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수필 해설] 돌층계 -유경환-

by 휴리스틱31 2022. 4. 5.
728x90

 돌층계                                      -유경환-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의 중심 소재인 돌층계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다. 높고 힘든 계단을 한 걸음 한 걸음 올라가는 행위에서 인생의 역정을 연상하였고, 올아왔던 돌층계를 미련없이 내려와 떠나야 하는 것이 인생임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생의 각 단계가 지니는 의미를 풍금 소리에 비유하기도 했다. 지은이가 초등학교  시절 전학 간 학교의 교정에서 돌층계를 오르면서 들었다는 자기만의 충금소리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돌층계는 인생의 길이다. 돌층계의 계단 하나하나가 우리 인생의 한 단계라 할 수 있다. 돌층계의 꼭대기를 향해 올라가는 행위는 어떤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인생의 과정이다.  그런데 우리는 때때로 한 층 한 층 밟고 올라서야 할 삶의 계단을 한꺼번에 두세 단씩 뛰어오르려는 욕심을 부린다. 지은이는 성실한 자세로 돌층계를 하나씩 오르지 못하고, 남보다 앞서기 위해 두세 계단씩 뛰어 오르려 과욕을 부린 지난날을 반성하고 있다. 종당에는 내려와야 할 계단을 남보다 빨리 오른들 그게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는 것이다.

지은이가 초등 학교 시절 계단을 밟으며 들었던 풍금 소리처럼 인생은 각 단계마다 의미가 있는 것이다. 삶의 과정, 즉 인생의 돌층계는 각각의 단계마다 아름다운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약삭빠르게 두세 계단을 뛰어 넘는 것은 삶의 의미를 제대로 모르는 불성실한 삶이 될 것이다. 지은이가 한 창 한 층 최선을 다하는 삶에 성실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인 것이다.

 

 

■ 요점 정리

 

 성격 : 관조적, 교훈적, 철학적, 사색적 수필

 표현 : 반성적 삶의 자세를 평이하고 일상적인 언어로 서술함.

 구성 :

   * 처음 → 돌층계를 보며 과거의 불성실한 생활 반성

   * 중간 → 바른 삶의 태도에 대한 자각(결과보다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가는 성실성이 중요)

   * 끝 → 돌층계가 보여주는 삶의 철학

 주제 : 성실하게 최선을 다하는 삶의 중요성(성실한 삶의 과정)

  : 『강마을』(1981)

 

 

■ 작품 읽기

 

경복궁에 볼일이 생겨 들어설 때마다, 한가운데 높이 솟아 있는 국립 중앙 박물관의 돌층계부터 바라보게 된다. 반듯하게 누워있는 가지런한 돌층계, 보이지 않는 손짓으로 올라와 보라고 하는 것 같아, 자꾸 눈길이 끌린다. 왜 그렇게 느끼는지 모를 일이지만, 돌층계가 날 시험해 보려는 것 같은 생각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돌층계가 시험해 볼 까닭이 없다. 그런데도 이런 공상을 하게 되는 것은, 아마 평소의 내 생활의식 때문이리라. 성실하지 못했던 생활 의식의 탓이 아니랴.

많은 층계를 우리는 밟고 오르며 산다. 층계를 밟고 오를때마다 그것은 내게 삶의계단으로 떠올라, 헛디딜세라 조심이 된다. 어차피 인생은 끝이 있는 층계를 딛고 올라서며 사는 것이다. 한 층에 한걸음이 맞도록 계단은 만들어 진 것이다. 그런데도 두단, 세 단씩 뛰어오르려는 충동을 느껴 왔었다. 이렇게 서두르거나 남보다 앞서려거나, 또는 남을 미치고 먼저 나서려는 데서 헛딛는 실수나 넘어지는 확률은 커지게 마련이다. 한층에 한 걸음, 한발짝씩 밟아 오르게 되어 있는 것이련만, 두층, 세 층을 한꺼번에 건너뛰어 밟으려는 욕심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인생 추락이나 도중 탈락, 도중 하차를 해왔던가?

우리는 인생을 너무 쉽게 살려고만 허둥거리며 살아왔다. 차근히 한층, 한 층 밟아야만 할 과정을 다 밟고 올라가는 성실한 사람을 오히려 어리석게 여기는 눈길로 바라보거나, 또는 약삭빠르게 잔재주로 앞지르려는 사람을부러워하는 눈길로 바라보았었다. 얼마나 높게 오르느냐 하는 것만을 고개들어 쳐다보았기에, 쉽게 오르려 했었다. 남보다는 조금 더 많이 오르려는 욕심때문에, 남을 제치거나 딛고 올라서려 했었다. 끝이 있는 삶의 계단에 얼나 높게, 얼마나 빨리 오르느냐 하는 것이 별로 큰 문제가 안된다는 것을 이제야, 힘이 드는 나이에 생가가이 드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국립중앙 박물관의 높은 돌계단이 보이지 않는 손짓으로 내 삶의 성실성을 시험해 보려는 것처럼보인다.

이제야 내 삶의 계단을 얼마쯤 올라서서, 지금 내가 선 곳이 어디쯤인가를 되돌아보게 된다. 수없이 많은 층계를 밟아 오르면서, 과정을 무시하지 않고 얼마나 차근히 제대로 발을 옮겼는가를 생가가해 보게된다. 다리에 힘주고 무릎을 짚어가면서 이마에 땀을 씻게되니, 한 층, 한 층 올라 딛고 서는 그 힘겨움에서 관연 얼마나 보람을 느꼈었는지 이제야 다시 생가가해보게 된다. 얼마나 비틀거렸는지, 얼마나 숨차게 헐떡이며 남을 밀쳤는지, 몇 번이나 헛디딜 뻔했는지, 또 뒤에서 남 보기에 흉하도록 갈지(之)자로 왔다갔다했었는지.....그것을 헤아리는 동안 내그림자가 길어진다.

어렸을 적, 고향의 돌층계에서 동무들과 가위바위보를 하며 누가 먼저 오르느냐를 놓고 쌈 싸우듯 한적있었다. 그러다가도 기울어져 비끼는 햇살에 그림자가 길어지면, 돌츨계에 꺾여진 그림자 밟기를 하면서 놀았었다. 누가 많이 이겨 돌층계에 먼저 올랐든 간에, 그림자가 길게 돌층계에 늘어지게 되면 해지기 전에 집에 돌아가기 위해서 미련없이 내려와 그 곳을 떠났었다.

지금 내 삶의 층계에서는, 앞으로 내 인생의 계단이 얼마나 더많이 남았는지 헤아릴 길이 없다. 다만, 인생의 해가 지게 되면 미련없이 비켜서서 내려오게 될것이다. 밟게 되어 있는 층계 한 단씩을 딛고 밟아 올라서면서 다리가 무겁도록 힘이 들어도, 되도록 성실하게 내딛는 바로 그 때 그 순간에 느끼는 것이 결국 보람의 전부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후략>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