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분가(萬憤歌) - 조 위-
天上(천상) 白玉京(백옥경) 十二樓(십이루) 어듸매오 五色雲(오색운) 깁픈 곳의 紫淸殿(자청전)이 가려시니 天文(천문) 九萬 里(구만리)를 꿈이라도 갈동말동 차라리 싀여지여 億萬(억만) 번 變化(변화)하여 남산 늦즌 봄의 杜鵑(두견)의 넉시 되어 梨花(이화) 가디 우희 밤낫즐 못울거든 三淸洞裏(삼청동리)의 졈은 한널 구름 되어 바람의 흘리나라 紫微宮(자미궁)에 나라올라 玉皇(옥황) 香案前(향안전)의 咫尺(지척)의 나아 안자 胸中(흉중)의 싸힌 말삼 쓸커시 사로리라. 어와 이 내 몸이 天地間(천지간)의 느저 나니 황하수 말다만는 楚客(초객)의 後身(후신)인가 傷心도 가이 업고 가태부의 넉시런가 한숨은 무스 일고 형강은 고향이라 십 년을 流落(유락)하니 백구와 버디 되여 함끠 놀자 하엿더니 어루는 듯 괴는 듯 남의 업슨님을 만나 금화성 백옥당의 꿈이조차 향긔롭다 五色(오색)실 니음 졀너 님의 옷슬 못 하야도 바다 가튼 님의 恩(은)을 秋毫(추호)나 갑프리라. 백옥 가튼 이내 마음 님 위하야 직희더니 장안 어제 밤의 무서리 섯거 치니 日暮修竹(일모수죽)에 翠袖(취수)도 冷薄(냉박)하구나 幽蘭(유란)을 것거 쥐고 님 겨신 데 바라보니 弱水(약수) 가리진듸 구름 길이 머흐러라. 다 서근 닭긔 얼굴 첫맛도 채 몰나셔 憔悴(초췌)한 이 얼굴이 님 그려 이러컨쟈. 千層浪(천층랑) 한가온대 백 척간에 올라더니 無端(무단)한 羊角風(양각풍)이 宦海(환해) 중에 나리나니 億萬丈(억만장) 소희 빠져 하늘 따흘 모놀노다. 노나라 흐린 술희 한단이 무슴 죄며 秦人(진인)이 醉(취)한 盞(잔)의 越人(월인)이 우음 탓고. 성문 모딘 블의 玉石(옥석)이 함끠 타니 뜰 압희 심은 蘭(난)이 반이나 이우레라. 오동 졈은 비의 외기럭이 우러 넬 제 關山萬里(관산만리) 길이 눈의 암암 발피난 듯 靑蓮詩(청련시) 고쳐 읇고 팔도 한을 슷쳐보니 華山(화산)의 우는 새야 離別도 괴로왜라. 望夫 山前(망부산전)에 석양이 거의로다 기도로고 바라다가 眼力(안력)이 盡(진)톳던가 落花(낙화) 말이 업고 碧窓(벽창)이 어두으니 입 노른 삿기 새들 어이도 그리 건쟈 팔월 추풍이 뛰집을 거두으니 븬 깃에 싸인 알히 水火(수화)를 못 면토다. 生離死別(생리사별)을 한 몸의 혼자 맛다 三千丈(삼천장) 백발이 一夜에 기도 길샤. 풍파에 헌 배 타고 함께 놀던 저 무리들아 강천 지는 해에 주즙이나 무양한가 밀거니 당기거니 염예퇴를 겨우 지나 만 리 붕정을 머얼리 견주더니 바람에 다 부치어 흑룡강에 떨어진 듯 천지 가이 없고 어안이 무정하니 옥 같은 면목을 그리다가 말려는지고 매화나 보내고자 역로를 바라보니 옥량명월을 옛 보던 낯빛인 듯 양춘을 언제 볼까 눈비를 혼자 맞아 벽해 넓은 가에 넋조차 흩어지니 나의 긴 소매를 누굴 위하여 적시는고. 태상 칠위 분이 옥진군자 명이시니 천상 남루에 생적을 울리시며 지하 북풍의 사명을 벗기실까 죽기도 명이요 살기도 하나리니 진채지액을 성인도 못 면하며 누설비죄를 군자인들 어이하리 오월 비상이 눈물로 어리는 듯 삼 년 대한도 원기로 되었도다. 초수남관이 고금에 한둘이며 백발황상에 서러운 일도 하고 많다. 건곤이 병이 들어 흔돈이 죽은 후에 하늘이 침음할 듯 관색성이 비취는 듯 고정의국에 원분만 쌓였으니 차라리 할마같이 눈 감고 지내고저. 창창막막하야 못 믿을쏜 조화로다. 이러나저러나 하늘을 원망할까. 도척도 성히 놀고 백이도 아사하니 동릉이 높은 걸까 수양산이 낮은 걸까. 남화 삼십 편에 의론도 많기도 많구나 남가의 지난 꿈을 생각거든 싫고 미워라 고국 송추를 꿈에 가 만져 보고 선인 구묘를 깬 후에 생각하니 구회간장이 굽굽이 끊어졌구나. 장해음운에 백주에 흩어지니 호남 어느 곳이 귀역의 연수런지 이매망량이 실컷 젖은 가에 백옥은 무슨 일로 청승의 깃이 되고 북풍에 혼자 서서 가없이 우는 뜻을 하늘 같은 우리 님이 전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추국에 향기로운 탓이런가. 첩여 소군이 박명한 몸이런가 군은이 물이 되어 흘러가도 자취 없고 옥안이 꽃이로되 눈물 가려 못 보겠구나. 이 몸이 녹아져도 옥황상제 처분이요 이 몸이 죽어져도 옥황상제 처분이라. 녹아지고 죽어지어 혼백조차 흩어지고 공산 촉루같이 임자 없이 굴러 다니다가 곤륜산 제일봉에 만장송이 되어 있어 바람 비 뿌린 소리 님의 귀에 들리기나 윤회 만겁하여 금강산 학이 되어 일만 이천 봉에 마음껏 솟아올라 가을 달 밝은 밤에 두어 소리 슬피 울어 님의 귀에 들리기도 옥황상제 처분이겠구나. 한이 뿌리 되고 눈물로 가지삼아 님의 집 창 밖에 외나무 매화 되어 설중에 혼자 피어 참변에 이우는 듯 월중소영이 님의 옷에 비취거든 어여쁜 이 얼굴을 너로구나 반기실까 동풍이 유정하여 아향을 불어 올려 고결한 이내 생계 죽림에나 부치고저 빈 낚싯대 비껴 들고 빈 배를 혼자 띄워 백구 건너 저어 건덕궁에 가고 지고 그래도 한 마음은 위궐에 달려 있어 내 묻은 누역 속에 님 향한 꿈을 깨어 일편장안을 일하에 바라보고 외로 머뭇거리며 옳이 머뭇거리며 이 몸의 탓이런가 이 몸이 전혀 몰라 천도막막하니 물을 길이 전혀 없다. 복희씨 육십사괘 천지 만물 섬긴 뜻을 주공을 꿈에 뵈어 자세히 여쭙고저 하늘이 높고 높아 말없이 높은 뜻을 구름 위에 나는 새야 네 아니 알겠더냐. 아아 이내 가슴 산이 되고 돌이 되어 어디어디 쌓였으며 비가 되고 물이 되어 어디어디 울며 갈까 아무나 이내 뜻 알 이 곧 있으면 백세교유 만세상감하리라. |
하늘 나라 백옥경 십이루가 어디인가 오색 구름 깊은 곳에 자청전(신선의 궁궐)이 가렸으니 구만 리 먼 하늘을 꿈에라도 갈동말동하구나 차라리 죽어서 억만 번을 변화하여 남산 늦은 봄에 두견의 영혼이 되어 배꽃 가지 위에 앉아 밤낮으로 울지 못하거든 삼청동리(신선이 사는 고을)에 저문하늘의 구름 되어 바람에 흩날려 자미궁(천재의 거처)에 날아올라 옥황상제 앞에 놓인 상 앞에까지 지척에 나가 앉아 가슴 속에 쌓인 말을 실컷 아뢰고 싶구나. 아아 이내 몸이 천지간에 늦게 나니 황하수 맑다마는 초객의 후신인가 상심도 가이없고 가태부의 넋이런가 한숨은 무슨 일인고 형강은 고향이라 십 년을 유락하니 백구와 벗이 되어 함께 놀자 하였더니 어르는 듯 괴는 듯 남 없는님을 만나 금화성의 백옥당의 꿈조차 향기롭다 옥색실 이음 짧아 님의 옷을 못하여도 바다 같은 님의 은혜 추호나 갚으리라 백옥 같은 이내 마음님 위하여 지키고 있었더니 장안 어젯밤에 무서리 섞어 치니 일모수죽에 취수도 냉박하구나 유란을 꺾어 쥐고님 계신 데 바라보니 약수 가로놓인 데 구름길이 험하구나 다 썩은 닭의 얼굴 첫맛도 채 몰라서 초췌한 이 얼굴이 님 그리워하여 이리 되었구나 천층랑 한가운데 백 척간에 올랐더니 무단한 양각풍이 환해 중에 내리나니 억만장 못에 빠져 하늘 땅을 모르겠도다. 노나라 흐린 술에 한단이 무슨 죄며 진인이 취한 잔에 월인이 웃은 탓인가. 성문 모진 불에 옥석이 함께 타니 뜰 앞에 심은 난이 반이나 시들었구나. 오동 저문 비에 외기러기 울며 갈 때 관산 만릿길이 눈에 암암 밟히는 듯 청련시 고쳐 읊고 팔도한을 스쳐 보니 화산에 우는 새야 이별도 괴로워라. 망부 산전에 석양이 거의로다 기다리고 바라다가 안력이 다했던가 낙화 말이 없고 벽창이 어두우니 입 노란 새끼새들 어미를 그리는구나 팔월 추풍이 띠집을 거두니 빈 깃에 싸인 알이 수화를 못 면하도다. 생리사별을 한 몸에 혼자 맡아 삼천장 백발이 일야에 길기도 길구나. 풍파에 헌 배 타고 함께 놀던 저 무리들아 강천 지는 해에 주즙이나 무양한가 밀거니 당기거니 염예퇴를 겨우 지나 만 리 붕정을 머얼리 견주더니 바람에 다 부치어 흑룡강에 떨어진 듯 천지 가이 없고 어안이 무정하니 옥 같은 면목을 그리다가 말려는지고 매화나 보내고자 역로를 바라보니 옥량명월을 옛 보던 낯빛인 듯 양춘을 언제 볼까 눈비를 혼자 맞아 벽해 넓은 가에 넋조차 흩어지니 나의 긴 소매를 누굴 위하여 적시는고 태상 칠위 분이 옥진군자 명이시니 천상 남루에 생적을 울리시며 지하 북풍의 사명을 벗기실까 죽기도 명이요 살기도 하나리니 진채지액을 성인도 못 면하며 누설비죄를 군자인들 어이하리 오월 비상이 눈물로 어리는 듯 삼 년 대한도 원기로 되었도다 초수남관이 고금에 한둘이며 백발황상에 서러운 일도 하고 많다. 건곤이 병이 들어 흔돈이 죽은 후에 하늘이 침음할 듯 관색성이 비취는 듯 고정의국에 원분만 쌓였으니 차라리 할마같이 눈 감고 지내고저. 창창막막하야 못 믿을손 조화로다 이러나저러나 하늘을 원망할까 도척도 성히 놀고 백이도 아사하니 동릉이 높은 걸까 수양산이 낮은 걸까 남화 삼십 편에 의론도 많기도 많구나 남가의 지난 꿈을 생각거든 싫고 미워라 고국 송추를 꿈에 가 만져 보고 선인 구묘를 깬 후에 생각하니 구회간장이 굽이굽이 끊어졌구나. 장해음운에 백주에 흩어지니 호남 어느 곳이 귀역의 연수런지 이매망량이 실컷 젖은 가에 백옥은 무슨 일로 청승의 깃이 되고 북풍에 혼자 서서 가없이 우는 뜻을 하늘 같은 우리님이 전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추국에 향기로운 탓이런가 첩여 소군이 박명한 몸이런가 군은이 물이 되어 흘러가도 자취 없고 옥안이 꽃이로되 눈물 가려 못 보겠구나 이 몸이 녹아져도 옥황상제 처분이요 이 몸이 죽어져도 옥황상제 처분이라 녹아지고 죽어지어 혼백조차 흩어지고 공산 촉루같이 임자 없이 굴러 다니다가 곤륜산 제일봉에 만장송이 되어 있어 바람 비 뿌린 소리 님의 귀에 들리기나 윤회 만겁하여 금강산 학이 되어 일만 이천 봉에 마음껏 솟아올라 가을 달 밝은 밤에 두어 소리 슬피 울어 님의 귀에 들리기도 옥황상제 처분이겠구나 한이 뿌리 되고 눈물로 가지 삼아 님의 집 창 밖에 외나무 매화 되어 설중에 혼자 피어 참변에 이우는 듯 월중소영이 님의 옷에 비취거든 어여쁜 이 얼굴을 너로구나 반기실까 동풍이 유정하여 암향을 불어 올려 고결한 이내 생계 죽림에나 부치고저 빈 낚싯대 비껴 들고 빈 배를 혼자 띄워 백구 건너 저어 건덕궁에 가고 지고 그래도 한 마음은 위궐에 달려 있어 내 묻은 누역 속에님 향한 꿈을 깨어 일편장안을 일하에 바라보고 외로 머뭇거리며 옳이 머뭇거리며 이 몸의 탓이런가 이 몸이 전혀 몰라 천도막막하니 물을 길이 전혀 없다. 복희씨 육십사괘 천지 만물 섬긴 뜻을 주공을 꿈에 뵈어 자세히 여쭙고저 하늘이 높고 높아 말없이 높은 뜻을 구름 위에 나는 새야 네 아니 알겠더냐. 아아 이내 가슴 산이 되고 돌이 되어 어디어디 쌓였으며 비가 되고 물이 되어 어디어디 울며 갈까 아무나 이내 뜻 알 이 곧 있으면 백세교유 만세상감하리라. |
[ 작품 해설 ]
유배가사의 효시로 알려진 작품으로, 작가가 1498년(연산군4)의 무오사화에서 간신히 죽음을 면하고, 전남 순천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용은 서사 · 본사 · 결사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서사에서는 유배지에서 왕에게 흉중의 말을 실컷 호소하고 싶어 쓴다는 동기가 나타나 있고, 본사에서는 사화로 인해 과거의 영화가 현재의 억울하고 처참한 귀양살이로 바뀌었으나 이 역시 천명이니 황제의 처분만 바란다는 내용이, 결사에서는 원한에 쌓인 자기의 심정을 안타까워하면서 만일 누구든 제 뜻을 알아 주는 이만 있다면 평생을 함께 사귀고 싶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조선 전기 당쟁으로 인하여 희생된 신하가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한 유배가사의 효시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큰 작품이며, 후대에 지어진 송강 정철의 <사미인곡> · <속미인곡> 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중세에 유배지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의 흐름은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지배적인 정서로서, 왕총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는 연군의 정서를 들 수 있다. 중세적 지배 질서를 벗어날 수 없는 상황에서 정치 생활로 인하여 생기게 된 현실적 고통을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왕총을 다시 회복하는 것뿐이기 때문이다. 한편, 유배생활에서 느끼는 이 같은 현실 탈출 욕구의 이면에는 유배 생활을 야기시킨 당대의 정치 현실에 대한 발분적 정서가 자리하고 있다. 유배자 스스로가 자신의 정치적 행위를 반성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왕권 자체를 포함한 당대의 정치 질서를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자신의 정치적 신념의 표현으로서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적 정서를 어떠한 형태로든 표출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앞의 것을 유배가사의 주된 표면적 정서라 한다면, 뒤의 정서는 유배가사 속에 내면화된 이면적 정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배가사에 이들 정서는 작가를 둘러싸고 있는 정치 현실과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의 세계관의 차이에 따라 각기 상이한 관계를 맺으면서 나타나게 된다.
[ 핵심 정리 ] | |
◆ 갈래 : 조선전기 가사, 양반가사, 유배가사 ◆ 연대 : 조선 연산군 4년(1498) ◆ 구성 : 127구 ◆ 주제 : 누구에게도 호소할 길 없는 슬픔과 원통함의 하소연 |
[ 참 고 ] | |
◆ 다른 유배가사들과의 비교 정철의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의 경우는 발분의 정서를 극단적으로 감추고 연군의 정서를 극단적으로 강화시켜 표현한 것이다. 그 결과 그들 작품에서 서정적 자아의 형상은 임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형상으로 전형화되어 나타남으로써, 서정적 연군 가사의 전형을 창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후대의 서사적인 유배가사인 <만언사>의 경우 현실 세계의 질곡에 대한 발분적 정서가 정론적인 차원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유배생활 자체에서 느끼는 고통과 분노의 차원에서는 전형적인 형태로 형상화되고 있다. 연군적 서정성이 약화된 반면 유배생활에서 느끼는 슬픔과 분노가 보다 전형적인 형태로 형상화된 것이다. <만분가>는 한편으로는 임을 잃은 여성을 서정적 자아로 설정하여 충신연군지사의 형상을 취하는 한편, '만분가'라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유배를 당하게 된 현실에 대한 발분의 정서를 아울러 표출하는 특징을 갖는 유배가사이다. |
[ 어휘 풀이 ]
* 천상 백옥경 - 하늘 위의 궁궐
* 자청천 - 하늘의 신선이 산다는 궁궐
* 천문 구만 리 - 구만 리나 되는 먼 하늘
* 삼청동리 - 신선이 사는 마을 안에
* 자미궁 - 천재의 거처
* 향안 - 향로나 향합을 올려놓는 상, 옥황상제 앞에 놓인 상
* 초객 - 초나라 사람, 즉 굴원을 이름.
* 가태부 - 한나라 가의를 일컬음.
* 형강 - 중국 강소성 형산 근처에 있는 강이름으로, 여기서는 유배지를 가리킴.
* 십년을 유락하니 - 십년을 유배생활로 떠돌아다니니
* 어루는 듯 - 아양을 부리는 듯
* 금화성 백옥당 - 중국 절강성 금화현, 이 고을 북쪽에 금화산이 있는데 적송자가 득도한 곳이라 함.
* 님 - 성종 임금을 말함.
* 일모수죽 - 해질 녘 긴 대나무에 의지하여 섬.
* 취수 - 푸른 옷소매
* 약수 - 선경에 있다는 전설의 강으로, 건널 수 없는 강.
* 천충랑 - 험한 물결, 천길이나 높게 솟아오르는 물결
* 백척간 - 일백 자 쯤이나 되는 긴 장대
* 무단 - 끝이 없음
* 양각풍 - 회오리 바람
* 환해 - 관리의 사회, 관계
* 한단 -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의 서울, 조나라는 중국 중서부에 있으므로 여기서는 '무관하다'는 뜻임.
* 진인 - 중국 전국시대 서북부 지방에 있던 진나라 사람들
* 월인 - 중국 전국시대 동남지방에 있던 조나라 사람들. 여기서는 진인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뜻임.
* 우음탓고 - 웃음을 웃은 탓인가?
* 오동 졈은 비의 - 저물녘 오동나무에 내리는 비는
* 청련시 - 중국 당나라 이백의 시. 이백은 호를 스스로 '청련거사'라 함.
* 긴 - '깃'의 오기인 듯함.
* 생리사별 - 살아서 이별하고 죽어서 헤어짐.
* 주즙 - 배와 노
* 무양 - 별 탈이 없음
* 염예퇴 - 중국 사천성 봉절현 서남쪽에 있는 구당의 물 이름. 뱃사람들이 물길을 조심한다는 곳.
* 붕정 - 대봉이 날아 갈 수 있는 길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매우 멀고도 험한 길을 의미함.
* 흑룡강 - 만주 북부에 있는 큰 강. 옛날에는 북해라고도 함.
* 어안 - 물고기와 기러기
* 옥량명월 - 옥 대들보에 걸린 밝은 달
* 옥진군자 - '신선'을 일컬음.
* 생적 - 생황과 피리
* 진채지액 - 공자가 진나라와 채나라에서 당한 횡액
* 누설비죄 - 잡혀 갇힌 몸은 죄가 아님. 즉 '죄없이 잡혔다'는 뜻임.
* 초수남관 - 초나라 사람 종의가 남관을 쓰고 갇혔다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죄인'을 뜻함.
* 백발황상 - 고위직의 늙은 신하
* 관색성 - 천한 사람의 감옥. '관색구성'의 준말
* 고정의국의 - 유배지에서 나라만을 생각하는 충정
* 할마 - 한 눈이 먼 말
* 도척 - 옛날 큰 도적의 이름
* 백이 - 은나라 제후 고죽군의 아들로서, 숙제와 더불어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주나라 무왕이 옳지 않은 일을 하는 것으로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고 살다가 굶어 죽음.
* 동릉 - 중국 호남성 악양현에 있는 땅이름
* 남화 - 남화진경의 준말로, <장자>의 딴 이름
* 남가 - 고을 이름
* 구묘 - 선산, 무덤
* 구회간장 - 구곡간장
* 장해음운 - 병을 발생하게 하는 구름
* 귀역 - 몰래 남을 해치는 물건, '음험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
* 연수 - 사물이 모여드는 곳, 어수가 모여드는 곳
* 이매망랑 - 도깨비와 두억시니들
* 청승 -쉬파리
* 첩여 - 한나라 시대의 여자 벼슬 이름. 여기서는 한성제 때의 반첩여을 일컬음.
* 소군 - 왕소군, 한나라 원제 때의 궁녀 이름
* 촉무 - 해골
* 운희반겁 - 오랜 세월을 두고, 이승에서의 업보에 따라 내세에 다시 태어남.
* 침변 - 베갯머리
* 소영 - 성긴 그림자, 또는 외로운 그림자
* 백구 - 중국의 송과 요의 분계를 이루던 계하로, 여기서는 '한강'을 뜻함.
* 견덕궁 - 천자의 궁궐
* 위궐 - 높고 큰 문이라는 뜻으로, 여기서는 대궐, 조정을 뜻함.
* 내 무든 누역 속의 - 연기를 쐬어 검어진 도롱이 속에, 곧 가난하여 누추한 곳에
* 천도막막- 하늘의 이치가 막막하여 알 수가 없음
* 백세교유 만세상감 - 영원토록 사귀고, 영원토록 공감함.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휴전선 - 박봉우 - (0) | 2021.12.14 |
---|---|
[현대시 해설]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김광규 - (0) | 2021.12.14 |
[고전시가/가사 해설]덴동어미화전가 -작자 미상- (0) | 2021.12.14 |
[현대시 해설]상한 영혼을 위하여 - 고정희 - (0) | 2021.12.14 |
[현대시 해설]그 많던 여학생들은 어디로 갔는가 -문정희- (0) | 2021.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