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김광규 -

by 휴리스틱31 2021. 12. 14.
728x90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김광규 -

 

4 · 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는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시집<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1979)-

 

 

해          설

 

[개관정리]

 성격 : 서사적, 회고적, 대조적

 표현

*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대비시킴.

과거 4 · 19가 나던 해 세밑 -.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눔.
-.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열띤 토론을 함.
-.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심.
-.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로 고민을 함.
-. 목청껏 노래를 부름.
현재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임.
-. 회비를 만 원씩 걷음.
-. 처자식들의 안부와 월급이 얼마인가를 물음.
-. 즐겁게 세상을 개탄함.
-.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음.
-.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짐.
-.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으며 중년의 건강을 이야기함.

* 서사적인 줄거리를 지니고 있음.

* 정직하고 단순하고 일상적인 진술을 통해 현실적 생동감을 더해 줌.

*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을 제시하여 현실감을 더해 주고 있음.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불도 없이 ~ 토론을 벌였다.

    →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순수한 믿음과 열정으로 뜨거운 토론을 벌임.

* 7, 8행의 '무엇인가' → 순수하고 이상적인 가치의 그 무엇

* 노래 → 젊은 시절의 이상, 순수, 열정

*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 현실과 무관하게 순수하고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젊은 시절의 모습이다.

* 별똥별 → 젊은 시절의 순수함과 열정을 상징

*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 젊은 날의 순수와 열정이 사라지게 될 것임을 암시하는 구절이다.

* 21행의 '무엇인가' →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직업 정도의 의미를 지니는 것 또는 기성 세대(소시민)

* 넥타이를 매고 → 현실에 얽매어 살아가는 모습

* 회비를 만원씩 ~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 소시민의 전형적인 모습

* 즐겁게 세상을 개탕하고 → 진지하지 않게, 남의 이야기하듯 세상을 개탄하는 모습

* 떠도는 이야기 → 당시 정치 상황에 대한 소문들

*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 현실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소시민적인 삶

 

 

*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 순수의 열정을 잃어 버린 회오(悔悟)의 극대화

* 적잖은 술과 ~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 젊은 시절 대포를 마시는 것과 대조적으로, 비싸고 좋은 술과 음식을 남길 정도로 각자의 분야에서 어느 정도의 부와 지위를 얻어 비교적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포우커, 춤 → 향락적인 삶을 드러내는 소재

* 동숭동 → 젊은 시절 순수와 열정의 노래를 부르던 공간

*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 흐르는 시간에 순응하며 사는 모습

*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 온 곳 /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

   → 동숭동을 가리키며, 과거와 현재를 함께 체감하는 시간과 공간

*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 과거의 뜨거운 공간에 낯설게 와 서 있는 화자 자신의 모습

* 플라타너스 가로수 → 시간의 흐름에도 변하지 않는 존재로, 화자에게 부끄러움을 일깨움.

*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 부끄러움과 죄책감을 일깨우는 존재

*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 소시민적 삶의 부끄러움에 대한 강한 인식의 표현

* 부끄럽지 않은가 / 부끄럽지 않은가 → 바람의 속삭임. 현재 삶에 대한 반성

* 귓전으로 흘리며 → 내면에서 울려오는 반성의 소리를 외면함.

* 늪 → '별똥별'과 대조를 이루는 상징적 시어로, '일상적이고 타협적인 삶의 굴레', '너무 익숙해져 헤어나기 어려운 소시민적 일상'을 의미함.

 

 

◆ 제목의 의미 : '옛사랑'은 4 · 19 혁명 당시 친구들과 함께 나누었던 열띤 토론, 그 혁명의 열기를 말한다. 그리고 그로부터 18년이 지나 혁명이 두려운 기성 세대가 된 화자에게 그 혁명의 열기는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로 남아 있다. 따라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라는 제목에는 이미 지나가 버려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젊은 날의 열정과 추억에 대한 그리움과 아련한 슬픔이 담겨 있다.

 

 주제 소시민적 삶에 대한 부끄러움, 중년기 지식인의 몰락과 회한

 

[시상의 흐름(짜임)]

◆  1행  ~ 19행 : 18년 전(4·19가 나던 해 연말)의 체험에 대한 회상

◆ 20행 ~ 37행 : 오늘의 화자가 체험하는 내용에 대한 묘사(달라진 중년기의 몰락)

◆ 38행 ~ 49행 : 타락하고 무기력해진 중년의 모습에 대한 부끄러움과 서글픔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김광규 시인의 시는 60년대의 난해하면서 현실과 유리된 관념시의 형태에서 벗어나 시적 세계와 현실 세계와의 단절을 메꾸면서 동시에 시의 언어에 살아 움직이는 현실적 생동감을 불어 넣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평이하고 구체적인 체험이 많이 담긴 탄력 있는 시들이 양산되는데, 이로 인해 시세계와 현실과의 간격은 물론이고 시와 독자 사이의 거리도 많이 좁혀지게 된다.

김광규의 많은 작품들이 그렇듯이 이 시 역시 시간의 흐름에 닳고 타락하는 소시민들의 '늪' 같은 생활을 제재로 삼고 있다. 즉, 가장 순수한 눈으로 세계와 자아에 대해 갖고 있던 진실한 모습들이 지금 보면 사라졌거나 타락한 꼴로 바뀌어져 있음으로 해서 그들 중년의 소시민들은 이제 허망한 회오만을 가득 느끼게 될 뿐이라는 것이 이 시의 주된 골격이다. 이 시는 18년 전 학창 시절의 순수했던 열정을 모두 잃어 버린 중년기 지식인의 타락하고 무기력해진 소시민적 삶을 그려내고 있다. 일상적 삶에서 얻은 구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학창시절과 현재를 대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젊음의 열정과 순수의 이상을 잃어 버리고 속화(俗化)된 자신을 발견해 가는 비감(悲感)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를 4 · 19 세대가 겪는 에피소드나 시대 현실이라는 제한된 의미로만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순수와 젊음, 이상과 열정을 상실해 가면서 무기력해진 현대인들에게 소시민적 의식 구조를 일깨우고 보편적인 상실감을 제기해 주는 작품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