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n Seeing

[현대시 해설]수정가 -박재삼-

by 휴리스틱31 2022. 4. 26.
728x90

수정가
                                                                              -박재삼-

 

집을 치면 정화수 잔잔한 위에 아침마다 새로 생기는 물방울의 선선한 우물집이었을레. 또한 윤이 나는 마루의, 그 끝에 평상의, 갈앉은 뜨락의, 물냄새 창창한 그런 집이었을레. 서방님은 바람 같단들 어느 때고 바람은 어려 올 따름, 그 옆에 순순(順順)한 스러지는 물방울의 찬란한 춘향이 마음이 아니었을레.

 

하루에 몇 번쯤 푸른 산 언덕들을 눈 아래 보았을까나. 그러면 그 때마다 일렁여 오는 푸른 그리움에 어울려 흐느껴 물살짓는 어깨가 얼마쯤 하였을까나. 진실로,

우리가 받들 산신령은 그 어디 있을까마는 산과 언덕들의 만 리 같은 물살을 굽어보는, 춘향은 바람에 어울린 수정빛 임자가 아니었을까나.

 

                                 -<춘향이 마음 초>(1962)-

 

 

해          설

 

[개관 정리]

 성격 : 전통적, 산문적, 낭만적, 애상적, 서정적

 표현

* 산문시이면서도 종결어미의 반복(각운)으로 운율감을 형성함.

* 독특한 종결어미(~었을레, ~을까나)의 사용 → 의미 유보의 말투로 감정을 절제하는 효과를 나타냄.

* '춘향'을 '집'에, '이도령'을 '바람'에 비유함.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집을 치면 → (춘향을) 집으로 친다면

    * 물방울의 선선한 우물집, 물냄새 창창한 그런 집 → 임을 향한 춘향의 순수하고 맑은 이미지가 강조됨.

    * 바람 → 이도령, 얽매임 없는 자유로운 존재로 제시되며, 나타났다가 금방 사라지는 안타까운 대상임.

    * 그(바람) 옆에 순순한 스러지는 물방울

         → 이도령 앞에서는 순순히 스러지는, 매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존재에 불과하다는 것을 의미

    * 찬란한 춘향이 마음은 아니었을레

         → 임 앞에서의 춘향이 마음은 순순하지만 너무나 작아지기만 하기에 결코 찬란하지는 않았으리라.

    

 

* 하루에 몇 번쯤 푸른 산 언덕들을 눈 아래 보았을까나.

         →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임을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모습이 연상됨.

    * 그 때마다 일렁여 오는 푸른 그리움

        → 헤어진 서방님에 대한 그리움이며, 만날 수 없는 안타까움을 환기시키는 표현임.

    * 푸른 그리움 → 그리움과 슬픔의 깊이를 '푸른색'으로 시각화함.

    * 흐느껴 물살짓는 어깨가 얼마쯤 하였을까나 → 그리운 임을 기다리다 지쳐 흐느끼는 모습

    * 산신령 → 그리운 임을 애타게 그리며 만나게 해 달라고 기원해 보는 대상

    * 산과 언덕들의 만 리 같은 물살

        → 임과 쉽게 만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냄.

    * 산과 언덕들의 만 리 같은 물살을 굽어보는

        → 임이 쉽게 올 수 없는 상황에도 임을 향한 그리움과 기다림은 계속됨.

    * 바람에 어울린 수정빛 임자 → 수정과 같이 변함없이 빛나는 존재로 바람과 조화를 이루는 존재

 

 제재 : 춘향이 마음

 주제 임에 대한 춘향이의 순수한 마음과 그리움

 

 

[시상의 흐름(짜임)]

◆ 1연 : 춘향이의 맑고 순수한 마음과 기다림

◆ 2연 : 춘향의 애타는 그리움과 한

 

[이해와 감상의 길잡이]

1962년 간행된 박재삼의 첫시집 《춘향이 마음》에는 총 10편의 연작시가 수록되어 있다. 《수정가》《바람 그림자를》《매미 울음에》《자연》《화상보》《녹음의 밤에》《포도》《한낮의 소나무에》《무봉천지 (無縫天地)》《대인사(待人詞)》 등이 그것이다.

이 작품은 고전소설 <춘향전>을 소재로, 춘향의 애타는 그리움과 한의 정서를 그리고 있다. 2연으로 구성된 산문시로 변함없이 사랑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춘향의 마음과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확신하는 춘향의 그리움을 애절하면서도 낭만적으로 그리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1연에서 춘향의 그리움을 해맑은 이미지를 가진 사물을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이 도령을 향한 춘향의 사랑이 지순함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2연에서는 춘향이의 이도령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을 읊고 있는데 이도령이 올까 하여 하루에도 몇 번씩 언덕을 쳐다보는 춘향이의 모습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그리고 평범한 일상어와 의문형의 영탄적 어법을 통해서 비애의 감정이 극도로 절제되어 있다는 점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 작품은 산문시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시구의 반복과 변용을 통하여 음악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감정의 발산을 적절히 제어하고 있다. '우물집이었을레', '그런 집이었을레' 등의 의미 유보의 어투는 감정을 절제하는 시적 장치로 기능하며, '보았을까나', '하였을까나' 와 같은 영탄의 화법 역시 감정 표현을 조절하는 형식적 특성으로 작용한다.

이 시는 시어 선택의 세심한 배려와 종결 어미의 반복적인 배치, 유기적으로 결합된 이미지 등으로 몽룡에 대한 애타는 그리움을 스스로 절제하려고 하는 춘향이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어찌 보면 이 작품의 춘향은 단지 시인이 재창조한 허구의 인물이 아니라 사랑과 이별의 정한을 느끼고 있는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인물이라는 점에서 독자들이 느끼는 공감대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728x90

댓글