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바람벽이 있어
- 백 석 -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십오촉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 셔츠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 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을 담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 가의 나지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주 앉아 대굿국을 끓여 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여 어느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아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 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승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스 잠'과 도연명과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문장>(1941) -
해 설
[개관 정리]
◆ 성격 : 애상적, 영상적, 의지적, 회고적
◆ 표현
* 연상 작용을 통해 내용을 전개함.
* 감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구체적으로 제시함.
◆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 → 기억의 영상들이 비치게 되는 곳
* 쓸쓸한 것 → 지배적 정서
* 좁다란 방, 희미한 십오촉 전등, 때글은 다 낡은 무명 셔츠 → 화자의 가난하고 쓸쓸한 삶 암시
* 달디단 따끈한 감주 → 고향의 어머니를 연상하게 되는 계기
*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 화자의 쓸쓸하고 외로운 내면의 풍경
* 가난한 늙은 어머니의 모습 → 고달프고 힘들게 살아오신 어머니의 일상을 떠올려 봄.
* 앞대 → 어느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남쪽 지방을 이르는 말. 아랫녘
* 개포 → 강이나 내에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
*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 가의 나지막한 집 → 고향에 있는 화자의 집
* 바람벽에 비친 고향의 영상 → 고달픈 어머니의 모습과 단란했던 가족의 모습
그리움의 대상이자 동시에 쓸쓸함을 더해주는 대상임.
* 내 쓸쓸한 얼굴을 쳐다보며 /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의인화
쓸쓸한 자신의 처지를 위로하는 모습
* 글자들 → 화자의 내면 의식을 직접 드러내는 내용
비참하고 쓸쓸한 처지에 있는 화자 자신을 위로하는 내면 의식
현실적 패배와 정신적 승리 사이의 긴장감을 형성하면서 주제의식을 강화하게 됨.
* 나는 이 세상에서 ~ 태어났다. → 불행하고 쓸쓸하게 살지만 고결하게 살아가야 할 운명이라는 인식
* 내 가슴은 ~ 슬픔으로 가득 찬다.
→ 나는 남들보다 열정적이고 쓸쓸하고 행복하고 고통스러운 감정을 많이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결국 이러한 감정들을 고결한 정신으로 극복할 수밖에 없음을 감추어두고 말하는 것임.
* 울력하는 듯이 → 많은 사람들이 힘을 합쳐 나를 도와주는 듯이
* 하늘이 이 세상을 ~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 화자 자신이 하늘의 은총을 가장 많이 받은 존재라는 사실에 자긍심을 느끼며 스스로의 처지를 극복하고자 함.
* 초승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 고결한 이미지의 사물들로, 화자 자신과 동일시 하는 대상들임.
* 프랑시스 잠과 도연명과 라이너 마리아 릴케 → 불행하지만 고결하게 살았던 시인들
◆ 제재 : 흰 바람벽(제목이자 핵심 소재로, 흰 바람벽은 영화의 하얀 스크린과 닮아 있는데, 화자는 이 흰 바람벽이라는 스크린을 통해 자신의 삶의 궤적을 재현하고 있다. 즉 흰 바람벽에는 화자가 떠올린 과거의 기억과 추억이 이미지화되어 투사되고 있으며, 심지어 스크린 위에는 글자도 지나간다. 다시 말해 이 흰 바람벽은 화자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삶의 조각들을 연상하는 시적 장치이자, 그의 미래의 삶의 좌표와 자세를 다짐해 보는 성찰을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화자가 떠올리는 생각을 영상으로 이미지화하는 스크린의 기능
*화자의 내면을 비추는 도구
*화자가 쓸쓸함과 고결함을 환기하는 시적 공간의 기능
*화자가 고향에서의 기억을 떠올리는 매개체로서의 기능
◆ 주제 : 부정적 현실 속에서도 고결함을 잃지 않으려는 삶의 자세
바람벽에 오고가는 외로운 생각들과 화자의 자기 체념 및 위안
[시상의 흐름(짜임)]
◆ 1~6행 : 흰 바람벽에 비친 쓸쓸한 기억
◆ 7~16행 : 흰 바람벽에 비친 기억의 영상 - 고향에서의 추억을 떠올림.
◆ 17~23행 : 흰 바람벽이 비친 내면 의식 - 불행하지만 고결하게 살아갈 운명임을 자각함.
◆ 24~28행 : 하늘의 은총을 받은 존재라는 운명 인식을 통한 자기 위안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고향을 떠나 홀로 살아가는 인물의 쓸쓸한 마음을 한 편의 영상처럼 그린 작품이다. 좁은 방에 혼자 있던 시적 화자는 흰 바람벽의 쓸쓸한 풍경에서 그리운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그들을 향한 시적 화자의 그리움은 흰 바람벽에 영상으로 흐르면서 쓸쓸한 정서를 더욱 고조시킨다. 곧이어 영상이 끝난 후 바람벽에는 글자들이 지나가는데, 이 글자들은 지금의 처지에 대한 체념적이고 수용적인 해석을 담고 있다. 시적 화자는 자기가 가난하고 외로운 처지에 있지만 고결한 정신을 간직한 채 살아갈 운명이며, 이는 자신이 하늘의 은총을 받은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바람벽에 투사된 내면의 풍경 속에서 자신의 운명을 깨닫고, 현실의 세계에서는 패배했지만 정신의 세계에서는 결코 패배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는 것이다.
● 백석 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흰 바람벽이 있어>에서의 시적 화자는 타향 객지에서 골방에 앉아 느끼고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시에서의 시적 화자는 좁은 방안에서 흰 바람벽을 쳐다보고 있다. 작은 방은 단절되어 있어 '세상'을 인식하게 한다. 유랑에 지친 화자가 잠시 머문 곳에서 흰 바람벽을 보면서 허전함과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다. 이 시의 화자가 흰 바람벽에서 발견한 것은 쓸쓸함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풍경이다. 쓸쓸한 내면에는 만주 유랑 중 '다 낡은 무명 셔츠'처럼 지칠 대로 지쳐버린 절망만이 남아 있다. 화자는 그 바람벽을 보면서 고향의 '가난한 늙은 어머니'와 '내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고 있다. 즉 타향이라는 배경을 통해 가족 등을 떠올리게 되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면서 고향 상실과 유랑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고향은 삶의 모태이면서, 삶을 형성하고 미래를 꿈꾸게 하는 공간이다. 그래서 인간의 의식을 지배하는 친숙한 고향을 상실했을 때, 인간은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시인은 세계의 고통과 환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고향을 상실했을 때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고자 하는 시인의 의지는 본능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향은 이념을 초월하는 공간이다. 그곳이 어떤 곳이든 기억되는 세계는 안온하고 아름다운 공간이다.
그래서 고향은 많은 사람들에게 어머니의 태반이나, 어머니 이전의 원형 세계로 자리한다. 그러므로 암울한 시기에 백석이 복원한 '원형적 공간'은 잃어버린 의식이며, 그러한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지향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시대를 견뎌내려는 그의 현실 대응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비극적 현실을 탐색하는 시인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백석 역시 피폐한 고향을 바라보면서 고향이 존재의 출발이면서 뿌리이고, 인간을 지탱하는 중심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백석은 고향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시가/가사 해설]면앙정가 - 송순- (2) | 2021.12.09 |
---|---|
[고전시가/가사 해설]사미인곡(思美人曲) - 송강 정철 - (2) | 2021.12.09 |
[현대시 해설]바퀴벌레는 진화 중 - 김기택 - (14) | 2021.12.08 |
[현대시 해설]여승(女僧) - 백석 - (22) | 2021.12.08 |
[현대시 해설]엄마 걱정 -기형도- (22)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