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시가/향가]도천수관음가(燾千手觀音歌) - 희명 -

by 휴리스틱31 2021. 12. 2.
728x90

도천수관음가(燾千手觀音歌)              - 희명 -

 

 

 

[ 현대어 풀이 ]

 

무릎을 꿇고  /  두 손 바닥을 모아  /  천수관음 앞에  /  빌며 사뢰옵니다  /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 중에서  /  하나를 내 놓아 하나를 덜어  /  둘 다 없나니  /  하나만 그윽히(정성스럽게) 고쳐 주옵소서.  /  아아, 나에게 그 덕(德)을 끼쳐 주신다면  /  놓으시되 베풀어주시는 자비는 얼마나 큰 것인가?

 

[ 배경설화 ]

 

경덕왕 때 한기리(漢岐里)의 여인, 희명의 아이가 난 지 다섯 살 만에 갑자기 눈이 멀었다. 하루는 그 어머니가  그 아이더러 노래를 지어서 빌라고 하였더니 그만 눈이 떠졌다. 그를 예찬하여 시를 지었으니,

"막대로 말을 삼고 파로 피리 불어 골목에서 뛰놀다가 하루 아침 앞이 캄캄, 반짝이는 두 눈동자 어느덧 잃었고나. 만일에 관음 보살 인자한 눈을 떠서 돌보지 않았다면 버들개지 휘날리는 몇 몇 해 봄 빛을 헛되이 지냈으니 ! "라 하였다.

 

 

 [ 이해와 감상 ]

 

신라 경덕왕 때의 희명이 쓴 10구체의 향가로, 분황사에서 눈을 뜨게 해 달라고 빌며 읊은 불교적인 노래이자 기도의 노래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관세음보살은 주로 일반 중생의 삶을 보호하는 일을 한다. 만일 한량없는 중생이 온갖 고뇌를 받을 때에 이 관세음보살의 일을 듣고 한 마음으로 부르면, 관세음보살은 곧 그의 음성을 듣고 고통 속에서의 해탈을 얻게 한다.

 

관음사상에 들어있는 "응현(應現)"과 "위난구제(危難救濟)사상"은 아들을 얻고자 빈다거나, 장님이 눈을 얻는다거나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렇게 우주의 무수한 관음이 어느 때 어느 곳에서라도 나타나 사람의 기원을 들어주고 위난을 구제해 주며, 변화무쌍한 관음력을 구현하여 사바 세계의 실제적 보살로서 신앙되어 온 것이다.

 

이 작품은 기원의 노래인 동시에 눈먼 자식의 눈을 고쳐보겠다는 모성애를 포함하고 있는 노래이다. 이 노래를 통하여 우리는 어린 아들의 어조를 듣게 되는데, 사실은 어머니가 지은 노래로 어머니의 감정이 완전히 아들의 것으로 바뀌어 있는 것에 놀라게 된다 그만큼 다른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가 동반될 때 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천 개의 눈을 가진 보살이여. 눈을 하나만 내 아들에게 주소서. 당신이야 눈 하나 주시는 것은 아주 쉽지만, 내 아이에게는 목숨만큼 중요하오리다.' 어머니의 슬프고 측은한 정성이 가슴에 저리도록 절실하게 느껴진다.

 

[ 핵심 정리 ]

 

◆ 성격 : 10구체 향가. 종교적, 주술적 노래.

 주제 : 관음보살의 자비함과 눈을 뜨게 하고자 하는 어머니의 기원

 명칭 : <천수대비가>, <맹아득안가(盲兒得眼歌)>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