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 위
- 유치환 -
해 설
[개관정리]
◆ 성격 : 남성적, 의지적, 상징적
◆ 표현 : 수미쌍관식 구성(주제 의식의 강조와 구성의 완결성)
상징적 심상
단호하고 강인한 남성적 어조(비장미)
극도의 절제된 표현으로 동양화를 연상시킴
낯설고 관념적인 한자어를 통해, 심오한 의미와 관념성을 강화시켜 줌.
◆ 중요시어 및 시구 풀이
*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 화자의 비장한 각오와 결의.
바위가 되고자 하는 것은 2,3행에 나오는 애련과 희로에서 벗어나서 자유로워지기 위한 것임.
* 억년 비정의 함묵 → 애련과 희로의 감정을 영원히 버린 채로 입을 다물고
*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하고
→ 온갖 시련과 고난, 감정의 소용돌이를 내밀하게 극복하여, 드디어는 생명까지도 망각하게 되는
초연함을 가지게 됨.(내적인 고행의 과정으로도 볼 수 있음)
* 구름, 원뢰
→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속성을 지닌 것으로, '바위'와 대조되는 심상.
바위의 경지에 도달한 화자에게 주어지는 어떤 외부적 자극이나 유혹
* 꿈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 두쪽으로 깨뜨려져도 / 소리하지 않는 바위
→ 꿈(소망)이나 스스로의 파멸도 초극하려는 의지
◆ 시적 자아 : 인간적 감정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사람. 바위처럼 굳게 살고자 하는 사람.
현실 속의 나약한 자신의 모습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지닌 사람.
현실 세계 속의 자신의 모습에 불만을 가지고 내면적 단련을 통해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지닌 사람.
◆ 주제 ⇒ 현실극복과 허무의지
◆ '바위'의 상징성 :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강인함'의 표상(굳건한 의지의 결정체)
이념과 의지의 표상으로 "허무(인간 생존의 무의미성) 극복 의지"를 상징함
내적인 고행, 초인간적인 굳건함, 견고에의 집념을 표상함.
온갖 세상사를 잊어 버린 절대 허무와 고독
[시상의 흐름]
◆ 1행 : 자아의 결연한 의지(주제 집약구)
◆ 2∼7행 : 바위의 특성(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초연함)
◆ 8∼12행 : 절대적인 초월에의 의지(꿈과 죽음까지도 초월함)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에서 화자는 애련과 희로의 감정도 거부하고, 어떠한 시련과 고난도 극복하며, 비정의 함묵을 유지하면서 자신이 이상으로 설정한 바위가 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즉 일체의 감정과 외부의 변화에도 움직이지 않는 초탈의 경지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의식과 냉엄한 태도는 시인이 그의 시세계를 통해 한결같이 유지했던 허무의식의 표현이다. 사람의 삶 어디에서나 있게 마련인 뉘우침, 외로움, 두려움, 애정, 연민, 기쁨, 슬픔 등의 번민으로부터 벗어난 어떤 절대적인 경지를 추구하고 있으며, 그 해결의 길을 일체의 생명적인 것에 대한 허무주의적 자각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뒤집어 생각하면 시인 자신의 삶이 그만큼 유동적이고 가변적이며, 감정의 소용돌이를 간직하고 있기에 그러한 삶의 허무함을 의지나 신념으로 극복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여겨지기도 한다.
비정한 단절 속에서 홀로 서려는 의지의 지향점은 완전 무화(無化), 즉 허무이다. 단순한 허무 의식이 아닌 허무함마저도 부정하는 극단의 허무인데, 불교에서 말하는 적멸(寂滅 : 미망의 세계를 영원히 떠난 허허로운 경지)과 비슷하다. 그러나 불교가 해탈의 경지라는 목적지를 향해 가는 것이라면, 청마의 목적은 목적지에 도달하려는 것이 아니고 목적지를 향해 가는 열렬하고도 비정한 도정에 있다. 그러기에 한국 시사의 우뚝 선 자리에 생명파의 시가 있고 그 주봉이 청마인 셈이다. 꿈꾸더라도 그 꿈마저 버리며, 고통 속에서도 신음하지 않는 극단의 비정함으로 꿋꿋이 나아가는 지향만이 있을 뿐이다. 여기에 단순한 허무를 뛰어넘은 인간 생명의 본질이 있으며, 그것이 인간의 조건이 되는 셈이다.
이 시는 연 구분 없이 12행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1행과 12행을 제외하면 나머지 행은 바위의 속성을 열거함으로써 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모습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 시는 이러한 수미상관적 구성을 통해 시적 효과를 더욱 높이고 있다.
'Reading n See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해설]산유화 - 김소월 - (1) | 2021.12.28 |
---|---|
[현대시 해설]깃발 - 유치환 - (1) | 2021.12.27 |
[현대시 해설]사평역(沙平驛)에서 - 곽재구 - (0) | 2021.12.27 |
[현대시 해설]병원 - 윤동주 - (0) | 2021.12.27 |
[현대시 해설]플라타너스 - 김현승 - (0) | 2021.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