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근대주의1 < 20세기 한국의 역사인식 > □ 20세기 한국역사학의 성과 ○ 조선시대 이래 19세기까지의 역사학 - 경학(주자학)으로부터 제대로 독립되지 못한 채 왕조와 양반지배층을 중심으로 한 역사 서술에 그침 ○ 20세기 역사학은 중세적인 역사관을 청산하고, 근대적인 역사관으로 무장하면서 근대적인 학문으로 독립 ○ 과제 : ① 중세사학으로부터의 탈피와 근대사학의 수립 ②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비판과 극복 ③ 분단된 민족의 통일을 지향하는 역사학의 수립 ○ 한국 근대 역사학에서 무기가 된 것은 역사 서술의 주체로서 새로이 발견한 민족, 민중, 계급이었다 ① 민족의 발견 : 신채호, 박은식 ② 계급ㆍ민중의 발견 : 백남운, 민중사관 ○ 근대주의를 수용하여 한국사를 발전적 시각에서, 그리고 세계사적 보편성과 연관시.. 2021. 5. 14. 이전 1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