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시가/속요 해설]사모곡 (思母曲)

by 휴리스틱31 2021. 12. 2.
728x90

사 모 곡 (思母曲)

 

 

 

[현대어 풀이]

 

  • 호미도 날이지마는
  • 낫과 같이 잘 들 까닭이 없습니다.
  • 아버님도 부모님이시지만
  • 위 덩더듕셩
  • 어머님과 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도다.
  • 아, 임(세인)이시여
  • 어머님과 같이 사랑하실 분이 없도다.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더 깊고 넓음을 호미와 낫에 비유하여 소박하게 읊고 있는 작품이다. 호미와 낫을 제재로 취한 것으로 볼 때 작자가 농민 계층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 속요의 대부분이 탁월한 수사법을 구사하고 있는데 반해, 이 <사모곡>만은 어리숙한 표현법을 사용하고 있다. 어머니의 뜨거운 사랑과 아버지의 사랑을 차가운 느낌을 주는 쇠붙이인 낫과 호미에 비유함으로써, 사랑을 상징하는 비유로는 적합하지 못한 표현의 미숙성을 보여주고 있다.

 

표현이 미숙하지만 소박함에 멋이 있는 작품이다. 우선 생활 주변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낫과 호미에 부모의 사랑을 견주었다는 것, 낫이 호미보다 더 잘 드니까 아버지보다는 더 정다운 어머니에 비유했다는 것, 그래서 이 노래는 단순하고 귀여운 어린아이의 표현으로 느껴지며 동요다운 치기를 지니고 있다.

 

 

[요점 정리]

 

 성격 : 고려속요

■ 형식

* 비분절체, 비연시(단연시)

* 후렴구와 반복구를 생략하면 평시조의 3장 형식과 대응되며, 제3장에 해당하는 첫부분이 '아소 님하'와 같은 감탄적 언어로 되어 있다는 것에서 10구체 향가의 낙구와 맥을 같이함.

 

■ 표현

* 비유법(사랑을 농기구에 빗댐)

* 소박하고 간결한 표현

* 비교와 반복을 통해 어머니의 사랑이라는 의미를 강조함.

 

■ 구성

* 1~2행 : 호미와 낫의 비교

* 3~5행 :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 비교

* 6~7행 : 어머니의 사랑 예찬

 

 

■ 시적 화자 :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랑의 차이를 체험한 자로서, 어머니의 사랑을 예찬하면서 동시에 아버지의 사랑에 대해 원망하는 태도를 취하는 사람. 또는 어린 아이

 

■ 주제 :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깊은 사랑(모성애 예찬)

■ 별칭 : "엇노리" <시용향악보>

 관련작품 : <고려사악지>에 전해지는 "목주가" → 신라의 가요로, 노래의 유래만 전해지고 가사는 전해지지 않지만, 주제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됨.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