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by 휴리스틱31 2021. 12. 30.
728x90

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택시 운전사는 어두운 창 밖으로 고개를 내밀어

이따금 고함을 친다, 그때마다 새들이 날아간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황혼,

나는 한번도 만난 적 없는 그를 생각한다.

 

그 일이 터졌을 때 나는 먼 지방에 있었다.

먼지의 방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문을 열면 벌판에는 안개가 자욱했다.

그해 여름 땅바닥은 책과 검은 잎들을 질질 끌고 다녔다.

접힌 옷가지를 펼칠 때마다 흰 연기가 튀어나왔다.

침묵은 하인에게 어울린다고 그는 썼다.

나는 그의 얼굴을 한 번 본 적이 있다.

신문에서였는데 고개를 조금 숙이고 있었다.

 

그의 장례식은 거센 비바람으로 온통 번들거렸다.

죽은 그를 실은 차는 참을 수 없이 느릿느릿 나아갔다.

사람들은 장례식 행렬에 악착같이 매달렸고

백색의 차량 가득 검은 잎들은 나무꼈다.

나의 혀는 천천히 굳어갔다, 그의 어린 아들은

잎들의 포위를 견디다 못해 울음을 터뜨렸다.

그 해 여름 많은 사람들이 무더기로 없어졌고

놀란 자의 침묵 앞에 불쑥불쑥 나타났다.

망자의 혀가 거리에 흘러넘쳤다.

택시운전사는 이따금 뒤를 돌아다본다.

나는 저 운전사를 믿지 못한다, 공포에 질려

나는 더듬거린다, 그는 죽은 사람이다.

그 때문에 얼마나 많은 장례식들이 숨죽여야 했던가.

그렇다면 그는 누구인가, 내가 가는 곳은 누구인가.

나는 더 이상 대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어디서

그 일이 터질지 아무도 모른다, 어디든지

가까운 지방으로 나는 가야 하는 것이다.

이곳은 처음 지나는 벌판과 홍혼,

내 입 속에 악착같이 매달린 검은 잎이 나는 두렵다.

          -<입 속의 검은 잎>(1989)-

 

 

해           설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시인 기형도를 직접 본 것은 아마 1987년이던가, 중앙일보 시조백일장에 참여하여 차하로 상을 받았던 때였다. 중앙일보 관계자들이 앞 줄에 있었는데, 나는 첫눈에 그가 1985년에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당한 기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에게 말을 걸지 못했다. 단지 신문에 쓰는 방송평을 읽고 있었던 때였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접하고 조금 놀랬다. 잠깐 남부 장애인 복지관에서 문학 모임을 이끌 때 이상한 상황에서 그를 다시 접했다. 나의 마음을 가져가 버린 서울여대에 다니는 그 여자가 어느 날 나를 떠나더니 뇌성마비인 다른 남자와 팔짱끼고 가는 것을 우연히 보았을 때, 그녀는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시집을 들고 있었다. 그 참담함, 처참함, 배신의 처참함과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묘한 느낌의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제목이 겹쳐 마음 속 깊이 울었다.

 

그녀는 자기 앞에서 웃음 웃는 밝은 나의 얼굴을 좋아하지 않았고 우울하고 슬프고 괴로워하는 한 마리 바람둥이에게 호기심을 느꼈다. 그 당시 살만 루시디의 '악마의 시'라는 소설이 화제가 되고 있었는데 그녀는 그 소설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어두운 내면의 자신의 실체를 투영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일까. 나는 왜 그때 그런 그녀의 심리를 읽지 못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시는 시대적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고 하는데 이것은 대체로 맞는 것 같지만 그보다는 시대가 만든 개인의 어두운 내면을 표현했다고 보고 싶다. 시대가 어두웠기 때문에 그 당시 대부분 사람들의 얼굴이 밝지 못했고 그래서 <시운동>의 순수시조차 어두운 기운이 넘쳐 흘렀다.

 

시에서 그가 누구인지 굳이 알 필요는 없다. 화자의 심리 상태는 혼돈과 공포에 휩싸이고 자신이 하는 일이 낯설다. 뭔가 기자로서 말해야 하는데 입을 막는 검은 잎이 두려울 뿐이다. 그렇다면 잎은 기자라는 생업이 아닐까.

그것을 장례식에 비유하고 어떤 인물을 떠올리며 비유하며 쓴 것이다.

 

입과 잎의 발음이 비슷한 것도 주의해서 봐야 한다. 잎으로 입을 막는다. 잘 찾아낸 묘한 느낌의 단어이다. 글쓰는 일은 같지만 시와 기사는 다른 글이다. 이런 것은 생각도 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입을 확실히 막을 수 있는 자연물. 숨까지 막을 수 있는 퇴색된 검은 잎, 잎, 잎.

기형도는 이 시를 씀으로써 마음 속에 도사린 나쁜 기운, 음울한 생각, 허무와 절망을 달랠 수 있었던 것이다. 카타르시스의 형식으로 이렇게 표출해야 마음을 추스릴 수 있었던 것이다.

-출처:김율도/율도국 문예창작원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