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식목제(植木祭) - 기형도 -

by 휴리스틱31 2021. 12. 30.
728x90

식목제(植木祭)
                                                                              - 기형도 -

 

어느 날 불현듯

물 묻은 저녁 세상에 낮게 엎드려

물끄러미 팔을 뻗어 너를 가늠할 때

너는 어느 시간의 흙 속에

아득히 묻혀 있느냐

축축한 안개 속에서 어둠은

망가진 소리 하나하나 다듬으며

이 땅 위로 무수한 이파리를 길어올린다

낯선 사람들, 괭이 소리 삽소리

단단히 묻어 두고 떠난 벌판

어디쯤일까 내가 연기처럼 더듬더듬 피어올랐던

이제는 침묵의 목책 속에 갇힌 먼 땅

다시 돌아갈 수 없으리, 흘러간다.

어디로 흘러가느냐, 마음 한 자락 어느 곳 걸어 두는 법 없이

희망을 포기하려면 죽음을 각오해야 하리, 흘러간다 어느 곳이든 기척 없이

자리를 바꾸던 늙은 구름의 말을 배우며

나는 없어질 듯 없어질 듯 생(生) 속에 섞여 들었네

이따금 나만을 향해 다가오는 고통이 즐거웠지만

슬픔 또한 정말 경미한 것이었다

한때의 헛된 집착으로도 솟는 맑은 눈물을 다스리며

아, 어느 개인 날 낯선 동네에 작은 꽃들이 피면 축복하며 지나가고

어느 궂은 날은 죽은 꽃 위에 잠시 머물다 흘러갔으므로

나는 일찍이 어느 곳에 나를 묻어 두고

이다지 어지러운 이파리로만 날고 있는가

돌아보면 힘없는 추억들만을

이곳 저곳 숨죽여 세워 두었네.

흘러간다, 모든 마지막 문들은 벌판을 향해 열리는데

아, 가랑잎 한 장 뒤집히는 소리에도

세상은 저리 쉽게 떠내려간다

보느냐, 마주보이는 시간은 미루나무 무수히 곧게 서 있듯

멀수록 무서운 얼굴들이다 그러나

희망도 절망도 같은 줄기가 틔우는 작은 이파리일 뿐, 그리하여 나는 살아가리라 어디 있느냐

식목제의 캄캄한 밤이여, 바람 속에 견고한 불의 입상(立像)이 되어

싱싱한 줄기로 솟아오를 거냐, 어느 날이냐 곧 이어 소스라치며

내 유년의 떨리던, 짧은 넋이여.

 

                                  -<입 속의 검은 잎>(1989)-

 

 

해           설

 

[개관 정리]

  : 감상적, 애상적, 상징적, 자기성찰적

 표현

     *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을 통해 우울한 분위기를 형성함.

     * 시간(과거-현재-미래)을 나무의 구조로 형상화시켜 표현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물 묻은 저녁 → 축축하고 어두운 이미지

    * 낮게 엎드려 → 식목제에서 절을 하는 장면

    * 너 → 나무를 의인화한 표현이자, 화자 자신의 삶을 상징하는 존재

    * 가늠할 때 → 자신의 삶을 돌이켜 봄

    * 어느 시간의 흙 속 → 흙 속의 공간 = 화자의 과거의 삶

    * 축축한 안개 속에서 ~ 하나하나 다듬으며 → 우울하고 절망적인 과거의 삶을 감각적으로 표현함.

    * 이 땅 위로 무수한 이파리를 길어올린다. → 과거 속에서 현재의 삶을 살펴보고자 하는 행동이다.

    * 이파리 → 화자가 이루어 내는 현실의 하루하루의 삶

    * 낯선 사람들 ~ 떠난 벌판 → 소외되고 외로운 삶의 터전

 

 

    * 벌판 → 과거 나의 삶의 공간

    * 어디쯤일까 ~ 다시 돌아갈 수 없으리, 흘러간다. → 나무와 시적 화자의 삶이 동일시되는 부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과거에 대해 체념한 채 무의지적으로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드러나 있다.

    * 침묵의 목책 속에 갇힌 먼 땅 → 어둡고 절망적인 아득한 과거의 시간

    * 흘러간다 어느 곳이든 기척 없이 → 무의지적인 태도

    * 없어질 듯 없어질 듯 → 연기, 구름의 속성과 연관됨.

    * 이따금 ~ 정말 경미한 것이었다. → 자신에게 주어진 고통과 슬픔을 받아들인 지난 삶의 모습

    * 아, 어느 개인 날 ~ 이파리로만 날고 있는가 →삶의 긍정적 대상이든 부정적 대상이든 어느 것에도

          삶의 목적을 두지 못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한 채 방황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 작은 꽃 → 삶의 의미, 삶의 결실

    * 죽은 꽃 → 결실을 맺지 못한 꽃, 삶에 대한 절망

    * 어지러운 이파리 → 불안정한 현재의 삶

    * 가랑잎 한 장 뒤집히는 소리 → 작은 사건, 사소한 일

 

 

    * 멀수록 무서운 얼굴 → 공포스러운 과거(유년)의 기억들

    * 희망도 절망도 ~ 어디 있느냐

       → 희망도 절망도 한 뿌리에 있다는 시적 화자의 삶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 부분으로, 시적 화자는

                삶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상실한 채 그저 주어진 대로 흘려 보내는 태도를 보인다.    

    * 식목제의 캄캄한 밤이여 → 어두운 현재 상황

    * 불의 입상 → 어둠을 물리칠 빛, 희망

    * 싱싱한 줄기로 솟아오를 거냐 → 희망적인 미래를 꿈꿀 수 있는지를 자문함.

    * 내 유년의 떨리던, 짧은 넋이여 → 유년(과거)의 기억으로 인해 다시 좌절함.

 

 제재 : 식목제(나무를 심은 후에 지내는 제사)

 주제 전망이 부재하는 삶에 대한 성찰

 

[시상의 흐름(짜임)]

◆ 1 ~ 13행 : 아득한 과거의 삶에 대한 반성

◆ 14~26행 : 비관적인 현재의 삶

◆ 27~35행 : 과거의 기억으로 다시 좌절된 삶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시는 유년기에 경험했던 일들에 대한 기억과 회상,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을 독창적이면서도 개성 강한 시어와 문체로 그려내고 있다. 이 시의 시적 화자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시상 전개상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 화자는 '과거에 대해 회상'하고 있다. 어느 날 문득 시적 화자는 자신의 과거의 삶을 뒤돌아보니 그것은 땅 속에 묻힌 나무의 뿌리처럼 아득하기만 하고 손에 쉽사리 잡히지 않는다고 한다. 이처럼 과거로 돌아가기는 어렵기에 화자는 현재의 삶을 살아갈 뿐이라고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화자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특정한 목표나 희망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무상함을 느끼며 주어진 삶을 살아갈 뿐이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과거에 대한 회상을 기반으로 한 '앞으로의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 화자는 살아가면서 늘 마주하게 되는 과거에 대한 기억으로 다시 좌절하며 앞으로의 삶 역시 주어진 대로 흘려 보낼 뿐이라고 생각한다.

 

시적 화자의 삶과 나무의 연계성

이 시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의 '과거 - 현재 - 미래의 삶'을 식목제 때 심어진 나무의 성장 과정과 연관지어 파악하고 있다. '흙 속의 뿌리'는 현재와 미래의 삶의 기반이 되는 '과거의 삶, 경험, 기억'을 의미하며, 현재의 삶의 공간은 '이파리'로 자라고 있는 모습으로, 미래의 삶은 뻗어나가는 줄기로 형상화되고 있다. 즉, 이 시에서는 '과거 - 현재 - 미래'의 시간의 흐름을 시인의 상상력을 통해 나무의 성장이라는 수직적인 공간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기형도의 시세계

기형도는 죽음과 절망, 불안과 허무, 그리고 불행의 이미지를 초현실적이고 공격적인 시인 특유의 개성적 문체와 결합시켜 독특한 느낌의 시를 표현하고 있다. 동일 이미지의 반복이 중첩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든지 돌연한 이미지와 갑작스런 이질적 문장의 삽입, 도치, 감정의 고조 등 시어 구성과 문체는 그의 암울한 세계관의 부정적 이미지를 형상화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년 시절 불우한 가족사와 경제적 궁핍, 죽음에 대한 체험과 이에 대한 강렬한 심미적 각인이 그의 시적 모티프에 영향을 주고 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