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개봉동과 장미 -오규원-

by 휴리스틱31 2022. 4. 26.
728x90

개봉동과 장미
                                                                              -오규원-

 

개봉동 입구의 길은

한 송이 장미 때문에 왼쪽으로 굽고,

굽은 길 어디에선가 빠져 나와

장미는

길을 제 혼자 가게 하고

아직 흔들리는 가지 그대로 길 밖에 선다.

 

보라 가끔 몸을 흔들며

잎들이 제 마음대로 시간의 바람을 일으키는 것을

장미는 이곳 주민이 아니어서

시간 밖의 서울의 일부이고,

그대와 나는

사촌들 얘기 속의 한 토막으로

비 오는 지상의 어느 발자국에나 고인다.

 

 

말해 보라.

무엇으로 장미와 닿을 수 있는가를.

저 불편한 의문, 저 불편한 비밀의 꽃

장미와 닿을 수 없을 때,

두드려 보라 개봉동의 집들의 문은

어느 곳이나 열리지 않는다.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1978)-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문명 비판적, 상징적, 주지적

 특성

 구체적 지명을 사용하여 현장감을 부여함.

 이질적인 소재를 대비시키면서 현대 문명을 비판함.

 '개봉동'과 '장미'의 의미 대립 구조를 통해 현대 문명을 비판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개봉동 → 도시 문명의 상징. 공장, 도시, 문명, 공해와 관련됨.

* 장미 → 순수한 생명의 상징. 순수, 신비, 생명, 아름다움과 관련됨.

* 아직 흔들리는 가지 그대로 길 밖에 선다.

   → 본연의 순수함 그대로 문명의 부정성에 휩쓸리지 않음.

* 잎들이 ~ 주민이 아니어서 → 장미가 지닌 위대한 힘

* 시간 밖의 서울의 일부이고 → 역설적 표현, 서울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서울과는 다른 삶을 사는 장미

* 그대와 나 → 문명 속의 사람

* 비 오는 지상의 어느 발자국에나 고인다. → 도시적 삶의 현실을 살고 있음.

* 무엇으로 장미와 닿을 수 있는가를 → 순수한 생명력과의 관계 회복을 소망함.

* 저 불편한 의문, 저 불편한 비밀의 꽃

   → 생명의 의미를 알고자 하나 그것을 파악할 수 없는 안타까움이 드러남.

* 두드려 보라 → 생명의 본질에 닿으려는 노력

* 어느 곳이나 열리지 않는다. → 쉽게 본질을 드러내지 않음.

 

 주제 순수의 회복을 통한 현대 문명의 모순 극복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장미의 위대한 생명력

◆ 2연 : 같은 공간에서 다른 법칙으로 살아가는 모순된 삶의 법칙

◆ 3연 : 쉽게 파악되지 않는 순수의 세계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이 작품은 순수하고 진실된 생명을 상징하는 '장미'와 메마른 현대 문명의 비정함을 표상하는 '개봉동'의 대립적 의미 구조를 통해 순수한 삶을 훼손하는 현대 문명을 비판하고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질적인 두 존재인 '개봉동'과 '장미' 사이의 내적 긴장감을 통해 '개봉동'이 지니고 있는 '공장과 도시와 문명과 공해'의 표상으로서의 이미지와 '장미'가 지니고 있는 신비하고 순수한 아름다움을 가진 생명의 본질을 보여 주면서 순수한 삶을 훼손시키고 파괴하는 현대 문명을 비판하는 동시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삶의 무엇인지 알려주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시에서 장미에 대한 접근은 생명의 본질적 의미와 순수성에 대한 탐구는 인간 존재의 근원을 향한 필연적인 지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인간 존재의 근원에 접근하려는 시적 자아의 노력은 실패하지만 그것을 단념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명의 본질을 추구하려는 시적 화자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 더 읽을거리

개봉동이란 곳은 서울에 실제로 있는 동네 이름인데 공장 지대로 알려진 곳이다. 그 입구란 곳을 그곳에 맞추어 생각해 보면 현대사회의 문제적인 상황에 들어서는 곳이라 봐도 되겠다. 그런데 한 송이 장미가 그 입구의 길을 굽게 한다는 것을 보면 장미 한 송이의 힘이 개봉동 전체를 넘어서는 수준이라 할 수 있겠고, 그런 걸 가능하게 하는 대상을 장미로 설정해 둔 걸 보면 개봉동과는 상반된 의미로서 순수한 자연의 생명력이라 봐도 되겠다. 또한 장미는 길을 제 혼자 가게 하고 스스로는 길 밖에 선다고 하고 있는데, 개봉동으로 상징되는 현대문명의 길에 종속되지 않는, 제 본연의 모습을 잃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시간이라고 하는 것은 아무나 함부로 흘러가게 하거나 멈추게 할 수 없는 것인데, 장미의 잎들이 제 마음대로 시간의 바람을 일으킨다 하는 걸 보면 장미로 상징되는 순수한 생명력의 힘을 드러내고 싶은 것이 분명하다. 장미는 스스로 시간을 일으킬 수 있기에 서울의 일부에 속해 있긴 하지만 서울의 시간 흐름에는 종속되지 않는, 즉 서울이나 개봉동에서 흘러가는 시간과 그 시간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과는 무관한 세계를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게 본다면 화자는 서울이라는 현대 문명, 도시 문명의 세계 속에서 장미로 상징되는 순수한 자연의 생명력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제 나름의 지위를 온전히 지켜내고 있다고 인식한 거라 보면 되겠다.

2연의 중간쯤에 오면 화자를 포함한 인간 존재가 처음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이들은 장미와는 대비되고 개봉동이나 서울에는 종속되는 존재일 것이다. 이들의 삶은 비오는 듯한 현실 세계의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보잘것없는 모습으로 흘러가고 있다. 사촌들 얘기 속에서 한 토막 정도의 수준으로 언급되는 존재라 하는 걸 보면 보잘것없다는 의미일 수 있겠고, 지상의 어느 발자국에나 고이는 모습이라 한 걸 보면 서울이라는 세계 속에 무수히 찍혀 있는 발자국 흔적에 고여 있는 흙탕물 같은 느낌이라는 생각이 든다.

3연은 누군가에게 말을 건넨 부분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자기 스스로에게 던진 말로 볼 수도 있으며, 장미와 닿길 소망하는 모습을 느낄 수도 있다. '저 불편한 의문, 저 불편한 비밀의 꽃 / 장미와 닿을 수 없을 때'는 장미의 세상과 화자가 생활하고 있는 서울 또는 개봉동의 세상은 분명히 나뉘어져 있음을 알게 해 준다. 그러므로 쉽게 알아낼 수 없는 장미의 본질적 속성에 대해 화자는 불편하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상태 속에서 화자가 또는 인간들이 장미로 상징되는 순수의 세계에 닿지 못하는 상황을 설정하고 있다. 결국 우리가 장미와 같은 순수한 세계에 닿지 못한다면, 또는 그런 순수함을 되찾지 못한다면 개봉동의 문들이 열리지 않듯이 이 세계를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 간의 진정한 관계 회복이나 이해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