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 원 가(閨怨歌) - 허난설헌-
<현대어 풀이>
엊그제까지 젊었는데 어찌 벌써 이렇게 다 늙어 버렸는가? / 어릴 적 즐겁게 지내던 일을 생각하니 말을 해도 소용이 없구나. / 이렇게 늙음 위에다가 서러운 사연을 말하자니 목이 메이는구나. / 부모님이 나를 낳으시고 기르시며 몹시 고생하여 이 내 몸 길러낼 때는 / 높은 벼슬아치의 배필은 바라지 못할지라도, 군자의 좋은 짝이 되기를 원하셨더니 / 전생에 지은 원망스러운 업보요, 하늘이 준 부부의 인연으로 / 장안의 호탕하면서도 경박한 사람을 꿈과 같이 만나서 / 시집 간 뒤에 남편을 시중하면서 조심하기를 마치 살얼음 디디는 듯하였다. / 열다섯, 열여섯 살을 겨우 지나면서 타고난 아름다운 모습이 저절로 나타나니 / 이 얼굴과 이 태도로 평생을 살 것을 약속하였더니 / 세월이 빨리 지나고 조물주마저 시샘이 많아서 / 봄바람과 가을 물, 곧 세월이 베틀의 올이 감기는 북이 지나가듯 빨리 지나가 / 꽃같이 아름다운 얼굴은 어디 두고 모습이 얄밉게도 되었구나. / 내 얼굴을 내가 보고 알거니와 어느 임이 나를 사랑할 것인가? / 스스로 부끄러워 하니 누구를 원망할 것인가?
<현대어 풀이>
삼삼오오 여러 사람이 떼를 지어 다니는 술집에 새로운 기생이 나타났다는 말인가? / 꽃 피고 날이 저물 때면 정처없이 나가서 / 흰 말과 금 채찍(호사스런 행장)으로 어디어디에서 머물러 노는가? / (집안에만 있어서) 가깝고 먼 지리를 모르는데 임의 소식이야 더욱 알 수 있겠는가? / 인연을 끊었지마는 생각이야 없을 것인가? / 임의 얼굴을 보지 못하니 그립기나 말았으면 좋으련만, / 하루가 길기도 길구나, 한 달이 지루하기만 하구나.(시간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인식이 드러남-임이 있고 없음에 따라 시간 관념이 달라짐) / 규방 앞에 심은 매화(시간의 흐름을 나타내주는 소재)는 몇 번이나 피고 졌는가? / 겨울 밤 차고 찰 때는 진눈깨비 섞어 내리고 / 여름 날 길고 긴 때에 궂은비는 무슨 일인가? / 봄날 온갖 꽃이 피고 버들잎이 돋아나는 좋은 시절에 아름다운 경치를 보아도 아무 생각이 없구나. / 가을 달빛이 방 안을 비추어 들어오고 귀뚜라미가 침상에서 울 때,(계절의 변화에 따라 홀로 지내는 외로움과 남편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함.) / 긴 한숨으로 흘리는 눈물 헛되이 생각만 많도다. / 아마도 모진 목숨이 죽기도 어려운가 보구나.
<현대어 풀이>
돌이켜 여러 가지 일을 하나하나 생각하니 이렇게 살아서 어찌할 것인가?(삶의 분위기를 전환하고자 함.) / 등불을 돌려놓고 푸른 거문고(화자의 정서를 표출시키는 수단)를 비스듬이 안고서 / 벽련화 한 곡조(거문고 곡조명, 슬프고 애잔한 리듬)를 시름으로 함께 섞어서 연주하니 / 소상강 밤비에 댓잎 소리가 섞여 들리는 듯 / 망주석에 천 년만에 찾아온 이별한 학이 울고 있는 듯(거문고 연주 소리를 비유적으로 표현함-슬프고도 아름다움) / 아름다운 여자의 손으로 타는 솜씨는 옛날 가락이 그대로 있다마는 / 연꽃 무늬의 휘장이 드리워진 방 안이 텅 비었으니(독수공방, 무인동방), 누구의 귀에 들리겠는가? / 간장이 구곡되어 굽이굽이 끊어질 듯 애통하구나.(애통한 심정)
<현대어 풀이>
차라리 잠이 들어 꿈에나 임을 보려고 하였더니 / 바람에 지는 잎과 풀 속에서 우는 벌레는(임과의 관계에서 생긴 불편한 마음을 자연적 소재를 대상으로 화풀이하듯 원망함.) / 무슨 일로 원수가 되어 잠마저 깨우는가? / 하늘의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가 막혔을지라도 / 칠월칠석 일년에 한 번씩 때를 어기지 않고 만나는데 / 우리 임 가신 후는 무슨 장애물이 가려 있길래 / 온다간다는 소식마저 그쳤을까? / 난간에 기대어 서서 임 가신 곳을 바라보니 / 이슬은 풀에 맺혀 있고, 저녁 구름이 지나가는 때이구나.(이슬은 화자의 눈에 맺힌 눈물, 저녁 구름은 임과의 관계에서 드리워진 우울한 상황을 연상케 함.) / 대숲 우거진 푸른 곳에 새소리(감정이입된 소재)가 더욱 서럽구나. / 세상에 서러운 사람이 많다고 하겠지만 / 운명이 기구한 젊은 여자야 나 같은 이가 또 있을까? / 아마도 임의 탓으로 살 듯 말 듯하구나.
-<고금가곡>-
[ 해설 및 감상 ]
이 작품은 유교사회의 남존여비(男尊女卑), 여필종부(女必從夫)라는 인습과 규범에 묶인 여인이 자신의 한스러운 생활과 사무치는 괴로움을 노래한 규방 가사이다. 이 작품에 담긴 슬픔은 작자 자신의 외로움과 이로 인한 한(恨)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겠다. 스스로를 운명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며, 임이 없는 가운데 느끼는 외로움을 거문고로 달래려고도 하나 쉽지가 않다. 어느새 길게 목 빼고 임이 올 길을 바라보고 있는 자세를 취하는데, 이것은 남편에게만 의지하여 살려 하는 여인의 의존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사회가 그렇게 만들었다고 하면서 여성 스스로가 독립적이지 못한 존재로 전락하고 있다. 비슷한 처지의 여성들에게 애송되면서 유사한 규방 가사가 이후로도 지어졌는데, 억압적인 신세를 벗어나고자 스스로 노력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인습에 얽매여 스스로를 나약한 인간으로 인종의 굴레 속에 가두는 데 노력하고 있을 따름이다. 이러한 가사를 지어 부름으로써 그 외로움을 극복해내고 있다는 점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지만,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인물로 남편에게만 매달려 있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노래는 두 가지 상반되는 한탄으로 짜여 있다. 하나는 흐르는 세월에 대한 한탄이고 또 하나는 세월 보내기 어려움에 대한 한탄이다. 이러한 상반된 태도나 의식은 임의 있음과 없음에 의해 이원하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시간에 대한 시적 자아의 주관적인 인식을 알 수 있다. 임의 있음과 없음은 곧 주인공의 젊음/늙음, 天然麗質, 雪鬢花顔/面目可憎의 대비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늙음이란 물리적인 늙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원부사(怨夫詞)라고도 한다. 조선의 봉건사회 속에서 눈물과 한숨으로 세월을 보내며, 규중(閨中)에서 인종(忍從)만 해야 하는 부녀의 정한(情恨)을 읊고 있다. 한문 고사숙어(古事熟語)를 많이 활용하면서도 애원(哀怨)과 온아(溫雅)한 작풍이 전편에 흐른다.
전체 내용을 보면,
서사는 덧없이 흘러간 과거를 회상하면서 이제는 늙어서 보잘것없이 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이다. '장안유협 경박자'인 남편을 만난 것은, 전생에 지은 죄의 대가라고 체념해 버리는 사고방식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의 가치관을 짐작할 수 있다.
본사는 술집에 드나드는 남편에 대한 원망과, 눈물과 한숨으로 세월을 보내는 자신의 애닯은 심정과 그러한 슬픔과 외로움을 거문고로 달래는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사계절을 겨울과 여름, 봄과 가을로 대구하여 외로움을 부각시키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결사에는 꿈에서조차 만날 수 없는 기약 없고 무정한 임을 언제까지나 기다리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기구한 여인의 운명이 슬픈 탄식으로 나타나 있는데, 특히 초로(草露)는 작자 자신의 눈물을, 새는 고독한 자신을 비유한 대상으로 감정이입법을 사용하고 있다.
[ 요점 정리 ]
◆ 연대 : 선조 때로 추정함
◆ 작자 : 허난설헌(許蘭雪軒)
◆ 갈래 : 내방 가사(규방가사), 서정가사
◆ 성격 : '원부사(怨夫詞)',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함
◆ 형식 : 3 · 4조의 4음보 가사체, 운문체, 산문체
◆ 표현
① 설의법, 의인법, 대구법, 직유법, 문답법 등의 여러 표현 기교를 사용하고 고사를 많이 인용하면서 유려한 느낌을 줌.
② 여인의 애절하고 안타까운 심리 묘사가 잘 나타남.
③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잘 드러냄.
◆ 구성 : 4단 구성(기, 승, 전, 결)
1. 기 - 과거 회상과 늙고 초라한 자신의 신세 한탄
2. 승 - 임에 대한 원망과 자신의 애달픈 심정
3. 전 - 거문고에 의탁한 외로움과 한
4. 결 - 임에 대한 기다림과 자신의 운명에 대한 한탄
◆ 주제 : 봉건 사회에서의 규방 부녀자의 원정(怨情)
◆ 의의 : 현존 최고의 내방 가사, 규방 가사의 선구자적 작품.
여성적인 섬세한 감정과 유려한 문장
◆ 출전 : 고금가곡(古今歌曲)
◆ 참고 : <순오지>에서는 허균의 첩 ‘무옥’의 작품으로 되어 있고, <고금가곡>에서는 허초희로 되어 있음.
[ 참 고 ]
◆ 서정적 자아의 임에 대한 태도 변화
이 노래의 주인공의 정서는 자탄 자조에서 임에 대한 비난으로, 그리고 마지막에 가서는 임에 대한 극복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자탄과 자조에서 임에 대한 원망뿐 아니라 임의 신의 없음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지며, 마지막에는 "박명한 홍안이야 날 가타니 또 이실가. 아마도 이 님의 자위로 살동말동 여라."에서 보듯 임에 대한 정면 비난을 할 뿐 아니라, 임의 있고 없음과 상관없이 자신의 젊음을 다시 찾으려는 의지와 신의 없는 임에 대한 극복의지를 보이고 있다.
◆ 규방가사(내방가사)
조선조 양반 부녀자들이 주로 향유했던 갈래로서 속박된 여성 생활의 고민과 정서를 호소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신분상 양반 문학이나, 내용은 평민 가사와 근접한 것이 많다. 후대로 오면서 작자층이 확대되어 개화기를 거쳐 일제시대에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다.(여성은 가사로 하소연해야 할 사연을 더 많이 지니고 살았으며, 길쌈 같은 것을 하면서 흥얼거리는 민요에는 글로 적으면 바로 가사가 될 수 있는 것이 많아 가사의 저층을 이루었다.)
☞ 효시- 이현보 자당 권씨, 선반가(宣飯歌)
☞ 규원가는 약 60년 후로 추정
☞ 2,3 세기의 공백기 후 영남 지역 일원에서 내방가사 양산
→ 좁은 의미의 내방가사는 영남 지방의 것만을 지칭.
◆ 허난설헌(1563~1589)
명종~선조 때의 여류시인, 본명은 초희, 난설헌은 호.
허균의 누이로 이 달(李達)에게 시를 배웠고, 15세 무렵 김성립과 결혼했으나 가정생활이 원만하지 못하여 고독하게 살아가는 가운데 여성적인 섬세한 감각의 애정시를 많이 지었다. 난설헌은 황진이와 대조되는 시인이며, 시집으로 <난설헌집>이 전하며, <규원가>외에 <봉선화가>도 그의 작품이라는 설이 있다.
그녀는 한 살 위인 안동 김씨 집안의 김성립과 결혼하였다. 정확히 몇 살 때 결혼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4, 15세로 추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김성립의 집안 사람들은 5대나 계속 문과에 급제한 문벌이었으나 막상 그는 능력이 변변치 못했던 듯하다. 그는 난설헌이 27세로 죽은 해에야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도 정8품인 홍문과 저작에 머물렀다. 허균은 '성옹식소록'에서 매부가 경전이나 역사의 문리(文理)는 잘 깨우치지 못하면서 글은 지을 줄 안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러나 뛰어난 재주를 가진 난설헌은 평범한 가정 주부의 역할을 감당해 내지 못했던 듯하다. 우선 남편과의 금슬이 좋지 못하였다. 허균은 '학산초당'에서 누이에 대해, "살아 있을 때에는 부부의 사이가 좋지 않더니, 죽어서도 제사를 들어 모실 아들도 하나 없구나."라고 말하였다. 그녀는 결혼 생활 초부터 남편이 글공부에만 매달려 홀로 지내는 시간이 많았다. 게다가 벼슬이 없던 남편은 똑똑한 부인을 외면하였다.
무엇보다도 난설헌은 시어머니와의 갈등이 가장 고달팠다. 그녀가 바느질이나 살림보다 독서와 글짓기를 좋아했으니 이런 며느리를 곱게 봐 줄 리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시가에서의 고통과 불화는 어쩌면 그녀의 성격에서 비롯됐다고 하는 학자들이 있다. 그것은 허씨 가문의 사람들이 대체로 남들과의 관계에서 조화롭게 지내지 못했다는 지적 때문에 허엽, 허성, 허봉 등은 직언을 잘 하엿으나 상대적으로 적이 많았고, 허균도 경솔하고 경박하다는 평을 받았다.
허난설헌의 가슴에 맺힌 한은 크게 세 가지였다. 하나는 이 넓은 세상에 하필 조선에 태어났는가, 또 하나는 왜 여자로 태어났는가, 마지막으로 왜 수많은 남자 가운데 김성립의 아내가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녀는 여자에게만 강요되는 무수한 굴레를 이렇듯 한탄하였다. 어쨌든 그녀에게 결혼 생활은 속박과 장애일 뿐이었다.
◆ 고금가곡(古今歌曲)
편찬 연대 미상의 시조,가사집. 송계연월옹이 편찬했는데, 자신의 시조 14수를 수록하고 있다. 이현보의 <어부사>, 정철의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장진주사>, 허난설헌의 <규원가> 등의 가사와 294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시가/가사 해설]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 정학유- (20) | 2021.12.08 |
---|---|
[고전시가/가사 해설]누항사(陋巷詞) - 박인로 - (22) | 2021.12.08 |
[고전시가/가사 해설]관등가 -작자 미상- (22) | 2021.12.08 |
[고전시가/가사 해설]관동별곡(關東別曲) - 송강 정 철- (22) | 2021.12.08 |
[고전시가/가사 해설]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 이원익- (4)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