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고전시가/가사 해설]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 이원익-

by 휴리스틱31 2021. 12. 8.
728x90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 이원익-

 

 

 

 

 [ 현대어 풀이 ]

 

아아! 저 양반아(청자)! 돌아앉아 내 말 듣소. / 어떠한 젊은 손이 셈 없이(생각없이) 다니는가? / 마누라(상전, 남녀에 두루 높이어 일컫는 말) 말씀을 아니 들어 보았는가? / 나는 이럴망정 외방의 늙은 종이('늙은 료이'는 오기인 듯함) / 공 바치고(조정에 공물을 바치고) 돌아갈 때 하는 일 다 보았네. / 우리 댁 세간이야 예부터 이렇던가?

 

/ 전민(田民, 농민 또는 논밭과 노비)이 많단 말이 일국(一國)에 소리 나데. / 먹고 입는 드난종(드나들며 고공살이를 하는 종)이 백여 구(百餘口) 남았으니 / 무슨 일 하느라 텃밭을 묵였는가?(게으른 므슴들에 대한 비판) / 농장이 없다던가? 호미 연장 못 가졌나?(일을 할 수 있는 터전과 기구는 모두 있다는 의미임.) / 날마다 무엇하려 밥 먹고 다니면서 / 열나무 정자 아래 낮잠만 자는가?(밥만 먹고 일하지 않는 머슴들의 모습-게으른 관리들의 모습) / 아이들 탓이던가? 우리 댁 종의 버릇 보노라면 이상한데

 

/ 소 먹이는 아이들(지방 관청의 이속들)이 상마름(지주의 땅을 맡아 대신 소작권을 관리하는 사람의 우두머리-지방 관청의 수령들)을 능욕하고 / 진지(進止, 진퇴, 거동, 나아감과 물러섬)하는 어린 손님들 한 계대(큰 겨레, 양반)를 기롱(譏弄, 실없는 말로 빗대어 남을 놀리다)는가? / 삐뚜름하게 제급(除給) 모으고(물건의 한 부분을 빼돌려 모으고), 딴 꾀로 제 일 하니 / 한 집의 많은 일을 누가 힘써 할까? / 곡식 창고 비였거든 고직(庫直, 창고지기)인들 어이하며 / 세간이 흩어지니 옹기(질그릇)인들 어이할까?

 

 

/ 내 왼(잘못된) 줄 내 몰라도 남 왼 줄 모를런가? / 풀어헤치거니 맺히거니 헐뜯거니 돕거니 / 하루 열 두 때 어수선을 핀 것인가? / 밖별감(바깥 별감, 남자 하인끼리 서로 부르던 존칭) 많이 있어 외방 마름 도달화(都達化, 달화주, 종을 부려 먹지 않은 대신에 그 종에게서 세금을 받던 주인)도 / 제 소임 다 버리고 몸 꺼릴 뿐이로다. / 비 새어 썩은 집을 뉘라서 고쳐 이며 / 옷 벗어 무너진 담 뉘라서 고쳐 쌓을까? / 불한당(떼를 지어 다니며 재물을 강탈하는 도적) 구멍 도적(구멍에 든 도적, 여기서는 왜적) 아니 멀리 다니거든

 

/ 화살 찬 수하상직('누구냐!'하고 외치는 숙직 서는 하인) 누가 힘써 할까? / 크나큰 기운 집에 상전님 혼자 앉아 / 명령을 뉘 들으며 논의를 뉘와 할까? / 낮시름 밤근심 혼자 맡아 계시거니 / 옥 같은 얼굴(희고 아름다운 얼굴)이 편하실 적 몇 날이리? / 이 집 이리 되기 뉘 탓이라 할 것인가? / 헤아림 없는 종의 일은 묻도 아니하려니와 / 도리어 생각하니, 상전의 탓이로다.

 

/ 내 상전 그르다 하기에 종의 죄가 많건마는 / 그렇다 세상 보려니 민망하여 여쭙니다. / 삭꼬기(새끼 꼬기) 말으시고, 내 말씀 들으소서 / 집일을 고치거든 종들을 휘어잡고 / 종들을 휘어 잡으려거든 상과 벌을 밝히시고 / 상벌을 밝히려거든 어른 종(영의정인 화자 자신 또는 자신을 포함한 고위 관리들)을 믿으소서. / 진실로 이리 하시면 가도(家道)가 저절로 일겁니다(일어날 것입니다).

 

 

[ 감상 및 해설 ]

 

허전이 지은 <고공가>에 대한 답가로 지은 풍자가사로 <고공답가>라고도 한다. 내용은 한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를 전민을 거느린 주인과 머슴의 관계에 비유하여, 주인이 일방적으로 머슴들에게 열심히 일하라고 채근만 하지 말고 머슴들이 스스로 일을 잘 할 수 있게 대접도 잘 해 주어야 한다는 국왕에 대한 풍간(諷諫)으로 되어 있다.

분량은 총 85구로 3 · 4조가 주조를 이루면서 4 · 4조가 함께 쓰이고 있다. 지은이 이원익은 선조 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으며 저서로 <오리집>이 전하고 있다.

 

<고공가>에 화답하는 노래답게 비유적인 표현 방법을 주로 썼으며, 제재와 주제, 문체와 기교 등에서도 상응하는 수법을 택했다. 이 작품은 한 국가의 살림살이(체제와 형편)를 농사짓는 주인과 종의 관계를 통하여 제시한 것이다. '게으르고 헤아림 없는 종'에게 왜 '마누라'의 말씀을 듣지 않느냐고 비난하고, 이어서 '마누라'에게는 '어른 종'을 믿으라는 요지를 담고 있다. 여기서 '게으르고 헤아림 없는 종'은 나라일에 태만한 신하, 곧 허전이 <고공가>에서 비난한 바 있는 그런 부류의 신하들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고, '마누라'는 선조를, '어른 종'은 작자 자신을 포함한 당대의 고관들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즉, 조선의 백성이 천하에 으뜸인데, '드난 종' 곧 벼슬을 하기도 하고 물러나기도 하는 신하들이 텃밭을 묵혀 놓은 채, 밥만 먹고 정자 아래서 낮잠만 자느냐고 하면서 그들의 태만을 꾸짖는다. 그 다음, '소 먹이는 아이들' 곧 지방 관청의 이속들이 '마름' 곧 지방 관청의 수령들을 능욕하니, 한 집 곧 나라의 숱한 일들을 할 자가 없음을 탄식한다.

 

그리하여 곡식 창고는 비게 되고 세간은 흩어지고 살림은 말이 아니게 되었다고 탄식한다. 곧 나라의 형편이 궁핍화된 현실을 한탄한 것이다. 거기다가 '외별감', '외방마름', '도달화' 등, 곧 변방을 지키는 무관들마저 맡은 임무에는 소홀하고 제 몸만 사리고 있으니, 누가 힘써 나라를 방어할 것인가! 임진왜란의 상처로 크게 기운 집 주인, 곧 선조는 밤낮 근심 속에 편할 날이 없다.

 

이는 '헤아림 없는 종' 곧 몰지각한 신하들 탓도 있겠지만, '마누라' 곧 임금님 탓이 더 크다고 하였다. 그런 까닭에 '집안 일' 곧 나라일을 고치려거든 '종'들 곧 신하들을 휘어잡아 상벌을 밝히고, '어른 종' 곧 작자를 포함한 정승이나 판서 등을 믿어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면 '가도(家道)' 곧 나라의 형편과 도리가 저절로 일어날 것이라는 충언을 담은 것이다.

 

 

<고공가>는 임진왜란 직후에 허전이 쓴 노래로, 나라 일을 한 집안의 농사일에 비유하고, 사리사욕만 채우는 관리들을 집안의 게으르고 어리석은 머슴에 빗대어 비판한 작품이다. <고공가>에서는 나라가 기운 원인을 신하들의 직무 태만으로 단순하게 보았으나, 이 작품은 사태를 보다 자세하게 분석한 다음, 신하들의 충간만 들어준다면 해결이 가능하다는 자부심을 보여주고 있다.

 

[ 핵심 정리 ]

 

◆ 갈래 : 가사, 풍자가

◆ 성격 : 비유적, 풍자적, 비판적, 경세적, 교훈적

 

◆ 특성 : 임금을 '마누라', 신하를 '종'에 비유하여, 임금과 신하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문제해결방안을 제시

* 신하에 대한 비판 → 직무 태만, 상전 능욕, 사리사욕, 당파싸움에 몰두, 소임을 잊고 제 몸만 살핌.

* 임금에 대한 비판 → 신하들이 이렇게 된 데에는 임금의 탓이 더 큼.

* 문제 해결 방안 → 신하들을 휘어잡아야 함, 상벌을 분명히 해야 함, 원로 신하들의 충간을 들어야 함.

 

◆ 주제

* 고공가의 답가

* 게으른 신하에 대한 비판과 임금이 해야 할 도리

* 기울어진 집안 살림(나랏일)을 일으키는 방도

 

◆ 문학적 의의 : 조선 중기에 이원익이 허전의 <고공가>에 화답하여 지은 가사로, 나라의 형편이 기울게 된 원인을 신하의 이기적인 모습에만 초점을 맞춘 <고공가>보다 자세하게 분석한 것으로 평가됨.

◆ 출전 : 『잡가』(순조 때)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