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낡은 집 - 이용악 -

by 휴리스틱31 2021. 12. 3.
728x90

낡은 집
                                                                              -  이용악  -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느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랜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뇌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 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 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한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 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던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디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 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낡은 집>(1938)-

 

 

해             설

 

[개관정리]

 성격 : 향토적, 서사적, 설화적, 담화적, 사실적, 상징적

 표현 : 시각적 심상과 묘사

              방언의 사용을 통해 설화적 분위기를 살림.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담시(譚詩)

              소설적 구조에다 애상성의 가미로 서정성을 획득함.

              유이민의 가족사적 내용을 단편 서사시의 형식을 통해 표현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 재산이나 권력도(원뜻은 동곳이나 관자 모두 부귀의 정도를 드러내는 남자들의

                                                  머리 장신구이지만, 여기서는 그것이 재력 혹은 권력의 상징으로 차용됨)

    * 무곡 → 장사를 하려고 많은 곡식을 사들임.

    *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 콩을 싣고 다니다가 늙어 버린 수소. '둥글소'는 함경도 방언으로 수소를 가리킴.

                                           일제에 수탈당하는 농민들의 노역을 상징하기도 함.

    * 찻길이 뇌이기(놓이기) 전 → 이 시의 비극적 현실이 개인적인 이유에 기인하기보다 사회적, 역사적 조건

                에 말미암았음을 짐작케 하는 구체적 표현임.  '찻길'은 일제의 수탈을 상징함.

    * 싸리말 동무 → 싸리비를 만들어 말처럼 같이 놀던 친구(=죽마고우)

    * 짓두광주리 → '반짇고리'에 해당하는 함경도 사투리

 

 

    * 털보네는 또 아들을 ~ 팔아나 먹지

                → 극한 궁핍으로 인해 출생이 오히려 흉이 되어 버림,   가난의 실상과 비극의 극대화

                    가난 때문에 자식을 낳은 것도 축하받지 못하는 비참한 현실을 직접화법으로 표현함.

    * 차그운 이야기 →걱정하는 이야기(흉보는 이야기)

    * 저릎등 → 겨릎등(긴 삼대를 태워 불을 밝히는 장치)

    * 소주에 취한 ~ 붉더란다 → 가난으로 인해 아들의 출생마저도 기뻐할 수 없는 아비의 괴로워하는 모습

    * 갓주지 이야기 → 무서운 옛날 이야기 중의 하나로, 아이들의 울음을 달랠 때 했던 이야기. 부모들이

                             바라지 않는 자식은 갓을 쓴 중(주지승)이 잡아간다는 전설

    * 나의 동무는 ~ 자랐다 → 어린아이마저도 삶에 대한 걱정을 해야 하는 눈물겨운 삶의 모습

    * 노랑고양이 울어 울어 → 염려를 더하는 배경

 

    *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우에 떨고 있었다 → 야반도주한 사람들의 아픈 심정을 느끼게 해주는 부분. '발자국'과 '떨림'을 연결시켜 표현하고 있는데, 떨림의 주체를 털보네와 화자인 나 양쪽에 모두 걸어둠으로써, 털보네가 경험하는 뿌리뽑힘과 추위라는 상황이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로 대표되는 가족과 마을 전체로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함.

    * 무서운 곳 → 이주해 가는 곳도 결코 상황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었음을 말해 줌.

    * 글거리 → 그루터기(밑동)

    * 꽃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 울안에 /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 사람이 살지 않는 낡은 집에 꿀벌 하나 찾아들지 않는 황폐한 모습으로, 바로 식민지치하의 우리 조국의 모습을 연상케 함.

 

 

 주제  일제말 우리 농촌의 궁핍상과 유랑민에 대한 연민

             가난과 시대적 현실이 가져다 준 한 가족의 파탄된 삶

 제목의 상징성 : 일제 강점하의 우리 민족의 몰락한 현실상

 

 서정적 자아 : 어린 화자의 입을 빌어서 표현되고 있는데,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상대방에 대하여 무엇을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전달하려는 태도를 취하는, 다분히 객관적이고 담담한 태도를 보여준다. 즉 화자와 청자를 시인으로부터 분리하여 현실적인 대상으로 구체화시킴으로써 독자들이 시의 내용을 일종의 연극처럼 감상하게 만들고 있음이 이 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어른들이 들려 준 낡은 집에 대한 이야기(몰락한 조국의 실상)

◆ 2연 : 자취를 감춘 털보네 낡은 집의 모습

◆ 3연 : 털보네 셋째 아들(싸리말 동무)의 출생

◆ 4연 : 축복받지 못한 동무의 출생(가난의 실상을 극적으로 제시함)

◆ 5연 : 가난과 아버지의 부재 속에서 서러운 삶을 살았던 동무의 어린 시절

◆ 6연 : 털보네 가족의 고향 이주

◆ 7연 : 털보네 가족이 간 곳을 짚어보는 이웃들

◆ 8연 : 낡은 집의 황폐한 모습(파괴된 민족의 삶의 불모성이 흉가의 장면 표출로 극대화)

 

 

 [ 구성 ]

   ◇ 외화(동네 어른의 머리말)  : 현재, 직접 화법

   ◇ 내화(털보네의 사연)         : 과거, 간접 화법

   ◇ 외화('나'의 감상)              : 현재, 직접 화법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나이 어린 화자를 통해 고향 마을의 낡은 집, 곧 흉가의 모습과 그 곳에 살았던 사람들(털보네 가족)의 내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쓴 시다. 이 낡은 집에는 털보네가 살았고, 털보네 셋째 아들은 화자의 친구이며, 그 친구가 아홉 살 되던 해 겨울, 털보네는 고향을 떠나 북쪽으로 향했다. 털보네가 고향을 떠나 알지 못할 곳으로 떠난 것은 물론 극도의 가난 때문이지만, 그 가난의 궁극적 원인을 생각해 보면 일제 강점하라는 사회적 역사적 요인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시는 결국 한 가족의 이야기를 통해 민족의 아픔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제의 압제를 피해 고향을 뒤로 하고 만주와 시베이라 등지로 떠돌던 수많은 유이민들의 비극적인 삶은 역사적 사실로도 충분히 확인될 수 있는 것이며, 이 시에 나오는 털보네 가족의 삶과 그들이 두고 떠난 '낡은 집(흉가)'은 바로 1930년대 후반의 우리 민족의 삶의 고달픔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흉가라고 꺼리는 '낡은 집'은 우리 민족(주로 농민들의)의 몰락한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고, 또한 '항구'는 식민지 수탈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농민들의 피땀어린 농산물들이 일본인들에 의해 실려 나가던 곳이다. '늙은 둥글소'가 일제의 수탈에 등이 휜 농민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면, 시름시름 타들어가는 '저릎등'은 속타는 농민의 심정을 생각케 한다.

 

이용악의 시에서 '고향'은 자기 충족적인 세계가 아니며, 신비와 경이의 세계도 아니다. 거기에는 화해보다는 갈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것은 식민지의 정치 상황을 비유하는 시적 징표이며, '정신의 각성에 머물 게 하는 시적 매개물'로 작용한다. 이 시에서 털보네 가족이 살던 낡은 집은 그 곳에 살던 백성들의 집으로 확장되면서 분명하게 한 계층의 빼앗긴 삶과 분노를 환기하는 이미지가 된다. 거기에는 점점 틈이 벌어지기 시작하는 갈등의 세계가 노정되어 있다. 이 시는 이러한 삶의 모습을 객관적인 시점을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사실주의적 완성도를 더없이 높이고 있다.

 

이 시는 전체적으로 화자의 직접 체험에 의한 진술 부분(2,5,6,7,8연)과 어른들로부터 화자가 전해들은 이야기를 직접화법(1연)과 간접화법(3,4연)을 통해 진술한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어린 화자를 통한 일종의 가족사적 체험의 진술이 범할지도 모를 무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을 것인데, 작가의 이러한 의도적 배치가 오히려 더욱 자연스러운 호흡으로 시를 읽게 하는 요소가 되면서, 이 시가 지닌 서사성과 인물들이 지닌 입체감을 더해 주고 있다.

 

<이용악의 작품세계>

"일제 강점기 한국 근대시사에서 이용악만큼 내외 유이민의 비극적 삶을 깊이 있게 통찰하고 또 이를 민족 모순의 핵심으로 명확히 인식, 형상화한 시인은 드물다."라는 평가가 있듯이, 이용악의 시는 시대가 자아내는 비극적 슬픔을 담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이야기성과 서사 구조에 있다. '사실주의적 기법과 선명한 구조를 통해 당대의 비극적 실상을 성공적으로 그려 낸 수작'으로 평가받는 <낡은 집>도 시인의 어릴 적 동무인 털보네 이야기를 통해 일제의 침탈로 피폐해진 농촌의 실상과 유이민 현실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여 경향시가 빠지기 쉬운 관념성을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