 처한 조국의 현실에 힘이 미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영탄으로 표현

                             무력한 시인 자신의 안타까움

 

 주제  조국의 현실과 국토에 대한 깊고 애틋한 정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지도 속의 울릉도를 찾아감.

◆ 2연 : 울릉도의 생성 과정

◆ 3연 : 울릉도의 현재 모습

◆ 4연 : 본토를 그리워하는 울릉도

◆ 5연 : 조국의 현실을 걱정하는 울릉도(애국심) ⇒ 주제연

◆ 6연 : 울릉도에 대한 동경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시인의 일반적 시풍과는 달리, 어떤 사상성이나 인생문제를 철학적으로 다룬 것이 아니라, 국토의 한 점 혈육과도 같은 작은 섬 울릉도의 외로움과 그에 대한 그리움을 상상력에 의하여 표현한 시다.

1945년 조국 광복 직후의 어지러운 시대상황을 배경으로, 좌익과 우익의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한치 앞을 예측하기 힘든 혼란한 사회 속에서, 시인은 차라리 본토와 뚝 떨어진 울릉도처럼 먼 곳에서 나라를 걱정하는 편이 낫겠다고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애달픈 국토의 막내'라든가 '조국의 사직의 어지러운 소식이 들려 올 적마다'처럼 나라에 대해 걱정하는 마음을 느낄 수 있다. 울릉도처럼 뚝 떨어진 곳에서 나라의 안위를 걱정한다는 것은 당시의 시대 상황이 얼마나 힘들었던가를 말해 준다.

물론 평자들 중에는 시인의 울릉도 체험, 혹은 울릉도의 삶의 모습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점을 들어 관념적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또 생경한 한자어의 남용을 한계로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해방 후 정국의 어지러움 속에 조국을 염려하는 마음이 나타난 이 시에 대한 평가가 반감되는 것은 아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